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양극성 장애 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행동활성화체계 모형의 검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빛나

Advisor
권석만
Major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양극성 장애행동활성화체계우울(경)조증다층 모형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임상·상담심리학 전공, 2016. 2. 권석만.
Abstract
양극성 장애는 우울하거나 고양되는 양방향의 기분 삽화들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기분장애이다. 양극성 장애는 유전성이 강한 정신장애로 여겨져 왔으나,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발병과 경과 그리고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축적되면서 양극성 장애를 심리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이론들이 제안되고 검증되기 시작하였다. 양극성 장애의 기분주기가 행동활성화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기능이 극단적인 상태 변화를 오가는 것에 기인한다고 가정하는 BAS 모형은 그 중에서 가장 유망한 것 중 하나로 평가받아온 이론적 모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양극성 장애 위험군을 대상으로 BAS 모형의 기본 가설들이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BAS 관련 인지와 상황적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 BAS 모형을 명료화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1에서는 경조성 성격 척도를 기준으로 대학생 중 양극성 장애 위험군을 선별하였으며, 위험군에서 BAS 민감성이 상승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높은 BAS와 낮은 행동억제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가 더 많은 (경)조증 증상을 예측하여, (경)조증 증상이 BAS의 과활성화 및 BIS의 억제 실패를 반영한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반면 낮은 BAS와 높은 BIS는 더 많은 우울 증상을 예측하여, BAS의 비활성화가 우울에 대응된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연구 2에서는 BAS 민감성이 기분 증상 뿐 아니라 양극성 장애와 관련되어 온 적응 상의 역기능과 순기능을 모두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일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BAS 민감성이 학업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는 충동성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충동성이 높은 위험군은 BAS 민감성이 높을수록 누적 학점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위험군은 창의적 성향이 더 높았으며, 이는 BAS의 하위요인 중 추동 및 재미 추구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더불어 위험군은 BAS 관련 성격강점인 낙관성과 활력이 더 높았으며, 이러한 성격강점들은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뒤에도 위험군의 높은 주관적 안녕 수준을 예측하였다.
연구 3과 4에서는 BAS 관련 상황적 요소를 추가하였으며, 그에 따른 BAS 활성화 반응의 조절곤란 측면에 집중하였다. 연구 3에서는 BAS 관련 사건으로 성공 상황을 실험적으로 조작하고, 위험군의 성공에 대한 정서적 및 인지적 반응성에 차별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거짓 성공 피드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위험군은 긍정 귀인 편향을 더 크게 나타냈으며, 이러한 증가된 인지적 반응성은 기저선 자부심을 통제한 뒤에도 실험 후까지 자부심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에 기여하였다.
연구 4에서는 실생활에서 광범위한 BAS 관련 생활사건을 포함시킴으로써 생태학적 타당도를 제고하고, 반복측정 설계와 다층 모형 분석을 통하여 BAS 조절곤란의 측면을 직접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 위험군은 일상생활에서 BAS 관련 생활사건을 더 많이 경험하며, BAS 조절곤란 수준도 높은 경향이 있었다. 다층 모형 분석 결과 BAS 활성화 생활사건의 발생은 양극성 스펙트럼 증상 증가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BAS 조절곤란은 생활사건에 따른 증상 증가 속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에 위험군은 일상에서 BAS 관련 생활사건을 더 많이 경험할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반응성도 더 커서, 결과적으로 증상 유발 가능성이 커지는 이중 효과를 갖는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BAS 모형이 국내에서 양극성 장애를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기존의 BAS 모형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Bipolar disorder is a recurrent mood disorder characterized by episodic mood fluctuations of depression and (hypo)mania. While it had been regarded as a clearly biological disorder, research has accumulated to indicate that psycho- social factors can also influence the onset, course and prognosis of bipolar disorder. Among the recently proposed psychological theories of bipolar disorder,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model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working models. The main purposes of this dissertation are to test the basic assumptions of the BAS model in a Korean high-risk group and to extend the model by elaborating BAS-relevant cognitive and situational factors in a series of studies.
As a preliminary step to apply the BAS model, study 1 investigated whether the BAS sensitivity is elevated in the high-risk group and whether the BAS sensitivity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ood symptoms. In an undergraduate high-risk group defined by the upper decile of the Hypomanic Personality Scale, the level of BAS sensitivity was heightened. With regard to mood symptoms, high BAS and low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contributed to more (hypo)manic symptoms, thereby confirming the assumption that (hypo)mania reflects BAS hyperactivation and failure of BIS inhibition
whereas, low BAS and high BIS predicted more depressive symptoms, suggesting that BAS deactivation corresponds to depression.
Previous research indicated that bipolar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both high levels of functional impairment and high levels of creativity, and premorbid achievement. Study 2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heightened BAS sensitivity can also be related to both maladaptive and adap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bipolar disorder. Results showed that high BAS sensitivity, when combined with high impulsivity, can impair academic functioning of the high-risk group. Meanwhile, the high-risk group showed higher self-reported creativity, whic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rive and fun seeking subfactors of BAS sensitivity. Also, the high-risk group possessed higher BAS-relevant character strengths (optimism, vitality), and these character strengths contributed to higher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concept that BAS activation occurs in response to BAS input, study 3 and 4 were designed to take the BAS-relevant situational factors into account and to focus more on the BAS dysregulation aspect of the model. Study 3 was carried out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whether the high-risk group differently respond to the BAS-activating success situation in terms of affective (prolonged positive affect) and cognitive (positive attribution bias) response. Although the prolonged positive affect hypothesis was not directly supported, the high-risk group showed stronger positive attribution bias to false success feedback, which was in fact identically given to all participants regardless of their actual performance. Moreover, this positive attribution bias contributed to the prolonged increases in a specific positive affect, pride in the high-risk group, even when baseline pride was controlled for
whereas, baseline pride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in the control group.
Study 4 attempted to enhance ecological validity by encompassing a wide range of actual BAS-relevant life events in the daily life of participants and to directly address the BAS dysregulation aspect by utilizing a repeated-measures design and multilevel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high-risk group experienced more BAS-relevant life events and tended to have higher BAS dysregulation level. In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the occurrence of BAS activation life events predicted an increase in bipolar spectrum symptoms. Also, the BAS dysregulation, defined by the individual standard deviation of the BAS activation states for 7 consecutive day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 and symptom expression in the cross-level interaction analysis. The stronger the BAS dysregulation, the bigger the impact of the BAS life events on the symptom expressions reactivity slope.
Albeit results obtained from the high-risk group, the present dissertation provided intial empirical evidences that the BAS model can be adequately applied to investigate bipolar disorder in Korea.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the BAS model by clarifying a few understudied components through various methodologies. Last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disser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4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