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변공간 개방성지수 개발 연구 :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Waterfront Openness Index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호선

Advisor
안동만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전공), 2013. 2. 안동만.
Abstract
수변공간은 쾌적한 오픈스페이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경관자원이자 관광·문화·여가 자원으로서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정비 및 개발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재개발, 재건축 등 수변 인접지역 개발사업은 수변과 분리되어 진행되고, 고층 고밀화 개발은 수변공간의 폐쇄성, 위압적 경관생성, 도시경관과의 시각적 단절, 수변조망의 사유화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현재 수변공간 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규제가 다소 약하고 미개발 지역의 경우 새로운 개발에 대한 경관 훼손이 우려되기 때문에 수변공간 관리를 위한 새로운 평가대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위압적이고 폐쇄적인 경관을 수변공간의 문제점으로 진단하였고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리적인 환경을 계량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수변공간 개방성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방성 평가를 위해 조망점과 조망대상간 거리, 건물 폭, 건물 높이를 물리적 변수로 선정하였고, 실제 대상지와 가상 환경을 대상으로 수변공간 건조환경 특성에 따른 개방성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수변공간 개방성지수를 제안하고자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 경관지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위압적 경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입면차폐도와 건축물 개방지수 등 두 지표에서 반영하지 못한 조망점과 조망대상간 거리를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였으며, 개방성 지수 산정을 위한 공간적 범위를 가로, 세로, 높이 500m 입방체로 하였다.
둘째, 기존 경관지표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가시용적지수, 가시입면지수, 배면체적지수, 가시수평면적지수 등 네 가지 수변공간 개방성지수를 개발하였다. 가시용적지수는 500m 입방체에서 가시 가능한 3차원 공간의 비율을 통해 산정하고, 가시입면지수는 가시수평면적과 가시 가능한 건물입면적의 비율로 개방성을 측정한다. 배면체적지수는 건물 입면이 배후지역까지 연장되어있다고 가정하여 가정한 건물 부피와 전체바닥면적의 비율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마지막으로 전체바닥면적과 가시수평면적 비율을 이용하여 산정하는 가시수평면적지수를 개발하였다.
셋째, 개방성 평가에서 공간적 범위의 기준이 되는 조망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변공간에서 수역과 육역의 경계를 지형적 특성에 따라 1개의 인공경계(인공제방)와 2개의 자연경계(절벽 및 단애 등에 의한 수직경계, 모래톱 및 습지와 같은 완만한 경계) 등 총 3가지 형태로 구분하였으며 그에 따른 조망기준을 제시하였다.
넷째, 개발한 네 가지 수변공간 개방성지수를 이용하여 한강 주변부 9개 대상지(저층 주거지역, 중층 주거지역, 고층 주거지역)를 사례로 적용 및 분석하였으며 주거용 건물의 높이, 배치 등 공간특성에 따른 수변 인접지역 개방성지수를 예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축물 높이와 건축물 개방지수, 조망점과 조망대상간의 거리를 변수로 한 90개 가상 건조환경에 대해 개방성지수를 분석하여 각 개방성지수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건조환경 특성에 따라 네 개의 개방성지수 값의 범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개방성지수가 반영하는 물리적 환경 특징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 가지 방법만을 이용한 수변공간 개방성 평가는 어려우며 상황에 따라 2개 혹은 3개의 개방성지수를 활용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가시용적지수의 경우 수변에 면한 주동 입면적과 주동과 조망점의 거리가 개방성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임을 알 수 있었고, 가시입면지수는 건축물 개방지수에 따라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주동과 조망점과의 거리보다 주동사이의 인동간격, 시각회랑 등이 주요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배면체적지수는 건축물 입면적과 조망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값에 큰 영향을 미쳤고 가시용적지수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시수평면적지수는 위의 3가지 지수와는 달리 수직적 요소에 의한 개방성을 측정할 수 없지만 수변에서 제내지 방향으로 오픈스페이스를 측정하며, 각 지수가 이 값을 반영하기 때문에 나머지 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기본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수변공간에서 개방성 확보는 수변과 도심의 경계공간에 물리적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 수변 인접지역 건축물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황에 따라 적용 가능한 4개의 수변공간 개방성지수를 제시하였고, 이는 난개발로 인한 수변경관 훼손을 방지하고 개선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waterfront area is being re-evaluated as a pleasant open space for tourism, culture and leisure. Accordingly,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projects to develop and improve such areas. However, some massive scale development projects along the waterfront do not consider the areas characteristics. High rise and high density developments are causing enclosed spaces, domineering landscapes, visual incongruity from the cityscape, and the privatization of water views. Current guidelines and regulations of the waterfront area management are not strict enough and the landscape of undeveloped area can be undermined by new development projects without stricter regulations. Thus, an alternative assessment of guidelines is requir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waterfront.

This paper diagnoses the domineering and enclosed landscape as a problem of the waterfront.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physical environment was required to b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new openness indexes for the waterfront area. To assess the level of openness, distance between the view point and the view target, and the width and the height of buildings were set as variables. Level of openness was assess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and virtual built environments. This paper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ly, problems of existing landscape index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suggest the new waterfront openness indexes. The paper reviewed the validity of using the distance between viewpoint and view target as a variable, which were not considered in two existing indexes of the elevation blockage ratio and the building openness index. The range of space is 500 cubic meters for calculating the openness index.
Secondly, four waterfront openness indexes, Visible Bulk Index(VBI), Visible Facade Index(VFI), Blocked Bulk Index(BBI) and Visible Horizontal Index(VHI) were developed based on existing landscape indicators. VBI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ree-dimensional visible space ratio within 500㎥. VFI measured openness based on the ratio between the visible facade area and the visible ground area. BBI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ratio of volume in areas behind buildings to total ground area. Lastly, VHI was developed to show the ratio between the total ground area and the visible ground area.
Thirdly, the paper suggested the standard of the viewpoint as it becomes the basis for analyzing openness within a range of space. In this paper, the borderline between water body and land area at the waterfront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two natural and one artificial, with each having different standards for viewpoints.
Fourthly, four waterfront openness indexes were used to analyze nine examples around the Han River
low-rise residential areas, middle-rise residential areas and high-rise residential areas. The paper presents several case studies of the openness indexes of these waterfront areas with differences in various factors such as heights and arrangements of residential buildings.
Lastly, 90 virtual built environments with different building heights, building openness index, and varying distances between view points and view targets were used to analyze the openness index in order to discuss the features of each openness eq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each built environment has different openness index and reveals that multiple indexes should be used to accurately assess any built environments.
In VBI, the facade area and the distance between view point and view target is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the index. VFI is mainly affected by the building openness index, meaning that pith of buildings and view corridor affects the index more than the distance between view point and the view target. In BBI, the facade area and the distance from view point had impact on the result of the index, and i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VBI. Lastly, VHI cannot assess openness related to vertical factors in contrast to the other three indexes, but it can measure the open space towards the inland area next to the waterfront. As other indexes reflect the results from VHI, it can be considered as a basic factor to calculate others.

Ensuring openness at the waterfront area means securing physical space at the divide between the waterfront and urban area. To achieve this, proper regulations for buildings adjacent to the waterfront is essential. This paper suggests four waterfront openness index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calculation methods. Each index can be suitably utiliz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environment factors. It would help to improve the waterfront area and prevent damage by reckless development.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55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