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운동 유형이 노인 여성의 낙상관련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xercise type on fall-related risk factors in the elderly wome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소영

Advisor
전태원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인 여성낙상운동 유형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3. 8. 전태원.
Abstract
2) Among fall-related fitness, there were significant time x group interaction effects on upper-body strength(p<.05), lower-body strength(p<.01) and aerobic endurance(p<.01). There were main effects of time on upper-body strength(p<.001), lower-body strength(p<.001), lower-body flexibility(p<.01) and aerobic endurance(p<.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ENV(p<.05) and REC(p<.05)
3) In psychological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time by group interaction effect on fear of falling(p<.05)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ower-body strength and BMI, aerobic endurance, fear of falling.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resistance exercise program and combined exercise program had a beneficial influence on fall-related fitness factors and fall-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elderly women. Combined exercise program has overall positive effect on many variances. But an effective way to improve lower-body strength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falling is by doing a resistance exercise program. In this respect,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resistance exercise program for reducing falling.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다른 운동 유형에 따라 65세 이상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낙상관련 체력요인, 낙상관련 심리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G시에 거주하며, 의학적 소견이 없는 65세 이상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G시 복지관에서 하루 60분, 주 4회, 12주간 실시된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모든 변인들의 측정은 운동 전과 운동 후 총 2번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 절차는 신체적 특성 중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허리/엉덩이 둘레비(WHR)를 측정하였다. 낙상관련 체력변인 측정을 위해 Senior Fitness Test로 근력(상체 근력, 하체 근력), 민첩성, 유연성(상체 유연성, 하체 유연성),
심폐지구력, Gaitview® AFA-50을 이용하여 평형성을 측정하였다. 낙상관련 심리변인은 한국형 노인 낙상효능감(FES-K) 설문지, 한국형 노인 낙상공포 및 활동척도(K-SAFE) 설문지를 이용하여 낙상효능감과 낙상공포를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Windows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 수준(α)은 .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체조성의 변화에서 체중이 측정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지만(p<.05), 저항성 운동군과 복합 운동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낙상관련 체력요인의 변화에서 상체 근력은 측정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p<.001),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5). 하체 근력은 측정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p<.001),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1). 하체 유연성은 측정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나(p<.01),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심폐지구력은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으며(p<.05),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1). 평형성에서 ENV, REC에서 측정시기, 상호작용 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그룹 간 변화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셋째, 낙상관련 심리요인의 변화에서 낙상공포가 측정시기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하체 근력의 변화에 따라 BMI, 심폐지구력, 낙상공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노인 여성에게 저항성 및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낙상관련 체력요인, 낙상관련 심리요인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운동 중재 후의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복합 운동군이 저항성 운동군보다 더 많은 항목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낙상관련 심리요인 및 낙상과 직접
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하체 근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은 저항성 운동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낙상과 관련하여 운동을 처방할 때에는 저항성 운동을 권장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12 week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that different exercise types have on physical characteristics, fall-related fitness factors and fall-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elderly women. Thirty women with no medical opinion were recruited from a local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is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resistance exercise group with thera-band and combined exercise group with thera-band and dance sport. The exercise groups were monitored for 12 weeks in which they exercised 4 days a week for a 60 minutes. Physical characteristics(weight, muscle mass,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BMI, WHR), fall-related fitness factors(upper-body strength, lower-body strength, lower-body flexibility, aerobic endurance, static balance with Gaitview® AFA-50) and fall-related psychological factors(falls efficacy, fear of falling) were measured prior to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and after the 12 weeks had been completed.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SPSS for Windows V.18.0.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between and within group differenc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 =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1)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muscle mass,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BMI and WHR. There was a main effect of time on weight(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sistance group and combined exercise group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2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