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RCP 시나리오 기반 비관개기 강수량을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확률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진용-
dc.contributor.author방재홍-
dc.date.accessioned2017-07-14T06:25:36Z-
dc.date.available2017-07-14T06:25:36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177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555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지역시스템공학전공), 2017. 2. 최진용.-
dc.description.abstract농업용 저수지의 운영 방안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대부분 관개기 동안의 농업용수 사용에 관련되어 진행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논관개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논벼 생육기간인 4월~9월에 대부분의 관개가 이루어진다. 논벼 관개기 중 가장 많은 물이 필요한 시기는 못자리 용수를 공급하는 이앙기이며 이는 파종 후 최대 한 달 이내이다. 이앙기에는 대부분 이월저수량을 통해 용수공급이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비관개기 동안에 농업용 저수지는 충분한 물을 저수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한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가뭄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우 비관개기에 충분한 물을 저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RCP 4.5, 8.5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강수량의 지역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뭄이 올 경우 비관개기 동안의 강수량이 저수지의 이월저수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판단하고자 경기도의 34개 대상저수지를 선정해 강우-유출 모형인 TANK 모형을 적용해 연별 이월저수량을 산정하였으며, 시기별 확률 분석을 통해 저수지별 용수공급 확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가뭄이나 평년 사상의 강우의 경우 관개기에는 과거 30년 (Baseline)보다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이며 비관개기에는 이전보다 더 적은 양의 비가 올 것으로 나타났다. 비관개기의 강수 기반 유역 유출로 모의된 이월저수량에 대한 확률 분석 결과 관개 종점의 저수율인 초기 저수율 (10%, 20%, 30%, 40%, 50%, 60%, 70%, 80%)이 높을수록 이듬해 관개 시점의 저수율이 9할 이상일 확률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시기 기상자료 기반 모의 결과 초기 저수율이 50%일 경우 이월저수량이 9할 이상일 확률이 85% 이상인 내한 능력이 높은 저수지는 23개 저수지로 나타났으며, RCP 4.5 시나리오 기반 미래 시기에도 비슷한 확률 수치를 나타냈다. 경기도 지역에 한정하였을 때 비관개기 강수량은 춘천, 원주 기상대 근접 지역에서 한발의 경우 40mm 정도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거의 동일한 양의 강수가 예상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상대적으로 내한 능력이 낮은 저수지는 11개로 고구, 길정, 냉정, 덕우, 두창, 마장, 산정, 어은, 어천, 용설, 하점 저수지로 나타났으며, 초기 저수율의 변화에 민감한 저수지와 그렇지 않은 저수지로 확률 범위 기준으로 나뉘어졌다.
본 연구 결과는 비관개기 저수지 운영 및 물관리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에 대비한 농업용 저수지의 효율적 운영 방안 계획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연구사 3
2.1 농업용 저수지 운영 3
2.2 농업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 5
제 3 장 재료 및 방법 8
3.1 RCP 시나리오에 따른 전국 단위 관개기 및 비관개기 미래 강수량 변화 분석 10
3.1.1 대상 측후소 및 기상자료 구축 10
3.1.2 강수량 변화 분석 13
3.2 비관개기 모의 이월저수량 확률 분석에 따른 경기도 농업용 저수지 미래 용수공급 확률 분석 14
3.2.1 대상 저수지 및 지배 측후소 14
3.2.2 기상자료 구축 17
3.2.3 TANK 모형 18
3.2.4 경기도 농업용 저수지의 비관개기 모의 이월저수량 확률 분석 24
3.2.5 농업용 저수지 미래 용수공급 확률 분석 24
제 4 장 결과 및 고찰 25
4.1 RCP 시나리오에 따른 전국 단위 관개기 및 비관개기 미래 강수량 변화 분석 25
4.1.1 RCP 4.5 시나리오의 기후자료 비초과확률 10%, 50%, 90% 강수량 변화 분석 25
4.1.2 RCP 8.5 시나리오의 기후자료 비초과확률 10%, 50%, 90% 강수량 변화 분석 30
4.2 비관개기 모의 이월저수량 확률 분석에 따른 경기도 농업용 저수지 미래 용수공급 확률 분석 34
4.2.1 RCP 4.5 시나리오 기반 비관개기 모의 이월저수량 확률 분석 34
4.2.2 농업용 저수지 미래 용수공급 확률 분석 48
제 5 장 요약 및 결론 56
참 고 문 헌 58
Appendix 66
Abstract 7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0319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기후변화-
dc.subjectRCP 시나리오-
dc.subject농업용 저수지-
dc.subject비관개기-
dc.subject용수공급 확률-
dc.subject탱크모형-
dc.subject.ddc712-
dc.titleRCP 시나리오 기반 비관개기 강수량을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확률 분석-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ng, Jeho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93-
dc.contributor.affiliation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지역시스템공학전공)-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