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간호사-의사 간의 갈등 연구: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을 중심으로 : Nurse-physician Conflict: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병주

Advisor
김명언
Major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간호사-의사 갈등과업갈등관계갈등의사소통의 질의사 전문 권력갈등 전이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2013. 2. 김명언.
Abstract
간호사와 의사 간 갈등은 의료조직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나 권력구조, 사회 관습, 의료 시스템의 전문성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간호사-의사 갈등에 집단 내 갈등의 기본 개념을 적용하여 갈등 현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갈등 해결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갈등 비대칭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간호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의사와의 갈등을 측정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많이 사용된 회상법의 한계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갈등 현상에 대한 양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갈등의 비대칭성을 확인하는 연구 1과 갈등의 원인, 갈등 수준, 간호사의 직무만족 간의 관련성, 그리고 갈등의 전이 현상을 검증하는 연구 2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1에서는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와의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 결과, 갈등의 원인을 업무 요인, 개인차 요인, 상호작용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업무영역 중복, 업무 역량 부족, 상대에 대한 부정적 태도, 비효과적인 의사소통, 의사의 대인기술 부족 등이 의사와 간호사에게서 공통적으로 갈등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비대칭적 권한 관계에서 보이는 갈등의 비대칭성이 정도, 원인, 유형 등 의 여러 측면에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일기연구방법을 사용하여 5일간 갈등, 정서, 직무만족을 반복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계적 선형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연구 2-1에서는 갈등의 원인과 갈등의 양상 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지각된 의사소통의 질과 지각된 의사의 전문 권력이 높을수록 의사와의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은 감소하였고, 특히 의사소통의 질은 상대 의사의 직급 및 연차와 무관하게 갈등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한편, 간호사의 경력기간은 지각된 의사소통의 질과 관계갈등과의 관계에 대하여 곡선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연구 2-2에서는 갈등과 간호사의 직무만족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과업갈등과 관계갈등 모두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대하여 부적 관계를 보였지만 관계의 강도는 크지 않았다.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과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간의 관계 강도는 유사하여 간호사와 의사의 관계가 업무 위주로 형성됨을 반영하였고, 긍정 정서가 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3에서는 갈등의 전이현상을 검증하였는데, 전날의 과업갈등이 그 다음날의 관계갈등으로 이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전날의 긍정 정서가 매개 역할을 하였다. 즉 전날의 과업갈등은 그날의 긍정 정서를 감소시켰고, 그로 인하여 다음날의 관계갈등은 증가하였다. 정서의 전이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론적 의의와 이론적 및 실용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Even though the nurse-physician conflict is known to be negatively related to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hospital in a marked degree, there lacks systematic research due to the difficulties derived from factors such as power structure, social factors, and the expertness of medical system. This research was planned first to apply the well-established concept of intragroup conflict to the nurse-physician conflict, and second, to identify the conflict asymmetry among nurses and physicians which often interferes conflict resolution. Third, in order to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recalling the conflict incidents, the diary study has been tried, and the conflict-related phenomena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data.
The current study consists of study 1 analyzing the sources of the conflict and identifying the conflict asymmetry, and study 2 analyzing the conflict transfer proces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sources and level of th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study 1, through the interviews with nurses and physicians, the conflict sources could be categorized into task-related,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factors. Both nurses and physicians identified conflict sources as task overlap, lack of capability,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other party, ineffective communication, and lack interpersonal skill of doctors. Also there was the asymmetry among them in terms of conflict level, sources, type, and so on.
In study 2, nurses completed questionnaires for 5 consecutive working days repeatedly based on the diary study. In study 2-1, as communication quality and perceived expert power of doctors increased, the task conflict and the relationship conflict decreased. Especially, communication quality contributed to mitigate conflict regardless of doctors status. Nurse tenure had curvilinear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quality and the relationship conflic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flic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were investigated in study 2-2. Both the task conflict and the relationship conflict were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but the small intensity reflected the possibility of some other factors with greater explanatory power. Positive emot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in study 2-3 that the previous days task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next days relationship conflict, and that the previous days positive emo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it.
Methodological implicatio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with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discuss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4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