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내 재가 노인과 가족 수발자가 지각한 우울정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지현

Advisor
이인숙
Major
간호대학 간호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인 우울가족 수발자의 노인 우울 지각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3. 8. 이인숙.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내 재가 노인의 우울 수준과 가족 수발자가 인식한 노인의 우울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여 가족 수발자로 하여금 노인의 우울 관리를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 경기 권역에 거주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 노인과 그 가족 수발자 각 136쌍(총272명)이다. 조사기간은 2013년 2월~3월까지이며 횡단적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 우울에 대해 노인 우울 응답 점수, 가족 수발자의 노인 우울 응답점수를 비교하였으며 세부적으로 노인의 특성(노인 성별, 나이, 만성 질환 수, 종류, 주관적 건강상태, 장기요양등급, 신체기동력, 인지기능), 가족 수발자의 특성(가족 수발자 성별, 나이, 노인과의 가족 관계, 만족도, 동거 기간, 장기요양 본인부담금 납부비율, 주관적 경제상태)에 따른 노인, 가족 수발자의 응답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우울 측정에 사용된 도구는 기백석(1996)의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및 Hammond 등(2000)의 관찰자 측정 도구이다.
통계 분석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비모수 통계의 Mecnemar's test 및 Paired t 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기요양 재가 노인의 우울 점수는 15점 만점 도구에서 평균 11.4점(±2.7)으로 우울이 높은 상태로 확인되었으나 수발자는 노인 우울을 평균 10.5(±3.4)점으로 응답하며 실제 노인의 우울 정도를 낮게 인지함을 보였다.
2. 노인의 건강상태 중 가지고 있는 만성질환 수가 많고,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으며, 신체 기동력이 저하될수록 노인의 주관적 우울 수준 및 가족 수발자가 지각한 우울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3. 노인 우울에 대한 가족 수발자와 노인의 주관적 응답 차이는 우울 측정 도구의 문항별, 요인별로 확인할 수 있었는데 총 15문항 중 7문항에서 차이를 보였고 도구를 구성하는 요인별 점수로는 비활력 요인은 수발자가 노인보다 더 높게 그 외 부정적 정서요인 및 흥미․활동 저하 요인의 문항은 수발자가 노인보다 응답 점수가 더 낮게 나타났다.
4. 노인 우울에 대한 가족 수발자와 노인의 주관적 응답 차이는 가족 수발자의 특성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수발자가 여성이거나, 청장년층, 노년층에 속하거나, 며느리이고, 노인과의 관계 만족이 중 이상일 때, 동거기간이 15년 이상이며, 주관적 가계 경제적 상태가 좋지 않을 때, 기초생활 수급자일 때 노인의 실제 우울 정도 보다 이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곁에서 건강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족 수발자를 대상으로 노인 우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교육적 개입 등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우울수준과 기능상태를 다각적으로 반영하는 장기요양 도구의 개편 및 재가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주요어 : 노인 우울, 가족 수발자의 노인 우울 지각
학 번 : 2011-20466
Depression in elderly subjects receiving long-term senior care insurance and family caregivers recognition
of their depression status


Ji-Hyun You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In-sook Lee


This study compared true levels of depression in elderly subjects and family caregivers perceptions of this level of depression, with the aim of providing materials to support family caregivers appropriate management of depressed elderly individuals.
The subjects were 136 pairs of elderly individuals receiving benefits from long-term senior care insurance and their family caregivers (total, n = 272)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February and March 2013.
This study compared depression scores reported by elderly subjects with those reported by family caregivers. Also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cor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ubjects (gender, age, number of chronic diseases, subjective health status, long-term senior care insurance level, mobility, cognition) and family caregivers (gender, age, family relationship, level of satisfaction with elderly relationships, living situation duration, subjective economic status, payment percentage for care services).

The result as follows.
1. The mean depression score obtained from the responses of elderly subjects (11.4 ± 2.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calculated from the responses of family caregivers (10.5 ± 3.4). Thus, It could conclude that family caregivers' recognition of depression in elderly subjects was poor.
2. Elderly subjects depressed status and family caregivers recognition thereof were worse for elderly individuals with more diseases and wors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physical mobility.
3. Elderly subjects' and family caregivers' responses to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version of Korean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significant differences for 7 of 15 items. Family caregivers' responses to GDS items assessing lack of vitality were more sensitive than elderly subjects' responses, but caregivers responses to items regarding negative emotions and decreased interest were less sensitive.
4. The level of recognition of depression in elderly subjects was low among family caregivers who were female, of a younger or older generation, and/or daughters-in-law
and/or had greater than moderat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subject, a living situation duration > 15 years, and/or low subjective economic status.
In conclusion,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family caregivers is necessary to help improve their recognition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depression in elderly individuals.

Key words : elderly, depression, family caregiver, recognition of depression.
Student Number : 2011-2046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7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