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velopment of St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on Revegetated Cut-slopes of Mountainous Terrain of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근-
dc.contributor.author길승호-
dc.date.accessioned2017-07-14T05:35:49Z-
dc.date.available2017-07-14T05:35:49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844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967-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협동과정 조경학, 2014. 2. 이동근.-
dc.description.abstract비탈면 녹화는 생태복원의 일환으로서 훼손된 비탈면을 안정화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비탈면 녹화에서는 토양을 기반으로 한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녹화 이후에도 침식 또는 붕괴는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비탈면 녹화공사 시, 사면 안정 해석 및 사방 공학 등 구조적인 안정성 검토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경적 이해를 통한 비탈면 녹화에 대한 안정성은 고려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탈면 녹화 이후 비탈면의 안정화를 위한 안정성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토양을 기반으로 한 비탈면 녹화의 안정성 평가 체계를 고안하는 것이다.
비탈면 붕괴와 관련된 변수들은 선행연구에서 상당히 많이 나와 있다. 하지만, 비탈면 녹화와 관련된 안정성 변수들은 부분적으로만 연구되거나 대부분 물리적 환경 변수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변수들과 더불어 비탈면 녹화 이후의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변수들을 찾고자 하였다. 변수 선택은 여러 변수들 중 사방 안정 해석, 사방공학, 비탈면 녹화의 분야에서 69개의 변수들을 우선 추출하였다. 그 다음 전문가 설문을 통해 23개의 변수들을 선택하였다.
변수는 총 세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는 물리적 환경 변수인데 경사, 향, 비탈면 형태, 비탈면 폭, 비탈면 높이, 건수 터짐, 경과년도, 기반층 형태, 그리고 배수시설 상태로 총 9개였다. 두 번째는 토양 변수로서 공극률, 토양 경도, 수분함량, 토성, 인장강도, 투수계수, 토심, 토양 산도(pH), 염분농도, 그리고 유기물 함량으로 총 10개였다. 마지막 세 번째는 식생 변수로서 식생 군락 형태, 식생 피복률, 목본 종수, 그리고 초본 종수로 총 4개였다.
연구대상지역 총 10 곳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23개 변수들에 해당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분석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지역은 비탈면 녹화 시공 이후 2년 이상이 경과 된 비탈면으로 붕괴된 비탈면이 다섯 곳, 안정한 비탈면이 다섯 곳이었다. 붕괴된 곳은 이미 확연히 붕괴 된 지점(failure)과 잠재적인 붕괴위험을 가진 지점(potential risk) 으로 나뉘어 조사하였다. 각 변수들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가 붕괴된 비탈면과 안정한 비탈면을 구분 짓는 변수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통계적 분석에서 유의미한 수준을 통과한 변수들에 대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미한 수준을 통과한 변수들은 총 9개로 공극률, 수분함량, 인장강도, 토심, 염분농도, 유기물 함량, 식생 군락 형태, 식생 피복률, 그리고 목본 종수였다.
판별분석은 9개의 변수 중 명목척도인 식생 군락 형태를 제외한 8개 변수에 대해 단계별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고, 식생 군락 형태는 차후에 판별 분석된 결과인 판별점수와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판별분석 결과 총 4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판별식이 구해졌다. 4개의 변수는 공극률, 인장강도, 유기물 함량, 그리고 식생 피복률이었다. 4개의 변수를 통해 나타난 판별점수와 식생 군락 형태에 대하여 상자 도표를 그려 비교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5개의 변수가 비탈면 녹화 이후 비탈면에 대한 안정성 평가 지표로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5개 지표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안정성 평가체계와 그 적용성에 관하여 제안 및 고찰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1.1 Research Background 1
1.2 Research Objective 3
1.3 Scope of study 4
1.3.1 Content scope 4
1.3.2 Spatiotemporal scope 5

2. Literature review 6
2.1 Definition of terms 6
2.1.1 Slope revegetation 6
2.1.2 Slope stabilization 8
2.1.3 Slope failure 9
2.1.4 Artificial slope and natural slope 10
2.1.5 Indicator and variable 11
2.2 Stability of slope revegetation 12
2.2.1 Objective of slope revegetation 12
2.2.2 Erosion control of slope revegetation 13
2.2.3 Vegetation establishment of slope revegetation 14
2.3 Slope stability evaluation method 16
2.3.1 Slope Stability Analysis 16
2.3.2 Landslide assessment 17
2.3.3 Slope revegetation evaluation 18
2.4 Variables related to slope stabilization 19
2.4.1 Slope Stability Analysis 19
2.4.2 Landslide 20
2.4.3 Slope revegetation 21
3. Data and Methods 22
3.1 Study site 22
3.2 Methodology of study 29
3.2.1 Variable selection 31
3.2.2 Data Collection 33
3.2.3 Data Analysis 35

4. Results and Discussion 37
4.1 Evaluation Variables 37
4.2 Interrelation between variables 42
4.3 Comparison between potential risk site and stable site 48
4.3.1 Physical environmentcharacteristics of a slope 48
4.3.2 Soil property 59
4.3.3 Vegetation property 76
4.3.4 Implication for potential risk site and stable sites 84
4.4 Comparison of Collapsed and Potential Risk Soil 86
4.5 Evaluation of Discriminant Model 94
4.6 Slope Revegetation Stability Evaluation Analysis 103
4.7 Application Method of SRSEA 107

5. Conclusion 110

List of Tables
Table 1. Arrangement of restoration and analogous terms. 6
Table 2. Types of landslides. Abbreviated version of Varnes classification of slope movements (Varnes, 1978). 10
Table 3. Objectives of road revegetation (David et al., 2007). 12
Table 4. Variables influencing vegetation coverage. 15
Table 5. Major variables for slope stability analysis. 19
Table 6. Major variables of landslide assessment. 20
Table 7. Major variables for slope revegetation. 21
Table 8. General information in survey sites. 22
Table 9. Demographic Profile of Respondents to extract variables. 32
Table 10. Measure method of each variablesMethod of measurement each variable. 33
Table 11. Major variables relevantrelated to slope failu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37
Table 12. Sixty nine variables for expert survey. 38
Table 13. Thirty three variables selected by expert survey. 39
Table 14. Twenty three final variables related to slope revegetation. 40
Table 15. Twenty three final variables reclassified under new categories. 41
Table 16.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variable. 43
Table 17. Slope angle in each site. 48
Table 18. Aspect in each site. 50
Table 19. Slope width in each site. 51
Table 20. Slope height in each site. 51
Table 21. Slope type in each site. 52
Table 22. Cross tabulation of slope type. 53
Table 23. Ground layer in each site. 53
Table 24. Cross tabulation of ground layer. 54
Table 25. Seepage water in each site. 54
Table 26. Elapsed year in each site. 55
Table 27. Drainage system on sites. 56
Table 28. Porosity in each site. 59
Table 29. Soil hardness in each site. 60
Table 30. Soil hardness in each site. 62
Table 31. Soil texture in each site. 64
Table 32. Tensile strength in each site. 67
Table 33. Permeability coefficient in each site. 68
Table 34. Soil depth in each site. 69
Table 35. Soil acidity in each site. 70
Table 36. Salt concentration in each site. 71
Table 37. Soil organic matter in each site. 71
Table 38. vegetation community in each site. 76
Table 39. Classification of each site for vegetation community. 76
Table 40. Vegetation coverage rate in each site. 77
Table 41. State of trees on each site. 79
Table 42. Frequency of trees. 79
Table 43. State of herbs on each site. 81
Table 44. The frequency of herbs. 82
Table 45. Porosity within each site. 86
Table 46. Soil hardness within each site. 87
Table 47. Water content within each site. 88
Table 48. Soil texture within each site. 88
Table 49. Tensile strength within each site. 90
Table 50. Permeability coefficient within each site. 90
Table 51. Soil acidity within each site. 91
Table 52. Salt concentration within each site. 92
Table 53. Soil organic matter within each site. 92
Table 54. Standardized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 coefficients. 95
Table 55. Eigenvalues of discriminant function. 97
Table 56. Wilks' Lambda of discriminant function. 97
Table 57. Overlapped range of indicator between potential risk and stable. 99
Table 58. Data collection method for each indicator 103
Table 59. Application range for SRSEA. 105
Table 60. Standard to contemplate characteristics of damaged soil in soil slope. 106
List of Figures
Figure 1. Study sites inof Gangwon-do (failure sites and non-failure sites). 23
Figure 2. Site 1. 23
Figure 3. Site 2. 24
Figure 4. Site 3. 24
Figure 5. Site 4. 25
Figure 6. Site 5. 25
Figure 7. Site 6. 26
Figure 8. Site 7. 26
Figure 9. Site 8. 27
Figure 10. Site 9. 27
Figure 11. Site 10. 28
Figure 12. Framework of this study. 30
Figure 13.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44
Figure 14. Soil texture triangle of potential risk and stable sites. 65
Figure 15. Soil texture triangle of collapsed and potential risk sites. 89
Figure 16. Scatter plot of discriminant score and porosity value. 97
Figure 17. Scatter plot of discriminant score and tensile strength value. 97
Figure 18. Scatter plot of discriminant score and soil organic matter value. 98
Figure 19. Scatter plot of discriminant score and vegetation coverage. 98
Figure 20. Box-plot of discriminant score and vegetation community. 101
Figure 21. Slope Revegetation Stability Evaluation Analysis Model (SRSEA). 104
Figure 22. Application of SRSEA. 10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6549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생태복원-
dc.subject생태공학-
dc.subject비탈면 안정화-
dc.subject비탈면 녹화-
dc.subject비모수적 상관분석-
dc.subject비모수적 검정-
dc.subject판별분석-
dc.subjectBiotechnical Engineering-
dc.subjectSlope Stabilization-
dc.subjectEcological Restoration-
dc.subjectSlope Restoration-
dc.subjectMann-Whitney U test-
dc.subjectSpearman Correlation-
dc.subjectDiscriminant Analysis-
dc.subjectSlope Revegetation-
dc.subject.ddc712-
dc.titleDevelopment of St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on Revegetated Cut-slopes of Mountainous Terrain of Korea-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ⅸ, 185-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