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이 간호학생의 임상판단력, 지식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debriefing utilizing the clinical judgment rubric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하이경

Advisor
고진강
Major
간호대학 간호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뮬레이션 교육디브리핑임상판단력지식자신감Simulation-based learningdebriefingclinical judgmentknowledgeself-confidence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4. 8. 고진강.
Abstract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디브리핑은 성찰과 피드백을 통해 시뮬레이션 경험에서의 행동과 성찰을 연결한다.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의 실질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이 때, 비효과적으로 디브리핑이 이루어지면 오히려 학생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디브리핑 적용에 대한 경험적 근거가 필요하다. 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디브리핑은 시나리오 개발이나 장비 프로그래밍만큼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시나리오 개발이나 시뮬레이션의 교과과정 도입과 관련되어 있는 실정으로, 디브리핑과 관련된 연구들은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경험을 조직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디브리핑의 적용 및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브리핑의 구조화에 있다. 우선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하여 디브리핑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위장관 출혈 환자 간호에 있어 간호학생의 임상판단력, 지식,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또한 디브리핑 토론 중에 반응하는 간호학생의 대화 내용을 파악하였다.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은 인지영역, 해석영역, 반응영역, 성찰영역의 하부항목 순서를 진행하는 질문지에 따라 진행되었고, 자가 보고 설문지를 작성하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의 효과는 무작위 대조군 설계의 실험연구 설계로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지방 소재 1개 4년제 간호대학에서 재학 중인 2학년 간호학생으로, 시뮬레이션 학습 경험이 없고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자로 구성되었다. 실험군 28명, 대조군 24명으로 총 52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 지침에 따라 디브리핑을 진행했고,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디브리핑을 적용했다.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의 효과는 위장관 출혈 환자 시뮬레이션 동영상 관찰을 통해 임상판단력을 평가하였고, 연구자가 개발한 자가 보고 설문지를 통해 지식과 자신감 점수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의 서술적 통계, Fishers exact test, χ2‐test, t-test,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디브리핑 토론 중 학생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자가 보고 설문지를 이용한 디브리핑의 질 평가 점수를 측정하였고, 디브리핑 중 학생의 대화내용을 녹취하여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에게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을 시행한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임상판단력 수준 점수가 유의하게(p<.001) 증가되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지식, 자신감, 디브리핑의 질 점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은 간호학생의 위장관 출혈 환자 간호 상황에서 임상판단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서 디브리핑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디브리핑 과정에서 학생의 반응인 대화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학생의 변화를 이해하고,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향후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디브리핑 진행에 대한 이해 및 적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briefing is a crucial part of simulation-based learning, during which the actual learning process occurs through reflection and feedback on the simulation experience. However, when debriefing is performed ineffectively, it affects students negatively. Therefore, evidence is needed on which simulation debriefing methods are effective and should be applied by instructors. Nevertheless, previous research on simulations has focused mainly on scenario and simulation-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le few studies have looked into debriefing. Because debriefing is so significant for students learning, studies to develop structured approaches to debriefing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approaches are need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uctured debriefing method utilizing clinical judgment rubric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is method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This study also aimed to describe students conversation patterns during the debriefing discussion.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posttest design wit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was utilized to develop a structured debriefing. The scenario was about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bleeding. The total number of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52. Twenty-eight stude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outcome variables were clinical judgment,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Clinical judgment was measured by observation of students performance, which was recorded using video cameras during simulation situation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were measured by students self-report. Moreover, students conversation was audio recorded and was analyzed utiliz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1.0 years. Among the subjects, 96.2% were women. The level of clinical judg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1), but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debriefing method developed with the clinical judgment rubric.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processes of change and reflection students experience during structured debriefing.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187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