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 A Study on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Design Pl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주현

Advisor
소경희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역량 중심 교육과정 설계음악 교과역량범교과적 역량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music subject competencycross-curricular competenc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2014. 8. 소경희.
Abstract
최근 교육계에서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로 인해 암묵적 지식의 중요성이 드러나면서 기존의 지식 전수 중심 교육에 대한 문제 제기가 생겨났다. 이에 따라 교육 분야의 거시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모색하고 학생들의 삶과 미래를 고민하는 대안 제시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맥락 하에 21세기 학생들의 미래와 삶을 위한 교육 패러다임으로서 등장한 것이 '역량'이다. 특히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역량' 개념은 인간의 삶 전반에 있어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 설계의 주요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음악교육 분야에서도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을 갖고 집중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학교 음악교육이 추구하는 역량을 포함한 우리나라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설계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역량의 의미와 학교 음악교육에서의 역량의 의미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그다음 캐나다 퀘백 주, 독일 13개 주, 호주 국가수준 등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발 사례 검토를 통해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징 및 시사점을 정리해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30여 명의 음악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의견을 수렴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징 및 시사점을 정리하자면,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로 교육 목적, 역량, 음악교과 내용지식, 성취기준 등이 제시되었다. 교육 목적은 음악교과에서 추구하는 역량의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 두 측면이 모두 고려되었다. 음악 교과역량은 교육과정 문서 상에서는 여러 역량 범주 및 하위 요소들로 나누어져 설명되었다. 그러나 음악 교과역량이 하나의 총체적 능력인 만큼 실제 수업에서는 각 역량 범주들이 상호 연계 및 보완되어 개발되는 특성을 갖는다. 음악교과 내용지식은 음악 교과역량과 상호 연계되기 때문에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등장하였다.
교육과정 구성요소 간의 관계 및 설계 방식 측면에서는 몇 가지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교육 목적과 역량의 관계 측면에 있어서 교육 목적은 역량을 설정하는 근간이 되고, '역량 개발'은 주요 교육 목적으로서 제시되기도 한다.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의 관계는 주요 설계 쟁점으로, 설계를 위한 접근 방법에는 ① 음악 교과역량 중심 접근, ② 범교과적 역량 중심 접근, ③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 이원 접근 등의 3가지 방식이 있다. 또한, 음악 교과역량과 음악교과 내용지식 설계를 위한 접근 방법에는 ① 음악 교과역량 중심 접근, ② 음악교과 내용지식 중심 접근, ③ 음악 교과역량과 음악교과 내용지식 이원 접근 등의 3가지 방식이 있다. 역량과 성취기준의 설계 방식에는 역량의 의미를 자세히 기술하고 성취기준을 별도로 제시하는 방식과 성취기준으로 역량의 의미를 제시하는 방식이 있다. 성취기준을 별도로 제시하는 경우에는 각 음악 교과역량별로 제시하는 방식과 모든 음악 교과역량을 통합하여 하나의 성취기준으로 제시하는 방식이 있다. 따라서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설계는 음악교과가 추구하는 역량 설정뿐만 아니라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 음악 교과역량과 음악교과 내용지식, 역량과 성취기준 등의 관계 및 설계 방식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설계 방안에 대해서는 교육과정 구성요소 측면과 교육과정 구성요소 간의 연계 방안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교육과정 구성요소는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 음악교과 내용지식, 성취기준 등이다.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은 음악교과적 목적과 범교과적 목적으로 구성된 총 17개 항목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 결과에 따라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이 상호 연계하는 이원 접근 방법의 관점을 취하였고 그에 따라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을 모두 제안하였다. 음악 교과역량은 '듣기 및 이해', '성찰', '표현' 등의 범주로 이루어졌고, 범교과적 역량은 '학습역량', '사회적 역량', '개인적 역량' 등의 범주로 이루어졌다.
교육과정 구성요소들은 상호 연계되는 특징을 지니는 만큼 교육과정 구성요소 간의 연계 방안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모든 구성요소의 근간이 되므로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에 기반을 둔 역량과 음악교과 내용지식이 제시되어야 한다. 델파이 조사 결과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이 상호 연계되어 제시되는 접근 방법이 선택된 만큼,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서 체제와 연관 지어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을 연계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교육과정 '목표' 부분에 범교과적 역량을 제시하고, '내용' 부분에서 음악 교과역량을 범교과적 역량과 연계하여 제시하며, '교수•학습 방법', '평가', '부록' 부분에서는 음악 교과역량과 범교과적 역량이 상호 연계되는 내용을 제시한다. 음악 교과역량은 음악교과 내용지식 및 성취기준과 밀접하게 연관성을 맺고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과정 설계 시 음악 교과역량의 의미를 먼저 서술하고, 각 음악 교과역량 범주별로 음악교과 내용지식을 연계하여 제시하며, 성취기준은 별도로 각 음악 교과역량 범주별로 제시하도록 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기존의 지식 중심 교육만을 유지할 수는 없다. 역량을 수용하는 입장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어떤 수준이나 방식으로든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고려는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음악교과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하려고 한다면, 장기적 안목을 갖고 체계적인 연구 과정에 근거한 개발 및 실행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21세기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교 음악교육이 되기 위해 음악교육계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음악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회를 잘 활용함으로써 더 나은 음악교육의 미래를 위해 노력하려는 모습이 필요하다.
In recent years, issues about existing knowledge-centered education have been raised with the importance of tacit knowledge due to the advent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For this reason, it has been required to suggest alternatives that seek macroscopic paradigm shifts and contemplate the life and future of students. In this context, 'competency' appears as the education paradigm for the future and life of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the 'competency' concept through the OECD 'DeSeCo' project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aspect of human life in general and emerged as the main concept of curriculum design around the world. 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and attention about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also emerged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Based on such a need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esign plan of Korean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including the competency pursued in a school music education.
To this aim, the meanings of competency and music education competency in schools were discussed through investigating previous studies. Then the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were discussed through an investig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cases in the province of Quebec in Canada, 13 states in Germany, and Australia. Based on this review, the Delphi survey of the appropriate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for Korea was conducted with 30 music education professionals in Korea and their opinions were gathered. Based on this result,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plans wer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summarize the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a foreign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four components of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were presented: the aim of education, competency,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aim of education w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competency that music education pursues. In the music curriculum, both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were considered. In curriculum document, music subject competency was explained as it is divided into the various categories of competency and sub-elements. But music subject competency is an overall ability, and so each category of competency is interconnected, supplemented, and developed in a real instruction. Because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 is interconnected with music subject competency, it was also a basic component of the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Some features were discovered in terms of relationships and design approaches of the curriculum components. Educational objectives are the basis to set up the competency and 'competency development' is also presented as the main educational objective. The major design issu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There are three approaches for designing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the music subject competency-centered approach,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y- centered approach, and the two-way approach both of the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y. There are also three approaches for designing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 the music subject competency-centered approach, the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centered approach, and the binary approach of the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the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 There are two ways for designing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to describe the meaning of competency and to present achievement standards separately
to present the meaning of competency by means of presenting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case of the separate presenting of achievement standards, there are presenting methods either by each of the music curriculum competencies or by integrating all the music subject competencies. The design of a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requires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s and design approach of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as well as the enactment of the competency to be pursued in a school music education.
Second, the design plan of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e aspects of the curriculum components and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um components.
First of all, curriculum components are the aim of school music education,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 achievement standards. The aim of school music education was proposed as a total of 17 items consisting of music subject purposes and cross-curricular purposes. This study adopted a two-way approach in which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are inter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Thus, both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were suggested. Music subject competency consists of 'listening and understanding', 'reflection' and 'expression' categories,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consists of 'learning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and 'personal competency' categories.
As the curriculum components are correlate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m should be considered in competency - based curriculum design. Because the aim of the school music education is the foundation of all component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competency and the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aim of the school music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According to the Delphi survey, the approach that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are interconnected was selected, and then the way of association of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cross-curricular competency was suggested in connection with the music curriculum documental system. Therefore, cross-curricular competency should be presented in the 'Aim' section of curriculum, music subject competency should be presented in the 'Content' section of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y, and the interconnected contents should be in 'Teaching-Learning Method', 'Assessment' and 'Appendix'. The music subject competency should be designed in the way that it is closely related with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achievement standards. When the curriculum is designed, the meaning of music subject competency should be described first, music subject content knowledge should be presented in the connection with each music subject competency category, and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separately presented by each music subject competency category.
The traditional knowledge-based education cannot be solely maintained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accepting competency, but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eds to be considered at any level and in any way. Therefore, if we apply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the music subject, we should have a long-term perspective, and it is necessary to have the development and an implementation process based on systematic research. In order to create meaningful school music education for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it is required for music education circle to strive for a better future for music education by making good use of the opportunity that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uld contribute to music educ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5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