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로짜기 글줄기준선을 적용한 한글 글자틀 구조 연구 : A Study of Creating A Structural Font through 므-height in Hangu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재홍

Advisor
백명진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글타이포그래피글줄기준선가로짜기므 높이글자틀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 전공, 2013. 8. 백명진.
Abstract
본 연구는 가로짜기에 적합한 한글 글자틀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해 글줄의 기준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므 높이를 제안하였다. 종래의 글줄기준선은 첫닿자, 홀자, 받침닿자의 단편적인 기준으로 글자꼴이 개발되어 왔다. 오늘날 한글은 더이상 한글만의 문자 환경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외국어와 함께 편집디자인될 수 있는 가로짜기 전용 한글 글자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가로짜기 전용의 한글 글자틀 구조는 시의적 논제라고 할 수 있다. 가로짜기 글줄기준선을 적용한 한글의 글자틀 구조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도출되지 않았던 새로운 글줄기준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글 글자틀은 가로짜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가?
[연구문제 2] 기존 한글 글자꼴의 글줄기준선을 어디에 있는가?
[연구문제 3] 라틴 알파벳과 한글의 글줄기준선은 어디에 맞추어야 하는가?
[연구문제 4] 한글은 다른 문자나 부호와 같은 기준선을 사용할 수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문헌연구와 기존 한글 글자꼴의 글줄기준선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한글 글자틀 구조에 반영하였고 이를 따르는 완성형 글자꼴 디자인을 정량적으로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2장에서는 조영제, 김인철, 김진평, 안상수, 한재준, 이용제, 황일선의 연구를 글줄기준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서 현행 한글 글자꼴 가로짜기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였다. 이춘길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우리 눈이 낱말을 이미지처리하여 읽는다는 사실은 지각체제화 이론 중 게슈탈트 심리학의 부드러운 연속성의 원리를 글자틀 속에 내포시키는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라틴 알파벳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대문자가 소문자로 바뀌게 되었는지 중간 단계의 필사체인 반언셜을 통해 연구자의 글자틀 구조와의 형태적 유사성을 찾을 수 있었다. 장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창제 당시 기하학적 글자꼴이었던 한글이 어떻게 부드러운 곡선의 세로방향 궁체로 융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현재 서체회사가 발표한 대표적인 글자꼴을 글줄기준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닿자를 글줄기준선으로 삼고 있는 미소체, 산돌60체, 모빌체, 까치발체, 홀자를 글줄기준선으로 적용한 율려체, 보선을 글줄기준선으로 적용한 매트릭스체, 이상 세 가지 기준으로 디자인된 글자꼴들을 통해 가로짜기 글줄기준선의 현주소를 가늠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글줄을 가로짜기하기 위해 기준이 될 수 있는 글자틀 기본 구조를 만들어 글자틀체를 디자인하였고 여러 가지 실험을 하였다. 먼저, 오랜 기간동안 가로짜기해온 라틴 알파벳의 기준선을 분석하였고 연구자의 글줄기준 높이인 므 높이를 제안하였다. 글자틀의 비례는 가로로 쉽게 읽히는 가로가 좁고 세로로 긴 황금비율을 적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본 낱자와 낱글자를 디자인하였고 대표글자 100자와 파생글자 100자를 디자인하였다. 아울러 글자틀의 10단계 무게 변화와 라틴 알파벳 소문자, 숫자와의 기준선을 정렬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로서 가로짜기 글줄기준선을 적용한 한글 글자틀 2,350자와 라틴 알파벳, 숫자를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한글의 탈네모 글자꼴 구조 속에서 가로쓰기 문장방향에 맞는 글줄기준선을 한글 글자틀 구조 속에 녹여 최종 글자틀을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 글자틀 속에 새로운 글줄기준인 므 높이를 적용하여 가로짜기 한글 글자틀 구조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로짜기 전용 한글 글자틀은 향후 글자꼴 디자인의 학문적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폰트 개발로 이어져 본문용 한글 글자꼴의 풍부한 다양성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f Creating A Structural Font through 므-height in Hangul
Jaehong Park
Faculty of Craft and Desig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cademic Advisor : Prof. Myung-jin Baek

This study suggests that 므-height (such as x-height in English) can be used as the baseline and the meanline in Korean typefaces. Korean typefaces have been presented under the meanline of the top-consonant, vowel, and bottom-consonant. Today in the environment of editorial design, the Korean Hangul faces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other foreign type face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e of Korean Hangul characters for the horizontal typesetting which can be used with a variety of foreign characters and faces was necessary. For this reason, the structural theme of Korean Hangul characters only for the horizontal typesetting is the cutting-edge subject of this thesis. This study of creating a structural font through 므-height in Hangul provides the new baseline and meanline together never introduced from previous researches.

The issue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issues 1] Will the structure of Hangul characters have an appropriate structure for the horizontal typesetting?
[Research issues 2] Where are the baseline and meanline of the presented Korean Hangul faces?
[Research issues 3] Where should the baseline be in Latin alphabet and Hangul?
[Research issue 4] Are Hangul characters are put on the same baseline and meanline with foreign characters or mark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mentioned issues, literature research and the baseline and meanline of Hangul presented fonts have been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was faithfully reflected in the final typeface design.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2, major proceeding researches by Professor Jo, Young-Jae, Professor. Kim, In-Chul, Professor. Kim, Jin-Pyeong, Professor. Ahn, Sang-Soo, Professor. Han, Jae-Joon, Professor. Lee, Young-Jae, and Mf. Hwang, Il-sun are analyzed from the point of baseline and meanline view. By analyzing the data of leading researches,
the problems in the current issues of the Hangul typefaces horizontal typesetting come to surface towar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resolve it. Through the study of Professor. Lee, Chun-Gil, the fact that our eyes scan those words and sentences as an image was gathered. This means that the same principle of the good continuation in the Gestalt psychology held as Korean Hangul characters. How did changes from the uppercase to the lowercase in the history of the Latin alphabet occur? It was easy to fin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inal letterforms of this study and the letterforms of half-uncial as a mid-step cursive. At the end of this chapter, there is an analysis that present how elegant changes were made from the geometric letterform to the curved royal typeface.

Chapter 3 analyses the current typefaces released by Korean type foundries from the view point of the baseline and meanline. There are three kind of imaginary lines on the current Korean typefaces
the meanline of the top-consonant such as Smile, Sandoll 60, Mobil, Bracket, the crossbar-line of the vowel such as Yool Ryoe, and the baseline of the bottom-consonant such as Matrix.

In chapter 4, there is a structural font which based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letterform for the horizontal typesetting, and there are a number of experiments to apply the principals. First of all, there is an analysis of the baseline in the Latin alphabet for the horizontal typesetting, and a suggestion of 므-height as the basic height of the Korean letterfrom. To makes it easy to read words, the golden ratio is applied to the basic structure of characters in Korean. This is based on the default consonant and vowel design, 100 representative type designs, and 100 derivative type designs. In addition, the 10-step weight variation, lowercase letters, figures, and the structure of Korean letters are designed for the same baseline.

In chapter 5,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2,350 characters which applied by the baseline and meanline for horizontal typesetting, the Latin alphabet design, and old style figure design in Hangul.

In the structure of Tal-Nemo,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maginary line to give the right alignment in writing or give you a baseline to create the final typeface structure
of Hangul characters. Through this study, the type structures which applied on the 므-height were presented in the new direction of a horizontal typesetting in Hangul. As such, through this study can be one of the major academic fundaments,
the structural font only for the horizontal typesetting is designed. Furthermore,
in the rich diversity of the Hangul type design, pract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font can be expected.

Keywords : Hangul, Typography, Typeface, Baseline and Meanline, Horizontal Typesetting, 므-height, Structur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9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