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the Validity of Degenerative Joint Disease as a Skeletal Marker Reconstructing the General Level of Physical Activity – For a Joseon Dynasty Population in Korea : 행위 수준을 복원하는 지표로서 퇴행성 관절 질환의 유효성에 대한 연구 - 조선시대 인골집단을 대상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우은진

Advisor
박순영
Major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level of physical activitymechanical stressdegenerative joint diseaseenthesopathiesSchmorl's nodesJoseon dynast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2012. 8. 박순영.
Abstract
퇴행성 관절 질환은 행위와 관련된 역학적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뼈대지표로서 과거 집단의 라이프스타일과 행위수준을 복원하는데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퇴행성 관절 질환이 신체적 행위의 수준을 복원하는 데 이상적인 지표인가 하는 문제는 오늘날까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관절 질환에 의한 병변의 유무가 신체적 행위의 수준을 유추하는 지표로서 개체 혹은 집단의 생전 삶의 조건과 연결될 수 있는 가 하는 문제를 역학적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여타 지표들과의 관계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서울시 은평구 일대에서 확인된 조선 중•후기의 대형 분묘군에서 출토된 인골집단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사지골에서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 질환과 근부착부위 뼈대변형은 골증식체와 다공성을 퇴행성 관절 질환의 진단기준으로 하였을 때 특정 관절에서만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기에서, 근부착부위의 유형은 두 지표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퇴행성 관절 질환과 근부착부위 뼈대변형의 성에 따른 패턴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표가 다양한 병인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반응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행위 수준을 복원하는 지표로서 두 지표를 함께 사용할 때 그 병변의 발현패턴과 분포를 주의깊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척추의 두 관절(돌기관절과 몸체관절)에서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 질환에서는 남성의 경추와 흉추에서만 서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또 척추에서 역학적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또 다른 지표인 쉬모를 결절과의 관계에서는 여성의 요추 몸체관절에서만 두 지표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두 유형의 척추관절은 척추 각 부위의 해부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서로 독립적인 패턴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며 쉬모를 결절과의 관계에서도 일관성있는 관계가 확인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척추의 두 관절 중 어느 한 관절에서 나타나는 퇴행성 변화가 신체적 행위의 수준을 보다 잘 반영한다고 단언키는 어렵다. 연구에 따르면, 관절의 유형과 척추 부위에 따라 척추에서 나타나는 퇴행성 변화와 신체적 행위와의 관계를 주의해서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결과는 궁극적으로 사지골과 척추관절에서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 질환 지표와 신체적 행위와 관련된 역학적 스트레스 간 관계에 대한 논의에 기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집단을 대상으로 행위와 관련된 뼈대지표의 유병률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서 일반적으로 이들 집단의 경우 일상적인 행위수준의 강도가 비교적 높지 않았으며 이러한 자료는 향후 조선 중•후기 서울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유추하는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onstruction of lifestyles of past populations and the general levels of activity, one of the goals pursued by bioanthropologists, have become lively topics in bioanthropology. The reconstruction of activity and of work patterns has been approached by examinations of activity-related skeletal markers. In particular, degenerative joint disease (DJD) has been the subject matter of a number of studies in paleopathology. However, until now, bioanthropological studies on DJD in archaeological series have suggested the conflicting views that DJD can be an ideal indicator to reconstruct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 present study evaluate whether the presence of DJD could be linked to life conditions as an indicator of physical activity or not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JD and other skeletal markers (i.e., enthesopathies, Schmorls nodes) from the Eunpyeong collection in Seoul, Korea. Additionally, morphological criteria considered pathognomonic for DJD were recorded separately while taking different joints, and methods of DJD diagnosis into account for methodological comparability.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DJD and enthesopath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in specific joints when osteophytes and porosity are used as criteria of DJD diagnosis. However, the enthesis type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overall pattern of DJD and enthesopathies by sex were not found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This result suggests that DJD and enthesopathies react in different ways to variable etiological factors because they would have different levels of vulnerability to the causes. Therefore, the distribution and pattern of DJD and enthesopathies should be discussed with caution when they are used together as activity markers. Specific sites or bone elements may have a synergetic effect for the interpretation of lifestyles in the past. However, this possibility needs to be investigated in more depth in further studies since the results presented here are specific to this sample.
The two kinds of vertebral DJD occur independently except for the vertebral DJD of the cervical and lumbar spine in males. Also, the pattern of vertebral DJD did not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Ns with the exception of the intervertebral joints in the lumbar region of fema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vertebral DJD appears to have complicated aspects due to their interrelated dynamics rather than a consistent pattern. That is, it cannot be argued that either type of vertebral DJD better reflects the general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a population. Accordingly,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analysis of vertebral DJD must be carefully interpreted by considering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joint type and the region of the vertebral column.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on the prevalence of activity-related markers in people liv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Generally, the population from Eunpyeong Cemetery seems not to have experienced a great deal of habitual stress. This data make it possible to infer the lifestyles of the people who lived in Seoul between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period.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3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