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속화 사회의 시간경험에 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영

Advisor
박명진
Major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속화시간경험생애시간시간신자유주의통치성기업가 정신자기의 테크놀로지ICT정체성전문직 여성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2013. 2. 박명진.
Abstract
이 논문은 가속화 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의 시간경험이 형성되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00년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이 점점 더 바쁘게 느끼고,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현상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고도의 바쁨을 느끼는 전형적인 사례들을 대상으로 탐구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도의 바쁨과 시간부족감을 겪고 있는 집단으로 밝혀진 30대 고학력 전문․사무직 기혼여성들의 시간경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상생활의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 바쁨의 감정, 시간에 쫓기는 느낌 등 가속화 사회의 특징으로 여겨지는 시간경험들이 신자유주의적 기업가 정신과 이를 토대로 개척해 나간 생애과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시간경험이 시간량의 관점에서만 연구되는 기존 연구의 지형에 문제를 제기하고, 시간경험을 일상적 시간경험, 생애시간 경험, 정보테크놀로지가 생성한 시간에 대한 경험의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시간경험의 다차원성을 조망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시간일지 자료, 소프트웨어가 자동생성한 실시간 컴퓨터 사용내역 자료,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한 일상생활에 대한 질적 자료와 생애내러티브 자료를 수집․분석했다. 다차원적 시간경험과 정체성을 조망하기 위한 이론적 자원으로는 역사적 시간과 해당 사회의 보편적 시간체계에 대한 인식이 개인의 미래를 향한 행위들에 영향을 미친다는 슈츠의 이론, 해당 장(field)의 게임의 규칙에 대한 감각에 따라 자아의 미래에 대한 관계가 달라진다고 보았던 부르디외의 이론, 정체성과 시간경험이 상호배태적이라고 보았던 젠킨스의 논의, 내러티브를 통해 시간의 흐름 속에서 변화하는 정체성을 구성할 수 있다고 본 리쾨르의 내러티브 정체성 개념에 기대었다. 신자유주의 사회의 권력이 시간경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는 푸코의 통치성(governmentality), 장치(apparatus), 자기의 테크놀로지, 아감벤의 신성모독(profanation) 개념을 활용하였다.
첫째, 참여자들의 생애시간(life time)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내러티브 정체성 분석과 시간전망(time perspective) 분석을 실시했다. 이들이 역사적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정체성을 구성하고, 시간전망을 재정비해 나가는 양상을 살펴보고, 그 사회․문화적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나아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아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시간전망에 따라 달라진다는 시각에서, 생애내러티브 자료를 토대로 참여자들의 시간전망(time perspective)을 분석했다. 둘째, 일상적 시간(everyday time)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시간체계(temporal regime) 분석을 실시했다. 일상적 시간경험이 다양한 시간체계들, 즉 다양한 삶의 영역을 지배하는 서로 다른 시간사용 규칙들의 복합적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고 보고, 고학력 전문․사무직 여성들의 일상적 시간경험이 어떠한 시간체계 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시간체계들 간의 중첩의 정도와 양상은 어떠한지, 시간체계들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참여자들이 어떠한 시간전략을 통해 대응해 나가는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들이 바쁨의 감정을 느끼는 양상과 그 원인을 알아보았다. 셋째, 정보테크놀로지가 생성한 시간(ICT time)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서 참여자들의 정보테크놀로지 사용이 시간사용 행위를 어떻게 다르게 하는지, 어떠한 시간체계들과 접합되면서 시간경험의 성격을 다르게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바쁨과 시간부족감이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시간의 망딸리떼는 무엇이며, 그것이 공유되고 있는 지형은 어떠한지, 그 사회․문화적 원인과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고학력 전문․사무직 여성들의 생애시간 경험은 IMF 경제위기 전후 한국 사회가 신자유주의로 이행해가던 시기의 한국사회의 역사적 시간과 참여자 개인의 생애시간을 동시화(synchronization)한 양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동시화의 생애시간 경험은 이들이 정체성을 재정비하고 일하는 주체로서 미래를 개척해나가는 양상, 경쟁사회의 시간체계와의 관계를 설정하는 양상, 계급상승 의지, 기업가 정신을 발휘해가는 양상을 다르게 만들고 있었다. 이를 본 연구에서는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을 수용하는 양상으로 보았고, 그 양상이 노동의 특성, 직업 종사상의 지위, 계급화된 젠더의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신자유주의 통치성을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중산층의 기표는 기업가적 자아로서의 면모를 지속적으로 유지해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중산층의 기표를 동원해서 현재보다 더 높은 수준의 라이프스타일과 삶의 질을 일종의 이상향으로서 지속적으로 재설정함으로써, 고학력 전문․사무직 여성들은 자신의 현재의 상태를 부족한 것으로서 의미지움 하고, 기업가적 자아로서 끊임없이 더 나은 미래를 향해 자기계발․자기변형해 나가고 있었다.
둘째, 이들의 일상적 시간경험은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을 내면화한 이들일수록 보다 더 많은 시간체계, 보다 더 고도화된 시간체계의 영향 하에 형성되고 있었다. 고도화된 시간체계들이 서로 중첩되면서 일상적 시간경험은 보다 다중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고, 이는 바쁨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고학력 전문․사무직 여성들의 시간경험은 유급노동의 시간체계, 중산층 가족생활의 시간체계, 삶의 질을 중시하는 여가․소비의 시간체계, 젠더화된 시간체계, 경쟁사회의 시간체계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중 가족생활의 시간체계와 여가․소비의 시간체계가 다양한 시간들이 복합적으로 얽히는 경험을 야기하면서 고도의 바쁨을 야기하는 주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고도의 바쁨과 다양한 시간체계들이 중첩되는 경험을 가장 집약적으로 하는 이들은 커리어, 가족생활, 여성으로서의 아름다움 가꾸기 등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자 하는 다중적 정체성을 가진 팔방미인형 능력자들이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시간사용의 효용을 극대화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의미집약적인 활동들을 최대화하고자 하는 의미효율적 시간관리 문화가 공유되고 있었으며, 이를 공유하는 것이 세련된 중산층으로서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테크놀로지 사용은 유급노동의 시간체계와 소비․여가생활의 시간체계를 고도화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기업가로서의 삶을 경영․관리해 나가는 과정에서 시간경험을 보다 심화․증폭시키고 있었다. 그 양상은 유급노동의 시간체계와 접합되면서 업무의 속도를 빠르게 만들거나, 중산층의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망을 통해 고도화된 여가․소비의 시간체계를 보다 더 심화시키는 행위들로 나타나고 있었다. 정보테크놀로지 사용을 통해 유급노동의 시간체계가 고도화되는 현상은 속도관련 노동 규범을 기업가 정신을 가진 자율적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으로 내면화하는 경우에 나타나고 있었으며, 여가․소비의 시간체계가 심화되는 양상은 삶의 질을 고양시키고자 하는 강한 중산층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욕망을 지닌 이들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정보테크놀로지 사용이 시간경험을 심화시키는 양상은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고자 하는 이들, 시간체계들 간의 갈등과 바쁨을 겪는 이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고학력 전문․사무직 여성들의 다차원적 시간경험이 형성되는 양상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가속화 사회의 시간경험이 형성되는 양상을 모델로 제시했다. 본 논문은 가속화 사회에서의 일상적 시간경험이 한국 사회가 신자유주의 사회로 진입하면서 상품화와 개인화 논리가 급격히 확산되던 시기에 한국사회의 역사적 시간과 생애시간을 동시화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동시화의 경험에 따른 정체성과 시간전망의 재정비 양상이 이후 신자유주의 시간장치에 주체화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신자유주의 시간장치가 시간사용의 의미효율성을 높이는 시간사용 방식과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동을 세밀화․고도화할 것을 권유하는 가운데, 그 영향 하에 형성된 일상적 시간경험은 보다 다중적․고밀도인 성격을 띠면서 바쁨을 동반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정보테크놀로지는 다중적․고밀도의 시간경험을 보다 심화시키면서 신자유주의 시간장치의 한 요소로 작동하는 측면과 장치에 대한 탈주체화와 신성모독의 기회를 제공하는 측면을 모두 보이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장과정에서 가족이라는 사회적 장(champ)에서 체득한 독립적 주체이자, 근대화된 개별자로서의 개인의식이 신자유주의 사회의 상품화․개인화 논리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게 해주는 자본이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Time Experiences in Acceleration Society
- women professionals' experiences on life-time, everyday time, and ICT time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women professionals experience different aspects of time: life-time, everyday time and ICT time. This dissertation develops its argument on the basis that time is complex and multiple, implicated in every aspect of human lives. In order to capture the complexity of time, this study re-conceptualized time experiences as having three different meanings: first, everyday time experiences as time usage and feelings about time as resources such as busyness, feeling of time shortage, time pressure, and time harriedness
second, life-time experiences as relationships between historical time and an individual's life-time
thir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time as generated by using ICT. The study analyzed time diary data, auto-tracked data of computer usage, and qualitativ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to see how women professionals experience time at three different levels.
The results show that women professionals' experiences of everyday time differ depending on their life-time experiences especially when they entered labor market. The participants, in their 30s now, began their careers in the late 1990s and the early 2000s, when Korean society was going through tremendous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o incorporate neo-liberalism into new socio-economic formations. The ways that the participants synchronized their life-time to the historical time of Korean society influenced their life-time strategies and identity from then on. Those who failed to adjust to the changed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s have worked as temporary workers, whose employment is insecure and thus future cannot be planned. Those who made it for a stable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by synchronizing historical time and life-time need to become entrepreneurs of their own life to accommodate to the constantly changing markets with ever higher standards for workers.
Women professionals were also under the influences of the neo-liberal discourses that interpellate them to become CEO mothers, who manage their family members' every aspect of lives to maximize productivity with given time, perfect women who construct their looks to middle-class feminine ideals, and to be leisure-seeking enthusiasts with preferences for "quality time". All these ideal images of women are neo-liberal in terms that they ask for individual freedom, free choice, and individual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ives. These ideals, all time-consuming, require more activities and more time, and for that, affect women professionals' everyday time experiences.
The study showed women professionals who construct their identity under the high influences of the ideals of workers, mothers, women, and life-style seeker experience more time shortage and busyness. These, so-called "
well-rounded women"'s having-it-all spirits , with the influences of the neo-liberal ideals result in constant desires for more quality time, for the higher standard for life-style, for more intense mothering roles, the more accomplishments and competency as workers, all heightened the complexity of their everyday time experiences. The desire to maximize meaningful activities with given time and to increase efficiencies of time use led to highly rationalized time strategies and time squeeze. In the end, these "well-rounded women" are those who experiences high level of busyness and time shortages, and these result from their constant desire to be entrepreneurs to attain the ideals of successful professionals with middle-class life
styles.
A key finding of the study is these neo-liberal ideals inducing the multiplicity and complexity of everyday time experiences happens only with those whose life-time experiences are formed on automatic synchronizations between life-time and historical time in neo-liberal historical transi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ose "well-rounded women", who synchronized their life-time to the drastically changing social and historical time with no strenuous efforts, are more inclined to identify with the neo-liberal ideals of entrepreneurs and thus to make their everyday time experiences more multiple and complex.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dissertation makes an argument different life-time experiences in the historically transitions toward neo-liberal social and economical formations in the late 90s and the early 2000s in Korea led to differences in everyday time experiences now.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4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