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공간 활성화를 위한 포항 원도심 공간구조 개편 : Revitalizing the waterfront: redesigning downtown Pohangs urban structure as a waterfront cit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Lee Seog-jeong-
dc.contributor.author박성은-
dc.date.accessioned2017-07-14T02:27:40Z-
dc.date.available2017-07-14T02:27:40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189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250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도시설계학전공, 2017. 2. 이석정.-
dc.description.abstract포항은 1960년대 말 POSCO를 위시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도시로 성장하였지만 최근 한국 철강산업의 쇠퇴로 도시의 물리·사회·경제적 구조의 재편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동빈내항은 산업화 이전까지 도시의 성장을 이끌어 온 중심지였으나 산업화 이후 도시의 경제적 중심지가 옮겨가고 관리의 부재와 일부 구간의 복개로 도시의 주변부적인 공간으로 전락하게 됐다. 하지만 지난 2013년, 매립되었던 동빈내항 구간의 복원으로 도시를 관통하는 수공간이 회복되며 이를 중심으로 한 원도심 재정비의 가능성이 열리게 되었다. 동빈내항·포항운하는 도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동시에 도시민들의 주요 공공공간, 여가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장소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빈내항·포항운하 구간을 도시의 중심축으로 하는 도시공간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포항이 수변도시로 발전해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대상지 현황분석과 도시공간구조계획, 그리고 전략적 거점계획으로 구성된다. 제 2장에서는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지의 역사적 변화과정과 관련 상위계획 및 사업, 그리고 도시공간구조를 살펴보았으며 포항 원도심이 가진 문제점과 잠재 자원들을 파악하였다. 제 3장에서는 도시공간구조계획(Urban Structure Plan)을 수립하였다. 일차적으로 계획의 목표와 전략을 세웠으며 이에 근거하여 도시공간구조계획을 오픈스페이스(Open space), 교통(Traffic), 용도(Land use), 블록(Block) 네 가지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4장에서는 도시공간구조계획에서 제안된 수변부 주요 거점 중 가장 큰 파급력을 가질 수 있는 침점을 선정하여 보다 구체적인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첫째, 쇠퇴해가는 산업도시에 새로운 청사진을 제안했다는 점이다. 철강산업이 쇠퇴해가고 있는 현재 포항은 산업도시를 넘어 새로운 도시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수변도시로서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본 논문이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공통된 미래상을 제안함으로서 원도심 내 진행되고 있는 단편적인 사업구성이 가지는 비효율성의 문제를 해결해주기도 한다. 둘째는 저평가되고 수공간의 잠재력을 도시구조적관점에서 발굴하였다는 점이다. 도시의 중심을 관통하는 동빈내항·포항운하 구간은 도시 발전의 축이자 단절된 동서통합의 축으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도시의 주변부적인 공간으로 방치되어 있다. 본 논문은 동빈내항·포항운하가 도시 발전의 새로운 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며 이를 중심으로 쇠퇴해가는 원도심의 기능 회복과 도시 이미지를 형성해 나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도시공간구조적 차원에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논문으로 다음의 두 가지 한계이자 보완되어야 할 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사회·경제적인 차원에서 여러 개발 주체들의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추후 포항시가 시민 및 기업과 협력하여 장기간에 거쳐 효율적으로 도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는 워터프런트에 대한 구체적인 공간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도시공간구조계획과 전략을 바탕으로 동빈내항·포항운하 구간에 대한 설계가 보충되어 수변도시로서의 보다 구체적인 이미지가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산업도시 이후 수변도시로서의 포항의 새로운 정체성을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1. 공업도시 포항의 성장 1
1.1.2. 도시 발전의 중심 동빈내항 2
1.1.3. 도시 발전의 축으로서 동빈내항, 포항운하 3
1.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1.2.1. 연구의 범위 4
1.2.2. 연구의 구성 4
1.3. 선행연구 고찰 7

II. 포항 원도심 개요 9
2.1.포항 원도심 일반현황 9
2.1.1. 위치 및 일반개요 9
2.1.2. 대상지의 역사적 변화과정 12
2.2. 상위계획 및 관련사업 검토 18
2.2.1. 포항시 도시기본계획 18
2.2.2. 관련사업: 중앙동죽도동 일대 19
2.2.3. 관련사업: 송도 일대 20
2.2.4. 관련사업: 포항운하 일대 21
2.2.5. 소결 22
2.3. 포항 원도심 도시공간구조 24
2.3.1. 오픈스페이스 224
2.3.2. 교통 27
2.3.3. 용도 32
2.3.4. 블록 34

III. 도시공간구조계획 39
3.1. 도시공간구조 전략과 개념 39
3.1.1. 도시공간구조 실현전략 39
3.1.2. 도시공간구조 개념 42
3.2. 도시공간구조계획 44
3.2.1. 오픈스페이스 44
3.2.2. 교통 47
3.2.3. 용도 501
3.2.4. 블록 56
3.3.주요가로 기본구상 59
3.3.1. 수변프롬나드 기본구상 59
3.3.2. 동서축 기본구상 70

IV. 전략적 거점계획 78
4.1. 대상지 선정과 현황 78
4.1.1. 대상지 선정 78
4.1.2. 대상지의 공간적 범위와 현황 81
4.2. 거점개발의 목표와 전략 84
4.2.1. 거점개발의 목표 84
4.2.2. 거점개발 전략 87
4.3. 거점개발 기본구상 90
4.3.1. 거점 공간구성 90
4.3.2. 중앙초등학교와 어시장 95
V. 결론 98

참고문헌 10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3342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공간구조-
dc.subject도시재생-
dc.subject워터프런트-
dc.subject동빈내항-
dc.subject포항운하-
dc.subject산업도시-
dc.subject포항-
dc.subject.ddc711-
dc.title수공간 활성화를 위한 포항 원도심 공간구조 개편-
dc.title.alternativeRevitalizing the waterfront: redesigning downtown Pohangs urban structure as a waterfront cit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ungeu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01-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