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의 강도가 C57BL6 쥐의 근비대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욱-
dc.contributor.author강민지-
dc.date.accessioned2017-07-19T02:22:27Z-
dc.date.available2017-07-19T02:22:27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123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43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7. 2. 송욱.-
dc.description.abstractIntroduction:
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 (Resistance ladder climbing exercise)은 동물 모델에서 근 비대 (hypertrophy)를 효과적으로 유발하는 운동이다. 또한 저항성 운동은 근 세포 내에서 mTOR pathway의 활성을 유도한다. 현재까지 mice를 대상으로 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을 적용시켜 근 비대의 효과를 기술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트레이닝으로 유도되는 근 비대에서 mTOR signal의 발현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enetically backgroud로 사용되는 C57BL/6 mice를 대상으로 8주간 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이 강도에 따라 근 비대와 근 비대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Method:
8주령의 C57BL/6를 대상으로 8주간 주 3회 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을 진행하였다. 최대 부하 측정을 통해 운동 강도를 재설정하였고, 상대적으로 고강도의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근비대의 표현형으로 뒷다리 근육 무게를 측정하였고, 근 비대 관련 인자로 mTOR signal을 확인하였다.

Results:
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은 강도에 따라 근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GAS와 SOL의 근육 무게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하지만, mTOR, p70S6K, 4EBP1의 mRNA level과 phosphorylation level은 운동 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onclusion:
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은 복합적인 근육의 움직임과 활성을 동원시켜 hindlimb posterior muscle group의 근비대를 유발하는데 적합한 프로토콜로 판단된다. 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의 명확한 근 비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근육군에서 근 비대와 관련한 신호 전달 인자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sistance ladder climbing exercise, animal-based exercise model, muscle hypertrophy, mTOR signal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가설 4

II. 이론적 배경 5
1. 동물 운동 모델 5
2. 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 8
3. 근비대 신호 전달 기전 14

III. 연구방법 17
1. 동물 모델 17
2. 연구 설계 18
3.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 20
4. 체중 측정 및 식이섭취량 측정 24
5. Grip strength 측정 24
6. 근지구력 측정 24
7. 지구력 측정 25
8. 조직 적출 26
9. Real-time PCR 26
10. 단백질 추출 및 정량 28
11. SDS-PAGE 28
12. Western blot 29
13. 자료 처리 30

IV. 연구 결과 31
1. 최대 부하 무게 31
2. 체중 및 식이섭취량 33
3. 근육 무게 35
4. 근력, 근지구력, 지구력 37
5. mTOR, p70S6K, 4EBP1의 변화 (Gastrocnemius) 39
6. mTOR, p70S6K, 4EBP1의 변화 (Soleus) 41
7. mTOR, p70S6K, 4EBP1의 변화 (Tibialis Anterior) 43
8. mTOR, p70S6K, 4EBP1의 변화 (Extensor Digitorum Longus) 45

V. 논 의 47
1. 최대 부하 측정을 통한 운동의 강도 조절 47
2. 운동 강도가 근비대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48

참 고 문 헌 5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957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저항성 사다리 운동-
dc.subjectmTOR signal-
dc.subject.ddc796-
dc.title저항성 사다리 오르기 운동의 강도가 C57BL6 쥐의 근비대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71-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체육교육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