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의 환경가치지향과 공익광고의 구체성과 추상성이 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n Environment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Oriented Value & Public advertisements Concreteness & Abstractne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수정

Advisor
류재명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초등학생환경가치지향공익광고공익광고의 구체성과 추상성해석수준이론심리적 거리환경행동의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환경교육 전공, 2016. 2. 류재명.
Abstract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은 많지만 그 중 가장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환경교육이다. 초등학교 시기는 환경에 대한 기본 개념, 환경 가치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초등학교의 환경교육은 중요하다. 트빌리시 선언(1978)에 의하면 환경교육은 적절한 교자재가 갖추어져 있을 때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환경교육의 방법적 측면보다 기존의 교과 교육 내에서 효율적으로 환경교육을 실시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초등학교 환경교육 자료에서 공익광고에 대한 효과성은 이미 밝혀져 있다. 환경 공익광고는 초등학생들에게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환경문제를 구체적이고 알기 쉽게 이해시켜주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자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환경교육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공익광고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 해석수준이론, 환경가치지향에 따른 선행연구들을 고찰해보았다. 이에 공익광고 표현방법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따라 공익광고의 효과가 달라지며, 환경가치지향에 따라 수용자가 같은 사건을 다르게 해석하는 점에 착안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환경가치지향과 환경 공익광고 표현방법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따라서 초등학생의 환경행동의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실험연구로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대상은 서울 강남구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175명, 강북구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169명(남: 186명 , 여: 1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 11명의 표집을 제외하고 총 33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환경가치지향 설문지는 Schultz가 개발한 질문지를 초등학교 6학년 수준으로 재구성하여 학생들을 개인중심 가치지향, 타인중심 가치지향, 생태중심 가치지향의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구체적 공익광고나 추상적 공익광고를 보여준 후 환경행동의도에 대한 설문문항에 응답하는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공익광고는 공익광고협의회의 2010년 광고를 초등학생에게 적합하도록 구체적 공익광고와 추상적 공익광고로 재구성하여 인쇄광고물로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환경가지치향에 따라서 환경행동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하지만 공익광고의 구체성과 추상성의 측면에서, 추상적 공익광고를 봤을 때 구체적 공익광고보다 환경행동의도가 조금 더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나아가, 환경가치지향과 공익광고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따른 환경행동의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p<.05).
초등학교 환경교육 연구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자료로서 공익광고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있어왔으나 공익광고의 구체성과 추상성의 측면에서 어떤 표현방법이 초등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공익광고의 수용자인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가치나 특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의 환경가치지향에 따라서 같은 교수-학습 자료도 다르게 해석되고 환경행동의도가 다르게 타나난다는 것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최종목표가 초등학생들의친환경 행동으로의 연결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학생들의 환경행동의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기존의 환경 교수-학습 자료의 효과성을 찾는 것뿐만이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 따라서 교수-학습 자료가 다르게 투입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가치 이외에 다른 조절변인을 찾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1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