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등학생의 EBS 수능강의 수강 효과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현정-
dc.contributor.author길혜지-
dc.date.accessioned2017-07-13T17:15:42Z-
dc.date.available2017-07-13T17:15:42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202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696-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4. 8. 박현정.-
dc.description.abstractEBS 수능강의는 사교육비 경감 교육정책의 일환으로 꾸준히 제공되어 왔으며,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는 EBS 수능강의 및 수능연계교재의 내용과 70% 연계 출제됨에 따라 고3 수험생을 포함한 다수의 이해당사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EBS 수능강의 정책과 관련된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국어, 수학, 영어 교과별 EBS 수능강의 수강이 일반계열 고3 학생들에게 사교육 참여 및 사교육비 지출,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EBS 수능강의 수강 효과는 양적․질적 자료를 혼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양적 자료로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집․관리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 4차년도(2008년)부터 6차년도(2010년) 자료 중 일반계열 고등학생 3,32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때, 학생수준과 학교수준에서의 위계적 맥락을 고려하여 다층 분석하였으며, 처치변인의 성격에 따라 다층경향점수 또는 일반화경향점수를 추정한 후 이를 활용한 역확률 가중치를 반영함으로써 표본선택편의를 최소화하여 분석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양적 분석 결과를 심층 이해하기 위하여 PUPA 모형에 근거하여 EBS 수능강의와 관련된 이해당사자들을 크게 4집단, 즉 공급자(EBS, KICE, EBS 수능강의 강사 및 연계교재저자), 수요자(학생, 교사, 사설 학원 강사), 전문가(관련분야 연구자), 교육당국(교육부, 시도교육청)으로 설정하고 이들의 입장을 균형 있게 드러내 줄 수 있는 문서 자료와 총 44명을 대상으로 한 면담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BS 수능강의 수강이 사교육 참여율을 낮추는 효과는 미비하였으나, 국어와 영어에서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사교육비를 일부 경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와 영어는 수능연계 체감율이 높은 편이므로 학생들의 EBS 수능강의에 대한 주관적 효용이 사교육비 경감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수학은 과목 특성상 연계를 거의 체감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연계 30% 문항에 대한 투자적 성격의 사교육 수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교육비 경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교과별 사교육 수요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파악한 후 그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는 방식으로 EBS 수능강의를 제공함으로써 학생과 학부모가 사교육 참여를 결정하는 판단 자체를 바꿀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EBS 수능강의 수강은 수학과 영어에서 중소도시와 읍면이하지역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학생의 수능점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공교육과 사교육 여건이 열악한 저소득층 학생들을 비롯한 교육 소외계층에게 EBS 수능강의가 교육복지 측면에서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것 을 시사한다.
셋째, EBS 수능강의 수강기간 및 수강강도는 학생들의 교과이해도에 따라 교과별 사교육비 지출과 수능점수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에게는 수능점수에 부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중․하위권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EBS 수능강의를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매커니즘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학생들의 개별적인 맥락에 적합하게 EBS 수능강의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EBS 수능강의를 방송이나 인터넷 시청에 한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수강 효과가 과소 추정될 수 있다는 점과, 전국규모에서 면담 자료가 수집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양적․질적 방법을 혼합하여 체계적으로 EBS 수능강의 수강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과, EBS 수능강의가 학생들이 처한 생태학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활용되어야 함을 강조하여 향후 EBS 수능강의가 교육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9
1. EBS 수능강의 확대 배경 9
가. 교육격차의 개념 9
나. 교육격차의 실태 11
2. 정부별 사교육 정책과 EBS 수능강의 활용 22
3. EBS 수능강의 수능의 효과 31
가.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효과 31
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40
다. 이 연구와 선행연구들과의 차이점 48

Ⅲ. 연구의 가설 51
1. 주요 변인의 설정 및 정의 51
가. EBS 수능강의 51
나. 사교육 53
다. 학업성취도 55
2. 연구 가설 55

Ⅳ. 연구 방법 57
1. 양적‧질적 접근 혼합 57
2. 양적 연구 59
가. 분석 자료 59
나. 분석 방법 61
다. 분석 모형 92
라. 분석 도구 102
3. 질적 연구 102
가. 분석 자료 102
나. 분석 방법 113

Ⅴ.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효과 분석 115
1. EBS 수능강의 수강과 사교육 참여 간 관계 115
가. EBS 수능강의 수강 특성 115
나. EBS 수능강의 수강과 사교육 참여에 따른 집단별 특성 119
다. EBS 수능강의 수강에 따른 사교육 참여 변화 124
라. 사교육 참여유형에 따른 EBS 수능강의 수강 특징 129
2. EBS 수능강의 수강이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132
가. 양적 분석 결과 132
나. 질적 분석 결과 140

Ⅵ.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156
1. EBS 수능강의 수강에 따른 사교육비 지출 수준 156
2. EBS 수능강의 수강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158
가. 양적 분석 결과 158
나. 질적 분석 결과 186

Ⅶ.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195
1. EBS 수능강의 수강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포 195
2. EBS 수능강의 수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197
가. 양적 분석 결과 197
나. 질적 분석 결과 220

Ⅷ. 요약 및 논의 232
1. 요약 232
2. 논의 233
가. EBS 수능강의와 수능 연계정책의 결과타당도 검증 236
나. 학생들의 참된 교육적 성장을 위한 EBS 수능강의 제공 240
3.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43

참고문헌 247
부 록 263
Abstract 26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1059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EBS 수능강의-
dc.subject사교육 참여-
dc.subject사교육비-
dc.subject대학수학능력시험-
dc.subject다층경향점수-
dc.subject일반화경향점수-
dc.subject.ddc370-
dc.title고등학생의 EBS 수능강의 수강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yeji Kil-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ⅷ, 271-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