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공원 유치거리 내 면적 및 인구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Urban Park Service Areas & Population : Fu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Neighborhood Parks and Residents Registration Number Dat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승우

Advisor
안동만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시공원근린공원 유치거리접근성형평성주민등록 데이터네트워크 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2013. 8. 안동만.
Abstract
도시공원은 도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공공재이다. 공원계획 수립시 지역간, 세대간, 계층간 공정하게 도시공원 이용이 이루어지 공정하게 분포하도록 계획해야 한다.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형평성과 다양성 원칙에 따라 도시공원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기법 또한 정교해지고 있다. 하지만 공원을 이용하는 주체인 거주민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필지에 대한 인구 정보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도시공원 이용권 내에 거주하는 주민 수를 실제 거주하는 인구수가 아닌 동일한 규모(같은 크기의 격자), 우편번호, 행정구역 등으로 일정하게 분류하고 인구수를 분석함으로써 실 거주민 수를 적용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거주민이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도시공원의 공간적 분포를 법정 유치거리와 주소별 주민등록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평가한다. 기존 연구들에서 나타났던 거주민 분석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어, 각 주소별로 등록된 거주민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거주하는 주민 수를 적용하고 근린공원 분포의 문제점을 도출하며 도시공원이 조성되어야 할 곳의 객관적 기준 마련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근린공원의 유치거리 내 면적, 일인당 근린공원 면적, 유치거리 내·외 거주민 수 분석을 위하여 GIS ArcMap 9.3(ESRI) 분석기법 중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주소별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근린공원 유치거리 내 면적(근린공원 이용권)을 분석한 뒤 주거지역 중 근린공원 유치거리 내 면적을 도출하였다. 그 후 일인당 근린공원 면적, 유치거리 내 거주민 수와 유치거리 외 거주민 수는 주소별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기법을 이용해 도보로 근린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인구와 도보권 범위 밖에 거주하여 공원 이용이 비교적 어려운 인구 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지역 면적 중 31.23%의 근린공원 유치거리 내 면적이 도출되었다. 달서구의 이용권 비율(46.71%)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북구(43.74%), 수성구(40.62%), 중구(35.11%), 서구(34.86%), 동구(22.34%), 남구(9.30%), 달성군(9.14%) 순으로 나타났다. 달성군에서 제일 작은 유치거리 내 면적이 도출되었다.
둘째, 각 근린공원을 이용하는 인구의 밀집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실시한 일인당 근린공원 면적은 조성된 근린공원(81개소) 각각 도출되었다. 81개소의 근린공원 중 일인당 근린공원 면적이 1㎡에도 못 미치는 공원은 21개소, 1∼2㎡는 15개소 2∼3㎡는 4개소, 3∼4㎡는 7개소, 4∼5㎡는 4개소, 5∼6㎡는 2개소, 6㎡ 이상은 28개소로 대부분의 공원에서 높은 인구 수용력이 나타났다.
셋째, 대구광역시 인구 개개인의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근린공원 유치거리 내에 거주하는 인구, 외에 거주하는 인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광역시 인구의 43.03%만이 근린공원 유치거리 내에 거주하고 있었다. 자치구·군 중 유치거리 내 면적 안에 거주하는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달서구(52.91%)로 가장 높았으며 북구(52.68%), 수성구(50.93%), 달성군(37.25%), 서구(31.86%), 중구(30.85%), 동구(28.93%), 남구(13.08%)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근린공원 분포의 문제점 및 도보로 이용이 어려운 인구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주거지역 중 유치거리 내 면적은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약 30%의 비율을 보였다. 대부분의 근린공원에서 높은 인구밀도를 보였는데, 공원이 수용할 수 있는 인구 이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게 되면 시설물 파괴, 자연자원 훼손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공원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생긴다. 근린공원 유치거리 내 거주하는 인구는 대구광역시 전체 인구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의 반 이상의 인구가 도보로 근린공원을 이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군별로 비교하였을 시 유치거리 내 면적 및 인구 분석에서 달서구, 북구 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공원 분포, 이용 인구 등으로 분석되었으나 이 조차 절반 내지 그 이하의 면적과 인구만이 공원 이용에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공원계획 시 예산부족, 이해관계 부족, 타 정책 우선순위 등의 이유로 도시계획에서 공원으로 지정되지 않거나, 미조성 공원 또한 장기간 방치되어 공원일몰제에 의해 용도가 해제되기도 한다. 이처럼 도시공간에서의 공원부족은 심각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시공원이 조성되어야 할 곳의 객관적 기준이 마련되어 공원조성계획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지역 중 근린공원 유치거리 내 면적이 미흡한 곳, 근린공원 유치거리 외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곳을 도출하여 공원 조성 정책과정에서 공간의사결정에 객관적 근거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rban parks are the public goods that any urban residents can use and enjoy the benefits of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Parks should be planned to be fairly distributed so that urban parks can be fairly used among regions, generations and classes. Researches on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on the basis of principles of fairness and variety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from the past and their techniques have become more elaborate and sophisticated. Yet,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the analysis of residents who are the main users of urban parks. Researches so far could not have applied the real number of residents by only classifying and analyzing population by same scale (grid in the same sizes), postal (zip) code and administrative district, not the actual population who reside within the usable range of urban parks, because of lack of population information systems for the plots of lands.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spatial distribution that the residents can use on foot, by utilizing legal attracting distance and resident registration data by ad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the problems of neighborhood parks and to establish objective standards on where parks should be developed, in distinction from previous researches, by applying the number of residents actually living with the use of resident registration data registered in each addres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square measure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square measure of neighborhood park per person and the number of residents in and out of attracting distance, network analysis out of GIS ArcMap 9.3 (ESRI) analysis techniques were employed and resident registration data were utilized as well. Square measure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in residential areas were calculated after analyzing Square measure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in residential areas was worked out after the analysis of Square measure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usable range of neighborhood parks). And square measure of neighborhood parks per capita, number of residents within attracting distance and number of residents outside of attracting distance were analyzed using resident registration data by address. With these analytical techniques, population who can use neighborhood parks on foot and tha who live outside of walking distance and, naturally for that reason, have difficulty using the parks.
The results drawn out from these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on average in overall city of Daegu) square measure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turned out to be 31.23% of square measure of residential areas. The usable range rate proves to be the highest in Dalseo-gu with 46.71%, followed by Buk-gu (43.74%), Suseong-gu (40.62%), Jung-gu (35.11%), Seo-Gu (34.86%), Dong-gu (22.34%), Nam-gu (9.30%)and Dalsung-gun (9.14%). As seen, Dalsung-gun has the lowest usable range rate.
Second, square measures of neighborhood parks per capita , calculated to manifest population density that use each neighborhood park, were drawn out for each neighborhood park (81parks). Out of 81 neighborhood parks, number of parks with less than 1㎡ of square measure of park per capita was 21, followed by 15 with 1∼2㎡ , 4 with 2∼3㎡, 7 with 3∼4㎡, 4 with 4∼5㎡, 2 with 5∼6㎡ and finally 28 over 6㎡, showing high population accommodations of parks.
Third, populations living within and out of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were analyzed respectively by utilizing resident registration data for each individual living in Daegu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disclosed only 43.03% of population of Daegu Metropolitan area lives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Out of all autonomous districts and counties, the one with highest rate of population living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is Dalseo-gu with 52.91%, followed by Buk-gu with 52.68%, Suseong-gu with 50.93%, Dalseong-gun with 37.25%, Seo-gu with 31.86%, Jung-gu with 30.85%, Dong-gu with 28.93% and Nam-gu with 13.08%.
Through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distribution problems of neighborhood parks and population with problems using the parks were exposed. Square measure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in residential areas) turned out to be less than 30% against overall square measure of residential areas on average, far below half. Most neighborhood parks showed high population density using the parks and when parks accommodate more users well over their capacities, such phenomena as destruction of facilities and damage to natural resources and accordingly, difficulty i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s of parks might naturally follow as a result. Population of Daegu Metropolitan area living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recorded less than half the whole population, demonstrating that more than half of population have difficulty using the neighborhood park on foot. When compared among autonomous districts and counties, while Dalseo-gu and Buk-gu has relatively healthy distribution of parks and park-using population in the analysis of square measures and population, even those areas only have half or less than half of the square measure and population using the parks.
There are some instances where parks are not designated for reasons of lack of budget, lack of interests and low priority in planning of the parks and other instances where the usage of parks are cancelled on the basis of so-called 'sunset law' when designated land left undeveloped for 10 years. As such, lack of parks is a serious issue and to ameliorate this problem, it is vital to establish objective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the prospective locations of city parks and use them as foundation for park development plan. Therefore, this study, by finding out the areas with lack of square measure within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among residential areas and areas with big population outside of attracting distance of neighborhood parks, is expected to render help to spatial decision-making processes during the execution of park development policy with a provision of objective data and groun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55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