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각과 공적 공간의 존재론적 장소성 : An Ontological Study on the Place in Public Spa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희

Advisor
이용덕
Major
미술대학 미술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공미술현존성장소 특성적사이-공간거주존재론적 장소성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학과 조소 전공, 2013. 8. 이용덕.
Abstract
연구자는 조각의 공간과 사물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작품을 진행하여왔다. 사물의 공간과 시간이 결합되는 곳은 장소이다. 이 논문은 모더니즘 이후 조각의 본질을 장소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미니멀리즘의 현상학적 공간에서 최근의 공공미술에 이르기까지, 조각과 공적공간에 있어서의 장소성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장소의 존재론적 접근을 통해 조각과 공적공간에서 장소 논의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미니멀리즘은 모더니즘의 자기 완결적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하였다. 그 대안은 장소적 측면을 강조하는 현존성(presence)이다. 현존성은 관객과 만나는 지점에서 작품의 의미가 형성되는 장소성이 강조되는 개념이다. 미니멀리즘은 모더니즘 미술에 시간과 장소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서 의미의 지평을 작품의 내부에서 외부의 장소로 이동시켰다. 이것은 공공 공간으로 관심이 이동하는 과정이 되었다. 이후 70년대의 개념미술, 프로세스미술, 대지미술, 장소 특성적(site-specific)미술 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장소 특성적 미술은 작품이 놓이는 장소가 작품의 주제가 되거나 그 장소 자체가 작품화되는 경향의 미술을 말한다.

60년대 후반부터 많은 도시의 공적 공간이 조각의 중요한 장소로 부각된다. 주로 대 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나 공공장소를 미화하거나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공공미술이 진행되었다. 70년대에서 80년대 말까지의 공공미술은 대지 미술로부터 비롯된 장소 특성적(site-specific) 요소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작업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수행되었던 장소성의 개념은 물리적 환경의 개념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1990년대 초반 이런 물리적 환경 중심의 장소 특성적(site-specific) 미술을 비판하는 공공미술의 논의가 생겨났다. 수잔 레이시(Suzanne Lacy)나 수지 개블릭(Suzi Gablic) 같은 이들이 장소의 물리적 요소에 치중되었던 지난 공공미술에 대한 반성으로 소통 중심의 작업의 중요성을 주장한다. 수잔 레이시는 전통, 비전통의 매체의 구분을 떠나 소통을 중시하는 시각예술을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이라고 칭했다.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은 미술 작품보다는 그 장소에서 살아가는 커뮤니티가 대상이 되고 커뮤니티의 정체성이나 소통의 담론이 주가 되는 작업이다. 이렇게 장소에서의 커뮤니티와 소통이 중시 되는 작업을 가리켜 이전 장소 특성적(site-specific)의 사이트(site)와 구분하여 플레이스 특성적(place-specific)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공공미술의 장소 담론에서 영문은 site 와 place를 나누어 사용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둘 다 장소로 번역된다. 우리나라의 번역된 용어가 따로 없기 때문에 영문을 그대로 한글 표기로 사용하기로 한다.
서구에서는 1990년대,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대에 많은 플레이스 특성적 작업들이 시도된다.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은 시각적 관조의 대상으로 간주되었던 미술의 영역을 확장하여 사회제도의 문제라든지 여성문제, 소수자나 타자의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주변 화된 공동체 들을 참여시키고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등 많은 직접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또 18세기 이후 진행되어온 미술관과 미술사 중심의 구조적 한계를 벗어나도록 하였고 미술의 영역을 상업주의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갤러리 중심에서 구체적인 삶의 현장으로 확장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역시 장소의 의미를 직접적인 소통의 측면으로만 접근한 한계를 보여준다. 새로운 장르공공미술의 영향으로 직접적인 소통을 우선시 하지 않는 공공미술작품은 자기중심적이고 순수 미학적인 것이어서 공공장소에 적합하지 않은 부수적인 오브제인양 취급되기도 한다. 이런 주장은 공공미술에서 미술의 자율성을 배려하지 않고, 장소를 물리적 조건에서만 접근하거나(사이트 특성적) 커뮤니티의 소통만을 우선순위에 둔(플레이스 특성적) 이유라고 생각한다.

공적 공간에서 행해지는 공공미술의 장소논의는 공공성 논의로 확장된다. 공공성의 개념 논의는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두 명의 이론가,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이론을 고찰 하였다. 하버마스의 경우는 그의 저서 공론장의 구조변동에서 서술하고 있는 공공성의 역사적 흐름을 사회현상과 관련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한나 아렌트의 경우 그녀의 정치사유에 나타난 사이개념, 공간개념, 공공성개념을 미술과 공공성 개념으로 접근하여 서술하였다. 아렌트는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이 공존의 형식으로만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관점들의 다양함 속에서만 의미 있는 공동세계가 실존한다고 주장하는 아렌트의 논의에서 통제되고 획일화된 공공성이 아니라 차이와 다양성을 중시하는 열린 개념의 공공성을 도출해 낼 수 있다. 타자나 주체 중심의 일방적 공공성이 아니라 주체가 살아야 타자가 온전히 보호받고 타자가 살아야 주체가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상호 주관적 공공성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버마스와 아렌트가 특별히 미술의 공공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는 않지만 오늘날의 조각의 과제와 미술에 있어서 공공성의 방향을 또 다른 지평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준다.

연구자는 사이트 중심이나 플레이스 중심의 논의는 공공성의 비대칭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장소는 매순간 가치가 부여되는 현장이며 실존이다. 장소는 물리적인 조건이나 대상 커뮤니티의 정체성으로 분리되어 사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항시적으로 예술사건, 존재사건 들이 일어나는 곳이다. 장소성 논의의 지평을 확장하기 위하여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조각과 장소 사유를 고찰하였다. 예술을 존재의 진리가 가장 잘 드러나는 영역으로 본 하이데거는 아예 조각 작품 자체가 장소라고 주장한다. 이 말은 장소가 단순히 물리적 공간의 일부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자신도 사물의 형태를 띠면서 다른 사물들과의 상호 연관관계 속에서 주변 사물들의 본질이 드러나도록 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김동훈, 『행복한 시지프스의 사색, 하이데거 존재론과 예술철학』, 서울: 마티, 2012, p.249.
하이데거의 공간과 장소 사유가 구현되는 예술작품을 에두아르도 칠리다(Eduardo Chillida)와 앤소니 곰리(Anthony Gormly)의 조각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장소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작품에 나타나있는 장소, 공간, 시간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처음 분석한 작품들은 특정 장소를 주제로 하는 장소 특성적(site/ place-specific)작업이다. 이시기 작품들은 장소가 바로 작품 자체가 되기도 하고 작품을 통해서 관람자가 장소의 내러티브를 새롭게 구성 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실제 장소의 역사와 현재의 시간이 작품을 매개로 소통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같은 시기 컴퓨터 네트워크가 가지는 소통의 가능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작업하였다. 서로 다른 공간들을 네트워크가 연결함으로써 새롭게 장소가 마련된다. 가상공간은 장소를 마련하는 구체적 공간으로 작품의 대상이 되었다. 연구자의 초기의 작품에서 이질적인 매체들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공간창출의 형식이 디지털 작업과 형식적 연결을 보여주고 있어 초기 작품들도 함께 분석하였다. 작품의 구조와 재료의 속성이 가지고 있는 공간과 시간을 탐구하던 작업이다. 이후 탄광지역에서 이루어졌던 공공미술 프로젝트인 철암그리기 작업을 통해 실제 장소에서 일어나는 작가와 공동체 사이의 상호작용과 작품 활동을 분석하였다. 철암그리기 프로젝트로부터 자율적인 커뮤니티의 생산, 기억과 기록, 지속성의 문제를 공적공간에서의 장소개념의 확장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로 제시하였다.

철암그리기프로젝트의 장소 경험을 통하여 연구자는 조각, 거주, 그리고 장소는 존재론적으로 연결된 공속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체험하였다. 노동과 실존의 흔적을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장소의 경험이 연구자로 하여금 인간의 거주와 조각의 관계에 대한 문제로 관심을 돌리게 했다. 이런 관심을 표현하는 최근의 작업들을 거주의 범주로 묶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장소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을 통해서 조각과 장소가 가지는 사물적 요소의 풍부한 사유의 영역이 앞으로의 연구자의 작업에서 탐구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n Ontological Study on the Place in Public Space

Lee, Kyung Hee
Fine Art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creating art, this artist has been focused on the flow of time and the spatiality of sculpture. For any given object, its location brings together these two concepts. This thesis approaches the essence of postmodern sculp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place. The place of the sculpture and space was explored for the breadth of artworks ranging from the phenomenological space of minimalism, all the way through to contemporary public art. The discussion on sculpture and place within public space was expanded through an ontological approach towards the concept of place.

Minimalism of the 1960s tried to overcome the confines imposed by the self-referential space of modernism. The alternative was an emphasis on presence, which focuses on the place of the artwork. The concept of presence is dictated by the location, where the artwork meets the observer. Minimalism transforms the focus from within the artwork outward to its exterior by introducing the concepts of time and space to modernism, and this transition has been carried out all the way on to the realm of public space. This transition greatly impacted the conceptual, process, earth art, and site-specific art of the 1970s. Site-specific art refers to artwork that is largely determined by its place, either by incorporating the surroundings into its central idea, or allowing the place itself become a part of its embodiment.

In the late 1960s, the public space within many cities emerged as important locations for sculpture. Most of the public art was in big cities to beautify or stimulate public locals. Between the 1970-80s public art took interest in site-specific factors arising from earth art. However, the concept of place in these periods tends to focus on the el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In the early 1990s, discussions within the field of public art critical of such limitations began to arise. Suzanne Lacy and Suzi Gablic attempt to overhaul the tradition by creating around conversation. Suzanne Lacy defines new genre public art as conversation centric visual art, irrespective of the traditional distinction of medium. The inhabitants of the location is the major subject of new genre public art and the identity and conversation of the community is at the core
less important is the artwork itself. Place-specific is the term used to refer to these works that are centered on conversation, and is compared to site-specific. Numerous examples of place-specific works are found in the West in the 1990s and in Korea in the 2000s. New genre public art has effectively taken art from being objects of visual observation and expanded it to become vehicles of involvement by touching on various areas including social policy, women, and minority issues. It is also attributed to new genre public art that the style has allowed art to break free of the structural confines of commercialism evolving around galleries and art history since the 18thcentury and brought art closer to everyday life. New genre public art is not without its own limitation of viewing the location exclusively through conversation. As a result, all public art that is not centered on conversation is disregarded as self-centered and purely aesthetic, just an accessory object, undeserving to be in public space. Such an opinion may arise from a lack of concern for freedom in public art and a fixed perception of place as either site or place-specific.

Discussion of location of public art in public space lends itself to one on public interest. On the subject of public interest, the theses of two representative thinkers Jürgen Habermas and Hannah Arendt are considered. The history of public sphere as presented by Habermas in his book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 is broadly reviewed in relation to social events. Arendts concepts of between, space, and public interest as shown in her political thought 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art and public interest. Arendt professes that private and public areas cannot exist separately from each other. From her view that meaningful community can only exist within a diverse set of perspectives, we are able to derive a concept of public interest that is open and tolerant of diversity, instead of the controlled and homogenized variety. This is not unidirectional public interest based on either self or others, but one that depends on the balanced interplay of both parties. Although neither Habermas nor Arendt discuss the public interest of art in particular, their thoughts provide a basis on which to think about the goals of contemporary sculpture and public interest of art on a new plane.

Site-specific and place-specific discussions on public interest inherently contain a sense of asymmetry. Place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dealt with separate from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but a place where art events and existence events constantly occur. Place is the field of constant meaning and existence. Martin Heideggers sculpture and thoughts on place was considered to expand on the current discussion on public space and philosophical thought. Considering art to be the area where existential truth is shown most clearly, Heidegger insisted Sculpture would be the embodiment of places Martin Heidegger, 『Discourses on Thinking』, Sin Sang hee(trans.), Kyunggi: Gil, 2012., p.274.
This means that place is more than just a physical space, but something consistently reshaped as a function of the matter contained within it, their interplay and relationships helping to bring out the essence of matter. Dong Hun Kim, 『A Contemplation from Happy Sisyphus』, Seoul: Matti, 2012, p.249.
Eduardo Chillidas and Anthony Gormlys works were analyzed as exemplifications of Heideggers thoughts on space and place.

The discussions on place described above served as the framework for analysis of this artists works. The place, space, and time of the works were explained. The first part of works to be analyzed were site/place-specific works that centered on a particular site. Sometimes that site itself became the work and at others the observer was free to reconstruct the narrative of the site. Some works were made to be channel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for a particular place. During this time a lot of interest was put i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omputer networks. A new place is formed when different space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Virtual location provided a very real place to be filled with art. The way unique space was created by the coming together of different media in some of the earlier works of the author was thought to be physically analogous to the digital works, and was therefore also analyzed. Some of the early works explored the space and time inherent to the structure of the sculp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Chulam Project came later, which was a public art project in a former mining town and delved in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ist and community. From the analysis of Chulam Project, creation of an autonomous community, memory and record, and sustainability, were issues put forward as a way to expand the discourses of place in public space. The experience of place through the Chulam Project elucidated the existentially intertwined nature of sculpture, habitation, and place. This experience of specific place directed this artists attention tow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sculpture and human habitation. Current works wer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habitation. As a result of the ontological review of place in this research, explorations of thought behind the material factors of sculpture and place are expected in this artists future work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9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