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 : Development of Roles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in the Senior cent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하나

Advisor
송미순
Major
간호대학 간호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인전문간호사노인복지관역할델파이 기법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Senior centerRoleDelphi Techniqu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4. 8. 송미순.
Abstract
노인복지관은 지역사회 노인들의 접근성이 좋은 노인복지시설로 노인인구수의 증가에 따라 시설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용자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은 비교적 건강하지만 대부분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이고 상당한 시간을 노인복지관에서 보내기 때문에 노인복지관에서 제공되는 건강서비스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건강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인전문간호사 제도는 국내에서 2003년 법제화되어 전문간호사 중 가장 많은 수가 배출 되었으나 아직 훈련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활동장소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노인전문간호사가 노인복지관에서 활용할 것을 기대하며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노인복지관을 방문하는 노인 대상자의 특성과 노인전문간호사의 역량에 적합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이 결과는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가 사회통합적 보건 전달체계 내에서 비용효과적으로 건강서비스를 제공하여 훈련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4년 01월 08일부터 2014년 04월 11일까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3차에 걸쳐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1차 설문지에 사용된 노인전문간호사 역량은 한국간호평가원에서 개발된 노인전문간호사 직무지침이었다. 본 연구의 델파이 패널은 대학의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 7인과 노인복지관 노인간호실무 경력자 10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중요 직무는 9개의 임무(자료수집, 임상의사결정,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응급상황 관리,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관리, 전문직 발전참여, 조정 및 협동, 연구)와 임무의 하위요소로 총 38개의 일, 일의 하위요소로는 137개 요소가 추출되었다.
둘째, 9개의 임무 별 비중에 대한 조사결과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25.00%), 교육 및 상담(18.53%) 순으로 건강증진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가장 비중이 낮은 임무는 연구(5.50%)였다.
셋째, 일의 요소 중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은 건강위험군 선별하기(4.94±.24)였으며, 가장 중요도가 낮은 것은 연구계획하기(3.94±.66)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복지관 일반간호사역할에 비해 노인전문간호사에게 차별화되는 역할 영역은 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p=.00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 나타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업무는 현재의 한국간호평가원 노인전문간호사 직무지침영역에 비해 치료적 중재는 축소되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교육 및 상담이 강화된 직무기술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주요 역할은 교육과 상담을 통한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이다. 그리고 정신건강을 포함한 건강위험군을 선별하는 상급수준의 전문간호업무가 요구되며 낮은 비중이지만 연구도 노인전문간호사의 고유영역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세부 직무에 해당하는 일과 일의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역할을 개발하는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제한 점으로 생각되는 것은 델파이 패널에 현재 노인전문간호사로서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1명 밖에 포함되지 못하여 노인전문간호사로서 노인복지관 실무 경력자가 적게 포함된 점이다. 이는 현재 노인전문간호사로서 노인복지관 근무자를 찾기 어려운 이유이었으나 추후에는 노인전문간호사자격증을 소지한 노인복지관 실무 경력자를 패널로 한 타당성 검증이나 영역분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전문간호사가 각 항목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빈도를 측정하여 노인전문간호사의 업무 특성을 현장에서 검증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확장된 전문적 상급간호 업무와 연구 등을 수행할 수 있다는 근거 자료가 제시되었다고 본다.
Because senior center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community as become an issue due to the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the number of senior centers and their user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Because senior centers are being used by both relatively healthy elderly people and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community elderly can have a big impact on their health outcomes.
GNPs started to be legally institutionalized in 2003, GNPs are the largest number of professional nurses, but they have few places to demonstrate competence in their training activities.
Therefore, to develop senior center GNPs role which ar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competencies of GNPs, this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the Delphi technique.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policy development for senior center GNPs make possible to exert competence in the integrated healthcare delivery system by providing cost-effective health services.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done from Jan 08, 2014 to Apr 11, 2014, and the job description was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KABON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nd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three times through the Delphi-panel composed of 17 people who had a thorough understanding of senior centers and GNP ro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description of senior center GNPs consisted of 9 duties(Assessment, Clinical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Education and counseling, Managing and using resources, Leadership,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and Research), 38 tasks and 137 task elements.
Second, the highest weight for all 9 duty rates was Intervention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5.00%) followed by Education and counseling (18.53%). However, Research (5.50%) had the lowest weight for the duty rate.
Third, the highest duty element was Screening of the health risk (4.94 .24), and the lowest duty element was ' Planning of research' (3.94 .66).
Fourth, in the comparison of roles between GNPs and Nurses, Perform role as a clinical practice preceptor and mentor (p=.0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senior center GNPs roles should focus on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through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asks, they were required to provide advanced nursing tasks from mental health to the screening of health risks. Research was less important, but it ascertained the unique areas of GNPs ro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is is a first attempt analysis for the elements of duty in developing the role of senior center GNPs.
However, more studies are needed by targeting all licensed GNP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senior center GNPs, how many are needed and the frequency needed on duty. Through this study, it is presented basis of data that the senior center GNPs can more extended professional nursing than the general nurse with advanced nursing practice and research can perform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8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