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How are Modern Dance Choreographers Educated? : 현대무용 안무가는 어떻게 교육되어지는가? -안무 프로네시스 구성요소 탐색-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나이

Advisor
최의창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현대무용안무안무 프로네시스안무 테크네창의성무용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3. 8. 최의창.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무용 안무 교육에서, 창의적인 안무가를 길러내기 위한 교육내용과 방법을 탐색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안무가 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안무가도 교육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안무가들의 교육과정, 발달과정 그리고 창의적인 안무를 위한 영향 요인을 경험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창의적인 안무교육의 내용과 그에 맞는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식, 현대무용, 안무, 창의성 관련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이론인 테크네(기술)와 프로네시스(실천적 지혜)는 창의적인 안무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을 도출하는 데에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방법론으로는 질적연구방법을 채택했으며, 후기실증주의의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논리와 기법에 있어서 통합적인 관점을 취하였으며, 현상학적 접근과 근거이론 접근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무용 안무가의 교육과정은 크게 두 개로 분류된다. 학사중심과정과 석사중심과정이 바로 그것이다. 각 과정은 세 가지의 단계로 형성되며, 학사중심과정은 학부무용교육, 무용수, 그리고 안무가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석사과정중심 은 무용수, 석사무용교육, 그리고 안무가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이 세 가지의 단계는 안무가의 인식의 발달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안무가의 지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안무의 창의적인 교육내용을 아리토텔레스의 테크네와 프로네시스로 살펴 보았을 때, 안무 테크네와 프로네시스는 크게 세 가지의 차원으로 분류된다. 안무 공식, 안무 내용, 그리고 안무 영감이 바로 그것이다. 안무 공식은 가장 기초적인 차원으로서 안무를 하는데 요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들을 배우는 차원이다. 안무 내용은 중급 차원으로서 안무를 하기 위해 필요한 주제들을 배우는 차원이다. 마지막으로, 안무 영감은 가장 고급 단계로 기초, 중급 단계를 거쳐야 하며, 안무의 기본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안무 방법들을 발달 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배우는 차원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내용을 토대로 하여 효과적인 안무 프로네시스 교수방법에는 영향, 양성, 그리고 함양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무 프로네시스는 궁극적으로 개인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함이며, 각 단계마다 그에 적합한 교수방법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로 영향은 학생 안무가들의 관찰력, 호기심, 감상력, 그리고 분석력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방법이다. 둘째로, 양성은 학생 안무가들의 성찰력, 상상력, 주제화, 그리고 구조력을 양성하는 교수방법이다. 마지막으로, 함양은 학생 안무가들의 논의력, 비판력, 탐구력, 그리고 협동력을 함양하는 교수방법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대한 심층적 해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창의적인 안무가는 가르칠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네 가지의 창의성을 토대로, 미니-창의성 (mini-c), 그리고 리틀-창의성 (little-c) 수준의 안무는 분명 가르쳐 질 수 있다고 본다. 나아가, 창의적인 안무교육을 통해 프로-창의성 (Pro-c) 수준으로 이어 줄 수 있을 것이라고도 사료된다. 둘째, 창의적인 현대무용 안무교육은 무용수로서 안무를 행할 때 외에 다른 환경에서도 안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현대무용 안무 프로네시스는 자기계발의 성격을 지니며, 더 나아가 안무 테크네와 어울려지면서 창의성을 발현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현대무용 안무교육적 구성요소인 안무 프로네시스의 교수방법은 특징적으로 간접적인 교수방법이며 수업 내뿐만 아니라, 수업 외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와 실천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연구를 위해서는 첫째, 현대무용 안무교육의 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론적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육내용으로서 안무 프로네시스가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안무 테크네와 프로네시스와 관련한 구체적인 안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실천을 위해서는 현대무용 안무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교육자의 기준 설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교사 교육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education of modern dance choreographers. The primary focus of this thesis was to clarify and identify educational contents and relevant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enhance the creative process in the education of modern dance choreographers. This was achiev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modern dance choreographers educational backgrounds, developmental stages,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development as choreographers, and their processes of choreography. This thesis ultimately pursues to uncover two assumptions that exist in the education of choreography, which are one, choreographers are born and not made, and two, choreographers are educated as dancers while being choreographed on.
The thesis is founded on a literature review, which refers to a variety of fields of knowledge including Aristotles theory of knowledge, modern dance, choreography, and creativity. Among these, the primary focus is on aplying Aristotles techne and phronesis on the education of choreographers in enhancing creative work. The research tracks ten professional choreographers, of whom five were selected from Korea and the remaining five from the United State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nd grounded theory approaches. Through a series of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earch uses the choreographers reflections as a basis for interpretation and combines systematic thematic analysis of texts with the interpretation in the finding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the choreographers majorly divide in to two tracks: undergraduate centred track and graduate centred track. The progression of these tracks proceeds in three stages: in the case of the undergraduate centred track, undergraduate dance education, professional dance career, and choreography career, or in the case of the graduate centred track professional dance career, graduate dance education, and choreography career. The three stages are further interpreted through the choreographers developmental stages and significant influences found in each stage. The former refers to the choreographers perception towards choreography. The latter refers to the choreographers information acquired for choreography.
Secondly, educational contents of choreography identified through the components of choreographic techne and phronesis are clarified in three dimensions: choreography in form, choreography in context and choreography as metaphor. Choreography in form which signifies the beginning level of ones education of choreography includes the fundamental ingredients and tools of choreography. Choreography in context, at the intermediate, level addresses the contextual aspect of choreography, and choreography as metaphor, at the advanced level, addresses association of choreography with the larger realms of the dance and art communities.
Lastly, teaching methods identified for choreographic phronesis according to choreography in form, in context and as metaphor are to implicate, unfold and cultivate, respectively. To implicate is to pursue personal development by observing, questioning, appreciating and analysing. To unfold is to address personal development involving reflecting, imaging, thematising and mapping. To cultivate is to encourage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discussing, critiquing, researching and collaborat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research found that choreographers can be taught to produce mini-c and little-c choreography and may even initiate Pro-c choreography, and that choreography can be taught in various environments and does not need to be confined to the professional dance field of working with choreographers. Secondly, choreographic phronesis is considered to be the development of the self. Furthermore, choreographic techne and phronesis have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and that this interdependent relationship is identified to produce creativity in choreography. Thirdly, teaching methods identified for choreographic phronesis are mainly indirect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of choreographic phronesis are processes that form a continuous extension beyond the classroom.
Finally, the research culminates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in the avenues of extended theoretical research on choreographic phronesis and its relationship to creativity. Also, a need for research on program development for choreographic phronesis is suggested. In the context of practical implementation, the research ends with a question of who is the choreography teacher with the ability to engage both choreographic techne and phronesis in choreography education to cultivate creative choreographers.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5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