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기후변화교육 지도안 특성 분석 - 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주의를 중심으로 - : Analyse on The Feature of Lesson Plans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in Korea : Focused on Positivism, Inter-pretivism, Criticis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상일

Advisor
박병익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후변화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2017. 2. 박병익.
Abstract
기후변화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기후변화교육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학교교육과정, 시범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중등 자유학기제, 사회환경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후변화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복잡한 관계들이 얽혀있는 기후변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실천의 근본적인 기반을 이루고 있는 실증주의(Positivism), 해석주의(Inter-pretivism), 비판주의(Criticism) 관점에 주목하여 현재의 한국 기후변화교육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교육은 수업을 실천하기 이전에 교육 자료와 방법,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 필요하며 이러한 설계는 기후변화교육 지도안에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 기후변화교육 지도안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기후변화교육을 진단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렇기에 다양한 영역에서 실천되고 있는 한국 기후변화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초록지팡이 사이트, 환경교육 우수지도안 공모전 수상작, 사회환경교육센터 프로그램 지도안을 범주로 기후변화교육과 관련 있는 69개 지도안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진행하기에 앞서, 기후변화교육 지도안을 교수학습내용과 교수학습방법에서 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주의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기준을 만들고, 이 기준을 토대로 지도안에 담겨있는 서술의 관점을 분석할 수 있는 아홉 가지 영역을 개발하여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후변화교육에 대한 내용은 일반적으로 기후변화 현상, 원인, 영향, 대응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분류를 기준으로 기후변화교육 지도안에서 기후변화 현상, 원인, 영향, 대응의 교수학습활동과 관련된 서술이 어떠한 관점으로 제시되어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기후변화교육 지도안의 도입 전개 정리단계에서 서술되어있는 교수학습활동이 기후변화 현상, 원인, 영향, 대응 순서로 많았다. 하지만 이 네 가지 기준으로 분류가 불가능하게 서술되어 있는 활동도 존재 했다. 중등 지도안에서는 기후변화 현상, 원인, 영향, 대응을 뚜렷한 구분 없이 종합적으로 다루는 활동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작성한 지도안과 비교했을 때 더 많았다.
기후변화교육 지도안을 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주의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 현상, 원인, 영향에 대한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서술은 내용과 방법에서 모두 실증주의 관점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고,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교수학습활동의 서술은 해석주의 관점에서 작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많았다. 비판주의 관점은 기후변화 현상, 원인, 영향, 대응 모든 범주에서 매우 낮게 발견되었다.
초등과 중등대상 기후변화교육 지도안에서 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주의 관점을 비교하면, 기후변화 현상과 원인에 관계하고 있는 교수학습활동의 서술에서는 초등과 중등 모두 실증주의가 우세하고 해석주의가 그 뒤를 잇고 있어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기후변화 영향에서는 초등 지도안이 중등 지도안보다 학습내용 측면에서 비판주의 관점이 높게 나타났고, 해석주의 관점은 낮게 나타났다. 기후변화 대응에서는 초등과 중등 모두 해석주의 관점이 많았지만, 초등 지도안이 중등 지도안보다 학습 내용 측면에서 실증주의와 해석주의 관점에 대한 비중이 더 높았고, 비판주의 관점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지도안에서 해석주의와 비판주의 관점을 갖고 있는 활동들은 두개의 관점이 갖고 있는 본연의 특성과 기후변화의 복잡한 성격과 비교했을 때 너무 단순하였으며 이러한 부분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는 과학적으로, 개인적으로, 그리고 사회구조와 환경정의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 현상, 원인, 영향, 대응에 대한 내용과 방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교육의 총체적인 학습과 학습자의 다양한 역량을 기르기 위해 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주의 관점을 반영하여 수업이 실천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 기후변화교육 지도안에서 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주의 관점의 분석기준과 아홉 가지 영역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교육자는 본인의 지도안을 분석하고 스스로 성찰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미래의 기후변화교육은 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주의 관점의 특징과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학습자의 연령에 따른 적합성을 고려하여 실천되기를 기대한다.
It is getting attentio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long with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globally. In Korea, it implements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in various areas such as curriculum of school, model school,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y, free semester system for middle school, and education of social environment, etc. In order to understand the climate change intertwined with complicated relationships correctly, it requires the education in various views. So this research analyse the current climate change education in korea, focused on Positivism, Inter-pretivism and Critivism, which forms the basic of education practice.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it needs the systematic plan for data, method, and contents of education before carrying out class, and such designs might be appeared to lesson pla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education of climate change, now being implemented in Korea, by analyzing the lesson plan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n Korea. This being so, it selected 69 lesson plans relevant to education of climate change, in categories of 'site of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www.keep.or.kr), 'winning work at contest exhibit of best lesson pla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lesson plan of program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as target of analysis, considering the feature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n Korea,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Before progressing analysis, it made the analysis criteria to analyze the lesson pla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n terms of Positivism, Inter-pretivism, and Criticism, in content and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is criterion, Nine Areas be developed to analyze view of description, contained in lesson plan, so made it utilized to analysis.
Education of Climate change can be generally classified the contents into phenomenon, cause, effect and response of climate change. So it analyzed whether the description relevant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such as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cause, effect and response is suggested in what point of view, in lesson pla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this categoriz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were many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described in the phase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rrangement of lesson plan for education of climate change in Korea, in the order of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cause, effect, and response. On the contrary, there were activities that could not be classified based on these four standards. For lesson plan for medium, there were more activities to deal with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cause, effect, and response without clear separation, compared to written lesson pl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sson pla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n terms of Positivism, Inter-pretivism, and Criticism, it is largely dependent on view of Positivism for all descriptions of activity of teaching and learning concerning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cause, and effect, in ways of content and method. The description of activity of teaching and learning, relevant to response of climate change, was the largest in terms of Inter-pretivism. The point of Criticism was found very low in all categories of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cause, effect, and response.
When it compares views of Positivism, Inter-pretivism, and Criticism in lesson pla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edium, Positivism is superior in description of activity of teaching and learning, relating to phenomenon and cause of climate change, and Inter-pretivism is followed, so appeared the identical trend. For effect of climate change, the lesson plan of elementary has the highest view of Criticism than that of medium, in terms of content of learning, and it was low for view of Inter-pretivism. Although there was a view of Inter-pretivism for all of elementary and medium, for response of climate change, it has more proportions, concerning views of Positivism and Inter-pretivism, of lesson plan for elementary than lesson plan for medium, in terms of content of learning. Also, views of Criticism had a relatively low proportions. Furthermore, it was too simple for activities of Inter-pretivism and Criticism in lesson plan generally, compared to natural characteristic of two views and complicated property of climate change.
Not only Climate change can be appeared differently for content and method of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cause, effect, and response in terms of scientific, personal, social structure, and environmental, but it should be implemented class, reflecting views of Positivism, Inter-pretivism, and Criticism, so as to foster the holistic learning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various competences of learne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eacher of climate change should analyze the own lesson plan and introspect oneself, using analysis criteria of Positivism, Inter-pretivism, and Criticism, and Nine areas, in lesson pla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We expect that climate change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enough utilized feature and advantage of Positivism, Inter-pretivism, and Criticism, and be implemented considering suitability in accordance with age of learner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1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