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남성 체급운동선수의 섭식장애 경험 탐색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금란

Advisor
권순용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남성체급운동선수섭식장애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3. 2. 권순용.
Abstract
스포츠에서 섭식장애는 여성선수뿐만 아니라 남성선수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남성 체급운동선수의 섭식장애 유형, 섭식장애 시작 및 지속, 섭식장애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섭식장애 경험이 있는 복싱, 태권도, 레슬링, 유도종목의 선수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2011년 1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섭식장애 유형은 빈번한 섭식절제, 폭식 및 구토, 이뇨제 복용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여 장기적으로 체중을 관리하기 보다는 시합출전을 위해 시즌 기간에만 단기적으로 체중감량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스트레스와 부담감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의 섭식장애 유형은 선수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섭식장애는 보다 쉬운 체중감량 방법 선택, 시합출전 자격 획득에 대한 부담감, 동료 및 선·후배의 영향으로 인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고등학교 시기 이후부터 대학 시기까지의 선수의 체급 결정 체계, 쉬운 체중감량 방법에 대한 익숙함 때문에 섭식장애가 고착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섭식장애가 지속되는 유형으로는 시즌-비시즌기간, 그리고 시합 중요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섭식장애를 극심한 스트레스, 정정당당하지 못한 경쟁의식, 섭식장애에 대한 공감문화 형성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들은 개인의 체중조절 능력과 체급선정이라는 환경적 요구 사이의 불균형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또한 다른 선수들보다 쉽게 체중감량을 한다는 점에서 자신이 정정당당하지 못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섭식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연구 참여자가 주변의 섭식장애 경험자와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정당화 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In sports, eating disorder can occur not only in female athletes but also in male athlet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f the types of eating disorder, the start of eating disorder, and continuance process of eating disorder in male weight class athletes.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7 athletes that have eating disorder experience in boxing, teakwondo, wrestling, and judo as research participants. Also,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November 2011 to February 2012. Through a text analysi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ating disorder occurred in the forms of frequent diet limit, binge, vomit, and dose of diuretic of research participants. This is becaus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nt through a short-term weight loss during the season period to participate in the tournament, instead of managing weight over the long term through diet and exercise, and were stressed and burdened by it.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identically experience eating disorder, but each experienced it differently.
Second,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eating disorder of research participants initiated with the choice of an easier way of losing weight, pressure to acquire the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tournaments, and influence of colleagu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eating disorder became continued due to the familiarity of the weight class determination system and an easy way of weight loss from the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 to the university period. For the type that eating disorder continues,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iod (in-season, off-season) and the importance of the tournament. During the in-season period and for tournaments that were highly important, eating disorders were noticeable.
Lastly, research participants understood the experience as extreme stress, an unfair sense of competition, and the creation of a sympathetic culture regarding the eating disorder. They were stressed by the imbalance between the individual capability for weight control and environmental demand for weight class determination. Moreover, they felt they were not playing fair concerning the fact they were losing weight more easily than other athletes. However, this negative perception of the eating disorder experience was justifi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 sympathizes with those who have experienced eating disorder around him or her.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2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