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중국 성립 이후 남경의 도시 확장과 남경성벽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진사

Advisor
김승회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성벽남경남경 성벽도시도시 형태구조도시 확장도시 주변 지역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7. 2. 김승회.
Abstract
신중국(新中國) 1949년 이후에 남경은 남경성벽에 대한 보호와 개발 태도가 몇 번 변화를 하였다. 20세기 80년대 이후 중국학자와 정부는 역사문화도시와 역사문화유산보호에 대한 관심이 계속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고대 성벽은 고대 도시 구성의 기본 요소로써 역사 가치가 도시와 같고, 성벽에 대한 보호와 개발은 중요한 일이다.

고대 도시의 경우 발전 단계에 따른 성벽이 성의 방어와 도시형태 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이 크지만 현대사회에는 사회 경제 발전에 따라 성벽은 점점 도시 확장과 개발에 방해가 된다. 도시인구 증가, 문화교육시설의 설치, 공업상업의 발전 등 모두 도시 활동 공간의 확장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성벽의 범위는 변하지 않고, 도시는 끝도 없이 발전하는 것이다. 정지상태인 성벽과 유동적인 도시의 이 두 문제는 현대 성벽보호와 도시형태 발전의 가장 큰 모순이다. 역사 중에 긴 시간 동안 존재하는 이 모순도 중국 도시발전의 중요한 특징이다.
도시의 계속적인 발전에 따라서 고대 도시 성벽 구조형태는 현대 도시 발전 요구에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인해 현대 도시 형태의 발전은 더 이상 성벽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남경 명성벽은 그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 지금도 35.267km 중에 23.7km를 보존되어있는데 남경은 역사도시일 뿐만 아니라 강소성 성도로써 정치, 경제 중심의 역할도 있기 때문에 성벽의 보호와 도시의 발전의 이 두 모순은 더욱 어려운 문제가 되었다. 간단하게 말하면 도시의 둘러쌓기문제와 관통하기문제의 논쟁이다. 20세기 50년대, 사회 생산력의 요구, 도시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남경 성벽도 대규모 철거의 운명을 피하지 못했다. 전쟁과 인위적인 파괴 때문에 그 때 남은 성벽은 15.3km 밖에 없다. 하지만 21세기 이후 경제의 발전, 관광업의 개발 등 요소로 인해 성벽에 대한 보호의식을 향상시키며, 보호 연구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
이 배경에서 출발하여, 남경 성벽과 도시형태의 관계를 초점으로 하여 성벽과 고대 남경 도시형태의 변화관계와 현대 남경 도시 구조형태의 모순을 분석하며,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남경 성벽 보호방법과 도시 발전 방향을 제안해서 성벽 보호와 도시 개발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1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