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원지의 수용과 공간문화적 변화 과정: 창경원, 월미도, 뚝섬을 중심으로 : The Adaptation and Spatial-Cultural Transformation Process of Pleasure Grounds: Focused on Changgyeongwon, Wolmido, and Ttukseo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은

Advisor
조경진
Major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유원지창경원월미도뚝섬상품화이국적 자연해변 휴양지전원 풍경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조경학, 2017. 2. 조경진.
Abstract
오늘날 유원지(遊園地)는 놀이 공간을 일컫는 일종의 대명사다. 비일상적 장소였던 유원지의 경관이나 문화적 요소는 일상의 생활 공간에 스며들고 있다. 근대적 의미의 유원지는 일제 식민지기에 일본인에 의해 도입되었고, 당시 조성된 몇몇 유원지는 광복 이후에도 남아서 놀이공원이나 관광지, 혹은 공원으로 변화되어 이용되었다. 따라서 식민지기에 만들어진 유원지는 우리의 여가ㆍ오락 문화와 위락 공간을 만드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식민지기에 도입된 새로운 유형의 공간으로서 유원지의 조성 과정과 공간 변화를 고찰하고, 그 결과 조성된 유원지의 경관과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식민지기에 조성된 수도권의 대표적인 유원지인 창경원, 월미도유원지, 뚝섬유원지의 변화를 조성 시점부터 현대까지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사례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각 유원지의 장소성이 남아있는 시점까지로 한정했으나, 유원지의 원형이 만들어진 식민지기에 큰 비중을 두고 연구했다. 이러한 연구는 태동 당시 유원지가 현재의 공간과 문화에 어떤 영향으로 남아있는지 해석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창경원은 1907년부터 조선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일제에 의해 만들어져 1983년 창경궁 복원이 시작되기 전까지 유원지로 이용되었다. 개원 후 창경원은 누구나 입장료만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는 대중적인 오락 공간이 되었다. 창경원은 넓은 궁원에 박물관과 동ㆍ식물원, 인공 연못, 정원, 어린이 놀이 시설 등을 갖춘 바깥세상과 분리된 낙원과 같은 공간이었다. 이곳에서 사람들은 과거 지배 계층만 누릴 수 있던 이국적 자연을 경험할 수 있었다. 특히 야앵 기간에는 화려한 조명과 각종 공연 등이 복합되면서 창경원은 환상적인 경관을 연출하고, 일탈의 공간이 된다. 광복 이후 창경원은 유원지의 영역이 확대되었고, 민간 자본이 투입된 유희 기기가 들어서면서 복합적인 놀이공원의 모습을 갖춘다. 운영 방식은 식민지기를 답습했다. 흥행 중심의 창경원의 운영과 이용 문화는 1970년대 말이 되면, 유사한 오락을 제공하는 경쟁 상대의 등장과 정부의 계도 등에 의해 좀 더 '건전한' 문화를 지향한다.
월미도유원지는 1910년대 후반부터 월미도를 관광지화 하려던 인천부를 비롯해 철도 회사인 만철과 민간 기업인 월미도유원주식회사 등의 의지로 만들어져 광복 이전까지 섬 전체가 유원지로 기능했다. 이러한 유원지는 철도 연선에 온천이나 해수욕장을 개발해 승객을 유치했던 일본 사철의 사업 모델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다. 식민지기, 경성에서 기차로 약 1시간 거리에 해수욕장과 조탕, 보트장, 캠핑장, 운동장, 별장, 녹원, 회유도로, 식당 등 다양한 놀 거리와 부대시설을 갖춘 월미도는 경성 시민의 당일치기 여행지이자 여름 휴양지로 자리매김했다. 월미도유원지는 해변 휴양지에서의 행락이 대중화되고 상품화되는 데 영향을 미친다. 광복 이후 정치적ㆍ지리적 상황에 따라 월미도의 기존 유원지는 폐쇄된다. 이후 시민을 위한 오락과 휴양 공간이 1970년대까지 대규모 유원지라는 단일한 형식으로 계획되었다면,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 다양한 위락 공간과 공공 오픈스페이스가 등장한다.
뚝섬 일대는 조선 시대 국마를 기르던 목장과 내농포가 있던 교외 지역이었다. 사설 교외 철도를 운영하던 경성궤도주식회사는 경성이 팽창하던 시기인 1933~1934년 뚝섬에 수영장과 부대시설 등을 갖춘 유원지를 조성한다. 당시 뚝섬의 경관은 넓은 들판과 한강의 모래사장, 제방의 포플러 숲 등으로 대표되었는데, 이는 대중 매체를 통해 도시와 대비되는 목가적인 전원 풍경으로 묘사되었다. 뚝섬유원지는 철도 노선 주변에 교외 주택지를 개발하거나 유원지를 조성했던 일본 사철의 경영 모델을 모범으로 경성에서 휴일에 궤도차를 타고 가깝게 갈 수 있는 전원의 풍경이 매력적인 유원지라는 상품으로 기획되었다. 또한 뚝섬유원지는 경성궤도라는 민간 기업이 운영했지만 경성부에 의해 관리되었다. 광복 이후 서울시에서 뚝섬유원지를 관리하게 되면서, 이 일대에는 지속적으로 공원 혹은 유원지 개발 계획이 수립되지만 구현되지 못하다가 1980년대 도시화가 일단락되면서 뚝섬유원지는 한강시민공원으로 탈바꿈한다. 광복 이후에도 뚝섬유원지는 식민지기의 운영과 이용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1970년대까지 서민들의 수영장으로 이용되었던 뚝섬유원지는, 행정에게는 공원을 운영하는 역할을 경험하는 공간이었으며, 시민들에게는 공중도덕을 배우는 공간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경원은 한국에 상품화된 오락 공간의 원형을 제시했다. 식민지기 창경원이 다양한 볼거리를 오락으로 제시했다면, 광복 이후 창경원은 이에 놀이 기구를 더해 체험과 참여를 경험하도록 했다. 창경원이 제공했던 이국성이란 환상은 희귀한 것, 새롭고 신기한 것으로 바꾸어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창경원에서의 경험은 국내 여러 놀이공원이 만들어지는 데 기여했다.
둘째, 한국의 공원은 유원지와의 상호 교류 속에서 진화했다. 초기 유원지는 공공이 그 행정력이나 재원을 갖추지 못했을 때 민간에서 만들어 낸 오락 공간이다. 공원이 대중을 계몽하기 위한 방편으로 제도화되었다면, 유원지는 공원에서 해소되거나 허용되지 않는 자유로움이나 자극적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공원이 수용하는 즐거움의 영역이 넓어지면 유원지는 고객을 유혹할 수 있는 또 다른 진화를 거듭하게 된다.
셋째, 초기 유원지는 도시민이 자연을 접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다. 당시 유원지의 운영자들과 대중매체는 유원지를 홍보하기 위해, 도시를 혼잡하고 오염된 곳으로 묘사했다. 반면 유원지는 목가적 풍경이나 아름다운 경치를 배경으로 현대적 설비를 갖춘 세련된 공간이란 이미지를 강조했다. 이때부터 도시민에게 전원에서 여가를 보내는 것은 당연한 욕구로 여겨졌다.
넷째, 유원지는 도시개발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식민지기 유원지는 도시와 교통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공공과 민간 영역 모두의 기획적 노력으로 만들어졌다. 광복 이후 재원이 부족했던 공공은 민간 자본을 유치해 유원지를 만들면서 도시개발을 유도하고자 하는 시도를 한다. 현재도 전국의 각 지방에서 유원지를 (재)개발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시도는 이러한 과거의 경험과 유사하다.
역사적으로 유원지는 놀이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를 만들어내고, 또 충족하기 위해 진화하면서 다양한 오픈스페이스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놀이나 즐거움에 대한 지금 우리의 선호가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지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의미가 있다.
Todays pleasure grounds(遊園地) have become the representative play space. Once considered an extraordinary space, nowadays the landscape and cultural aspects of pleasure grounds blend into everyday living spaces. The modern concept of pleasure grounds was introduced to Korea by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me of the pleasure grounds were built during that time
after Korea gained independence, they evolved and continued to be visited by consumers as amusement parks, tourist sites, or parks. The pleasure grounds that were constructed during Japans colonization, therefore, have influenced the way spaces for leisure, amusement, and entertainment are created today.
Since pleasure grounds were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new forms of space, this study examined the creation process of pleasure grounds and their spatial transformations in an attempt to gain insight on the landscap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leasure grounds that were influenced by such chang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ree representative pleasure grounds in Seoul's metropolitan area that were established during the colonial era - Changgyeongwon, Wolmido pleasure ground, and Ttukseom pleasure ground -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 diachronic changes that were made from the early creation stages to modern times. Investigation was limited to the time period in which a 'sense of place' can be found but the study focused mainly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pleasure grounds were created. This study will build a foundation for interpreting early pleasure grounds' effects on current day space and culture.
The study found that Changgyeongwon was created in 1907, during the early stages of Japanese rule over the Joseon dynasty, and was used as a pleasure ground until the Changgyeongung Palace restoration project began in 1983. After its opening, Changgyeongwon became a popular entertainment space with an entrance fee accessible to anyone. Changgyeongwon was located in the royal garden of the palace that had a museum, zoo, botanical garden, artificial pond, garden, and children's playground. Separated from the outside world, the space was like paradise. Inside the pleasure ground, the public could enjoy exotic nature that was only accessible to the ruling class in the past. During the cherry blossom light season in particular, Changgyeongwon turned into a fantastical space to escape, illuminated with colorful lights accompanied by various performances. After Korea's independence, Changgyeongwon's pleasure ground zones expanded with mechanical rides on the premises funded by private capital investments, and it began to develop into a multiplex amusement park. The pleasure ground kept its management system from the colonial period. By the late 1970s, the box office profit-centered management system and use trends shifted to a healthier amusement culture with the appearance of similar amusement-providing competitors and guidance from the government.
Research also found that beginning in the late 1910s and lasting until before Korea gained independence, a pleasure ground was built on Wolmido, turning the entire island into a tourist attraction site, with the assistance of Incheon Fu(仁川府), South Manchuria Railways Company, and a private enterprise named Wolmido Amusement Company. This pleasure ground was created by following the business model of Japanese railway companies in which they attracted passengers by creating hot springs and beaches alongside the railroads. The Wolmido Pleasure Ground was an hour away by train from Gyeongseong and established itself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daytrip and summer vacation destination spot that featured assorted leisure activities and amenities such as a beach and brine baths, a boat yard, camping grounds, playgrounds, vacation homes, a deer farm, a coastal scenic byway, and restaurants for the use of Gyeongseong residents. The Wolmido Pleasure Ground influenced the popularization and commodification of recreational activities at seaside resorts. After independence, however, Wolmido Pleasure Ground closed due to political and geographical reasons. Since then, amusement and resort spaces were planned as simple 'pleasure grounds' until the 1970s, but beginning in the late 1980s, the pleasure grounds were replaced with various amusement spaces and public open spaces.
Investigation of Ttukseom revealed that it used to be a suburban area that had a government ranch housing horses for national use and a naenogpo(內農圃, royal farm land). Gyeongseong Railways(京城軌道), a private railway company that operated a route between Wangsimni and Ttukseom, built a pleasure ground at Ttukseom with a swimming pool and amenities when Gyeongseongwas expanding (1933-1934). Ttukseom's landscape at that time was distinctive of having an open field, a sandy beach on the Han River, and a poplar forest by the bank of the river. Mass media portrayed this area as a 'rural landscape' in contrast to the city. Following the Japanese railway companies' business models that developed suburban residential housing projects or pleasure grounds near railway routes, Ttukseom Pleasure Ground was designed to commodify the attractive rural landscape with easy train access from Gyungseong on holidays. Ttukseom Pleasure Ground was operated by the private railway company, Gyungseong Railways, but was managed by Gyeongseong Fu(京城府). Seoul City began to manage Ttukseom Pleasure Ground after independence and park or pleasure ground development plans for Ttukseom were continuously drafted but never realized until the 1980s when urbanization of the area was finalized. Ttukseom Pleasure Ground then transformed into Ttukseom Han River Park. Even after Korea's independence, the operation and use of the pleasure groun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rom the colonial era. Ttukseom Pleasure Ground was mostly used for its swimming pool by the working class until the 1970s and it served as a space to train administrators how to operate and manage parks while it provided a space for the general population to practice public moralit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hanggyeongwon presented a prototype of commodified amusement space in Korea. While Changgyeongwon provided 'visual spectacles' as modes of amusement during the Japanese rule, Changgyeongwon introduced a 'doing' and 'participating' aspect with mechanical rides after Korea gained its independence. The fantastical 'exoticness' of Changgeyongwon can be synonymous to rarity, novelty, and wonder. Changgyeongwon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any national amusement parks that exist today.
Second, Korea's parks evolved through mutual exchanges with pleasure grounds. Early pleasure grounds as amusement spaces were established with private funds when public administration or resources were not readily available. Parks were institutionalized in order to enlighten the public while pleasure grounds were created to provide freedom or stimulating pleasure that parks cannot deliver or do not allow. Therefore, when parks expand their programs, pleasure grounds will also implement pleasure-giving programs to attract more consumers, therefore developing further and evolving once again.
Third, early pleasure grounds provided a way for urban dwellers to engage with nature. During the early stages, the promoters of pleasure grounds and the mass media publicized pleasure grounds, contrarily, by depicting the cityscape as crowded and polluted, while pleasure grounds, on the other hand, were highlighted for their sophisticated space equipped with modern facilities that also had pastoral landscapes or beautiful views in the background. It was from that time that urban dwellers started to consider it a necessity to enjoy leisure in the countryside.
Last, pleasure grounds were used as a means of urban development. Pleasure ground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created through planning effort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were closely tied to the development of urban areas and transportation methods. After independence, public sectors that lacked in resources made efforts to attract private funds to build pleasure grounds and through this, ultimately, encourage urban development. Current movements that aim for (re)development of regional pleasure grounds all over the nation for community vitalization are similar to these past practices.
Historically, pleasure grounds have created a sense of desire for play in public and in order to meet their needs, pleasure grounds have evolved throughout time and influenced various open spaces. This study's results provide significant insight on how historical transformations have shaped our current preference for play or pleasur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9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