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원도심 내 공공사업에서의 지역정체성 구현방식에 관한 연구 : Local Identities Represented in the Public Projects for Improving Historic Urban Cor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아름

Advisor
박소현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역정체성도시정체성공공환경개선사업원도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4. 2. 박소현.
Abstract
한 도시의 지역정체성은 다른 도시와 차별화되는 그 도시의 자기다움 즉, 도시의 역사, 문화, 사회, 경제적 특성 등으로 형성되며 지역이미지를 표출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이후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와 정책 및 공공사업을 추진해 왔다. 2000년대 이후 대다수의 공공환경개선사업은 쇠퇴해가는 원도심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한 도시에서 원도심은 그 도시의 생성지birth place로서 지역의 역사·문화적 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도시의 복합적 층위를 집약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원도심 내에서 이루어지는 공공사업은 지역정체성이 구현되어가는 궤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부산의 원도심은 1990년대 이후 지속적인 인구 감소현상을 겪고 있으며 부산시청·부산경찰청 등의 행정기관이 이전하면서 급속한 원도심 쇠퇴현상을 겪어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부산은광복로 일원 시범가로 조성사업이 신호탄이 되어 원도심을 대상으로 한 공공환경개선사업을 통해 지역정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2013년 현재 산복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와 같은 지역정체성 구현 사업들이 괄목할만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또한 부산의 지역정체성 확립의 출발점이었던 부산학 연구가 본격화 된 지 20여년, 원도심 내 공공환경개선사업이 본격화된 지 1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부산의 정체성은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어 왔는지, 실제 구현이 되었는지에 대한 점검과 정체성의 개념이 물리적으로 가시화되는 과정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동안 지역정체성의 구현에 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있어왔으나 구현 방식에 대한 실질적인 조사와 구현 가능성에 대한 검토는 미비했으며 평가기준 또한 명확하지 않은 상태로 정체성 논의가 도시 건축계에서 조용히 사라져감에 대한 원인을 찾을 필요성 또한 요구된다.
본 연구는한 도시의 정체성이 원도심 내에서 공공사업을 통해 어떻게 구현되어 왔는가?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부산시가 지역정체성을 정립해 온 노정을 분석하고, 원도심 내에서 이루어진 공공환경개선사업에 반영된 지역정체성 구현 방식을 문헌조사 및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부산의 원도심으로 인식되고 있는 부산 중구의 보수동, 대청동, 광복동, 남포동, 중앙동, 영주동, 부평동과 동구의 초량동 그리고 사하구의 감천동 일대에서 시행된 공공환경개선사업 8개로 선정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지역정체성의 개념이 도시전체정체성city identity과 도시지역정체성local identity의 속성으로부터 확립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부산광역시가 부산학 연구를 통해 지역정체성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연구했던 일련의 노력들을 살펴보았고 10년 이상 축적된 부산학 연구 자료로부터 부산성의 개념을근대역사·산과 바다·개방과 어울림으로 도출하였다.
근대역사·산과 바다·개방과 어울림으로 도출된 부산의 지역정체성 개념은 부산다운 도시 및 건축을 실현하기 위한 도시기본계획 및 도시디자인가이드라인에 반영되었다. 대표 도시정책서 9개를 선정하여 부산성 개념이 도시정책의 비전으로 제시됨에 따라 변화된 양상과 지역정체성을 구현하기 위해 제시된 수단들을 살펴본 결과, 부산학 연구를 통해 도출된 부산성의 개념은 도시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에서 도시 비전인 정체성과 품격·자연과 소통·개방과 어울림 + 걷기 좋은 도시로 제시되었고 이는 지난 20여 년 간 도시기본계획에서 부산의 지역정체성을 형성하는 기본 개념으로 정립되어 왔다.
부산학 연구와 도시계획서 분석을 바탕으로 원도심 내에서 이루어진 8개의 공공환경개선사업에서 세 항목의 부산성 개념이 실제 현장에 구현된 방식을 사례분석 통해 살펴보았다. 각 사업을 분석하기 위한 관점을도시전체정체성 강조city identity vs 도시지역정체성local identity 강조, 표피적 방식 vs 심층적 방식로 설정하고 사례 사업 8개의 분석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첫째, 부산학 연구를 통해 정립된 세 항목의 부산성 개념은 개별 사업 대상지의 특성 또는 사업목적에 따라 선별적으로 차용되어 적용 되어 왔다.근대역사의 부산성 개념은 지역의 근대역사자원을 발굴하고, 근대시기 피난민의 생활상을 재현하는 방법을 통해 구현되었으며,산과 바다의 부산성 개념은 20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정주공간이 집중되어 있는 산복도로의 경사지적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구현되었다.개방과 어울림의 부산성 개념은 원도심 내 공공환경개선사업에서 공공성 확보를 위한 근본개념으로 적용되었다.
둘째, 부산의 지역정체성 구현 방식은 부산의 대표적인 상징성을 도시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에 집중하는 도시전체정체성city identity강조 방식에서 벗어나 개별 지역의 특성들이 모여 총체적 경관으로 부산성이 표출되도록 구현하는 도시지역정체성local identity을 강조 방식으로 전개되었고 이러한 방식의 사례들이 지역민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고양시키고 국내외로 지역을 알리는 성과를 거두었다.
셋째, 2000년대 초반에서 2010년대로 갈수록 부산은 도시지역정체성을 강조하는 공공환경개선사업의 방식을 추구함에 따라 지역정체성을 스스로 드러내는 표피적 방식의 디자인 보다 총체적 경관속의 배경이 되고, 주변의 지역자원을 강조하고 안내하기 위한 공공기능으로 작동하는 심층적 방식의 디자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공공환경개선사업이 산복도로를 따라 정주공간을 대상지로 시행되면서 지역정체성을 고양시키기 위해서는 공공성의 가치를 회복해야 함을 뜻한다. 이를 통해 부산 내에서도 특히 원도심 내의 공공환경개선사업에서 지역정체성과 공공성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불가분적 관계의 속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한 지방도시가 지역정체성을 찾기 위해 시행했던 많은 시행착오와 노력의 결과이며 앞으로 우리나라 개별 지역들이 정체성을 찾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도시는 개별 지역들의 합으로 이루어지며 개별 지역들의 특성이 하나하나 살아 숨쉬고 지역민이 자신의 동네에 애착과 자부심을 느끼며 도시지역정체성local identity 이 총체적으로 나타날 때 도시전체정체성city identity 또한 확연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한 도시가 지역정체성을 찾고 도시정책과 공공사업을 통해 구현해 가는 과정을 개념논의부터 현장분석까지 실체에 가깝게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원도심을 대상으로 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타 도시들의 원도심 활성화와 정체성 구현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Local identity is a cluster of history, culture, sociology and economy that differentiates one city from others. Especially, historic urban cores (HUC) is the origin of a city where history and culture are concentrated. Because the HUC is the most distinctive place among other parts of a city, public projects in the Cores are significant components that can track embodiment of local identity. To revive the declined Cores and to establish local identity, Busan city has implemented numerous public projects.
This study is started from a question of how did identity of a city developed through public projects in HUC. Detailed purposes as follows : First, by examining Busanology studies, clarify settled notion of local identity of Busan city during the past twenty years. Second, by going through objectives and contents of Public Design Guideline and Urban Landscape Plan, draw public intention and vision of local identity. For the last, it will deduce applied elements of local identity from proposals, progression, and results of public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discuss full process of eight selected projects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to the end results which can closely analyze routes of local identity of historic urban cores in Busan.
In Busanology, the identity of this city is consists of three concept categories : 1) modern history, 2) the mountains and the sea, 3) openness and harmony. These three identities have become the vision of Public Design Guideline and Urban Landscape Plan of Busan witch have been established as basic urban concept during last 20 year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realizing local identity in public projects, which could be referred to in other regional cities. The result of study suggests that 1) Three identities from Busanology analysis have been adopted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local characteristic or purpose of each public project. 2) Recent successful public projects for improving Historic Urban Cores in Busan were developed not by emphasizing the symbol of whole city, but by uncov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individual regions. It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egions come together to form the overall landscape of Busan. City identity of Busan comes from the sum total of individual local identities. 3) As emphasizing individual regional identity, the public design approach method also developed from presentative design to in-depth desig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0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