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휘모리잡가 硏究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준연-
dc.contributor.author송은도-
dc.date.accessioned2017-07-14T01:48:17Z-
dc.date.available2017-07-14T01:48:17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342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2359-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음악학(한국음악학전공), 2013. 8. 황준연.-
dc.description.abstract지금까지 휘모리잡가는 사설시조에 연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노랫말과 악곡은 동시발생적일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발생된 것일 수도 있다. 더욱이 구전되는 노래일수록 그 연원을 밝히는 것은 매우 조심스러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성기음반에 전하는 여러 악곡과 현행 휘모리잡가의 음악적 특징을 비교하여 각 악곡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이를 통해 휘모리잡가의 발생과 변화양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먼저, 잡가집과 유성기 음반에 음원이 전하는 ····의 다섯 곡은 전기 휘모리잡가로 분류하였고, 유성기 음반에 음원은 남아있지 않지만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은 후기 휘모리잡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전기 휘모리잡가와 후기 휘모리잡가의 비교를 위해 문헌과 음원에 전하는 사설의 변화양상,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선율구조와 악곡구조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기 휘모리잡가는 의 선율로 노래하는 양식(제 1형), 의 선율을 변형시켜 의 선율로 노래하는 양식(제 2형), 의 선율로 노래하는 양식(제 3형), 의 선율로만 노래하는 양식(제 4형)으로 변화되었고, 후기 휘모리잡가는 제 2형에 해당하는 [변형휘모리]의 선율과 이의 변형 선율로 노래하는 양식(제 5형)으로 변화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형은 의 선율로 노래하는 양식으로 의 악곡이 이에 해당한다. 이 곡은 [내드름-엮음-종지]의 세 개의 악절로 구분된다. 내드름 선율은 의 2장단으로 시작하고 엮음선율은 의 선율로 엮어 부르다가 다시 의 선율로 끝을 맺는다. 따라서 제 1형의 특징은 엮음부분의 사설이 후기의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점과 의 선율보다 의 선율을 중심으로 이를 반복, 확대하여 부른다는 점이다.
제 2형은 의 선율로 노래하는 것으로 구대감이 부른 와 설중매가 부른 의 악곡이 이에 해당된다. 는 제 1형의 구조인 [내드름-엮음-종지]의 구조에서 [변형휘모리잡가]가 새로 추가된 구조이다.
먼저, 두 악곡의 내드름 선율은 은 제 1형인 의 선율에서 박자를 변형(3소박 2박, 3소박 4박)하여 의 선율로 노래한다. 엮음선율은 동일한 구조의 사설을 반복하여 사설을 엮어나가는 것으로 이 선율 역시 의 선율을 빨리 엮어나가는 의 선율로 노래한다.
한편, 새로 추가된 [변형휘모리잡가]의 구조는 [내드름-엮음-종지]의 악절로 구분 된다. 제 1형의 내드름 선율과 달리 고음으로 질러내는 내드름 선율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또한, 엮음과 종지악절은 앞의 악절과 마찬가지로 의 선율로 노래하지만, 각 악절의 시작과 종지선율에서 의 흔적이 남아있는 형태이다.
제 3형은 의 선율로 노래하는 것으로 한인오와 이창배가 부른 과 김태운이 부른 의 악곡이 이에 해당한다. 이 곡은 제 2형의 내드름 선율이 탈락하고 바로 엮음선율로 시작하는 [엮음(1)-엮음(2)-종지]의 세 개의 악절로 구분된다. 따라서 제 3형의 특징은 제 2형의 선율로 노래를 시작하고, 제 2형보다 엮음부분의 사설이 확대되어 이것을 의 선율로 빨리 엮어 부르는 의 선율로 노래한다는 점이다.
제 4형은 의 선율로만 노래하는 것으로 설중매가 부른 과 이창배가 부른 의 악곡이 이에 해당한다. 은 내드름 선율이 탈락하고 [엮음(1)-엮음(2)-종지]의 세 개의 악절로 구분된다. 세 개의 악절 모두 의 선율을 변형시켜 빠르게 엮어나가는 의 선율로 노래한다.
한편, 는 [엮음-종지]의 두 개의 악절로 구분되며 이 역시의 선율로 노래한다. 따라서 제 4형의 특징은 제 1형과 제 2형의 구조에서 선율이 탈락하고 제 1형과 제 2형에 비해 엮음부분이 확대되어 의 선율로만 노래한다는 점이다.
제 5형은 제 2형의 양식에서 [변형휘모리] 선율이 전승된 것으로 을 제외한 후기 휘모리잡가가 모두 이에 속한다. 후기 휘모리잡가는 초두 선율을 re'-sol′'의 고음을 중심으로 하여 노래하는 내드름 선율을 가지고, 엮는 부분이 전기 휘모리잡가 보다 확대되었다. 이 선율은 제 2형에 해당하는 악곡의 마지막 악절에 불리던 것(변형휘모리잡가)이 독립되어 후기 휘모리 잡가로 이어져 온 것이다.
또한, 엮음부분의 사설은 후기로 올수록 더욱 확대되었는데, 이 확대된 엮음선율은 [변형휘모리잡가]의 중심음을 한 음 위로 이동하여 부른다. 즉, ··은 초기의 do΄ 중심 선율에서 do΄-re΄ 중심 선율로 변형되었고, 과 은 사설이 더욱 확대되어 re΄-re΄중심의 선율로 변형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서, 휘모리잡가와 사설시조는 사설을 촘촘히 엮어 나가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엮음의 방식은 서로 다른 것임이 밝혀졌다. 즉, 휘모리잡가는 사설의 길이와 상관없이 장단(각)을 계속해서 늘여나가는 방법으로 노래하므로, 사설이 아무리 늘어나더라도 반드시 한 장단 안에 사설을 엮어 부르는 사설시조의 엮음 방식과는 구조적으로 서로 다른 형태인 것이다.
따라서 휘모리잡가의 음악적 구조는 사설시조가 아닌 민요 과 에서 연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즉, 19세기 서울 지방을 중심으로 불리던 휘모리잡가는 과 의 선율 위에 잡가의 사설을 얹어 부르던 것에서 시작되어, 후대로 올수록 보다 선율을 중심으로 하여 이를 빠르게 엮어 부르는 엮음창부타령의 형태로 변화 발전된 것이다.

주요어 : 휘모리잡가, 노랫가락, 창부타령, 엮음, 변형 노랫가락, 엮음창부타령, 변형 휘모리잡가
-
dc.description.abstractAbstract
A study of Hwimori-japga

Song, Eun-Do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Music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Hwimori-japga has been so far considered to be based on Saseolsijo. However, lyrics and musical pieces can be simultaneous and occurred individually. Furthermore, as songs are orally transmitted, it becomes more careful to reveal their origi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mpar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musical pieces transmitted in phonograph disks and the current Hwimori-japga and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al pieces and discussed as below on the occurrence and changing aspect of Hwimori-japga.
First of all, five pieces of , , , , that transmitted their originaltions sources in the phonograph disks as well as Japga collecwere classified as 'the Hwimori-japga of the first half' and , , Taryeong>, , , that do not have the original sources in the phonograph disks but are transmitted until now are classified as 'Hwimori-japga of the second half'.
In addition, for the comparison of 'Hwimori-japga in the first half' and 'Hwimori-japga in the second half', it examined the changing aspect of narration transmitted in literature and original sources and Saseolbuchim and rhythm structure, melody structure and musical tone and music structure step by step.
As a result, it was realized that Hwimori-japga in the first half changed into the first type that sings the melody of and the second type that sings the melody of after changing the melody of and the third type that sings the melody of and the fourth type that sings only the melody of and as for Hwimori-japga in the second half, the melody of [Changed Hwimori]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ype was transmitted and changed into the fifth type that sings the changed melo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first type that sings the melody of comprises the musical piece of . This piece is divided into three passages of [Naedrum-Yeokeum-Jongji]. The melody of Naedrum starts with 2 Changdan of and the melody of Yeokeum sings by combining the melody of and ends with the melody of .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ype are the narration of the Yeokeum part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second half and it sings repeating and expanding the melody of more than the melody of .
The second type sings the melody of YeokeumChangbuTaryung-ChangedHwimori-japga> and comprises the musical pieces of song by Gudaegam and by Seoljungmae. The structure of newly added [Changed Hwimori-japga] to the structure of [Naedrum
-Yeokeum-Jongji] that is the first type.
First of all, the melody of Naedrum from the two pieces transformed (3 Sobak 2 Bak, 3 Sobak 4 Bak) the rhythm from the melody of of that is the first type to sing the song of .
The Yeokeum melody repeats narration with the same structure to combine narration and this melody also sing the melody of that swiftly combines the melody of .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newly added [Changed Hwimori-japga] is classified into [Naedrum-Yeokeum-Jongji]. Different from the Naedrum melody of the first type, it newly added Naedrum melody that shouts with a high key. Furthermore, Yeokeum and Jongii passage sing the melody of in the same way with the front passage but remains in the start and Jongii melody of each passage.
The third type sings the melody of and comprises song by Han In-oh and by Kim Tae-un. This song is classified into 3 passages of [Yeokeum(1)-Yeokeum(2)-Jongji] that immediately starts Yeokeum melody after Naedrum melody falls off .
According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type, it starts with of the second type and expanded the narration of Yeokeum part more than the second type and combines this into the melody of to sing the melody of .
The fourth type sings only the melody of and comprises song by Seoljungmae and by Lee Chang-bae.
falls off Naedrum melody and is classified into 3 passages of [Yeokeum(1)-Yeokeum(2)-Jongji].
All of the 3 passages sing the melody of that transforms and quickly combines the melody of . On the other hand, is classified into 2 passages and this also sings the melody of . Accordingly, a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type, the melody of falls off from the structures of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and Yeokeum part is expanded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types to sing only the melody of .
The fifty type is partially transmitted from [Changed Hwimori] in the second type and comprises Hwimori-japga in the second half except for . Hwimori-japga in the second half has Naedrum melody that specially sings high keys of re'-sol΄ for the initial melody and the combining part is expanded more than Hwimori-japga in the first half. This melody becomes independent from singing the last passage of the musical pie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ype (Changed Hwimori-japga) to be connected to Hwimori-japga in the second half. In addition, as the narration of Yeokeum part moves to the second half, it becomes more expanded and this expanded Yeokeum melody moved the central sound [Changed Hwimori –japga] to one higher sound.
·· transformed from the central melody of do΄' to the central melody of do΄-re΄' and the narration of and -Taryeong> transformed into the central melody of re΄-re΄'.
As for the findings above, it was found that Hwimori-japga and Saseolsijo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point that 'they densely combine narration' but the methods of Yeokeum were different each other. Namely, Hwimori-japga without respect to the length of narration sings rhythm (Gak) by continuously extending it so that no matter how long narration is, it shows a different structure type from the Yeokeum method of Saseolsijo that always sings narration by combining in one rhythm.
Consequently, the musical structure of Hwimori-japga should find its origin not from Saseolsijo but from folk songs of and . That is, Hwimori-japga that had been song specially in the Seoul region during the 19th century started from combining the melody of and with the narration of Japga and as time passed on, it focused on the melody of more than and changed and developed to the type of 'Yeokeum Changbu-Taryung that quickly combines them.

Keywords : Hwimori-japga, Noraegarak, Changbu-Taryung, Yeokeum, Changed Noraegarak, Yeokeum Changbu-Taryung, Changed Hwimori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 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6

Ⅱ. 휘모리잡가의 문헌사료 검토 12
1. 문헌사료 검토 12
2. 음향자료 검토 29

Ⅲ. 전기 휘모리잡가의 음악적 특징 31
1. 의 음악적 특징 32
1) 문헌과 음원의 사설 32
2)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37
3) 선율구조와 악곡구조 46
2. 와 의 음악적 특징 56
1) 문헌과 음원의 사설 56
2)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59
3) 선율구조와 악곡구조 64
3. 의 음악적 특징 74
1) 문헌과 음원의 사설 74
2)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77
3) 선율구조와 악곡구조 82
4. 의 음악적 특징 92
1) 문헌과 음원의 사설 92
2)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96
3) 선율구조과 악곡구조 101
5. 의 음악적 특징 109
1) 문헌과 음원의 사설 109
2)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114
3) 선율구조와 악곡구조 119
6. 소결론 130

Ⅳ. 후기 휘모리잡가의 음악적 특징 134
1. 의 음악적 특징 134
1)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134
2) 선율구조와 악곡구조 136
2. 의 음악적 특징 142
1)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142
2) 선율구조와 악조 143
3. 의 음악적 특징 149
1)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149
2) 선율구조와 악곡구조 150
4. 의 음악적 특징 156
1) 사설붙임과 리듬구조 156
2) 선율구조와 악곡구조 158
5. 소결론 163

Ⅴ. 결론 166

참고문헌 171
Abstract 174
참고악보 17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8220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휘모리잡가-
dc.subject.ddcK780-
dc.title휘모리잡가 硏究-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ⅰ, 233-
dc.contributor.affiliation음악대학 협동과정 음악학(한국음악학전공)-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