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문화 도덕교육의 정의공동체적 접근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미화

Advisor
정창우
Major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다문화 사회다문화교육도덕교육정의공동체 접근다문화 시민성multicultural societymulticultural educationmoral educationjust community approachmulticultural citizenship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과, 2013. 2. 정창우.
Abstract
다문화 사회로의 급속한 전환은 학교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였다.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학교 부적응 문제와 우리 사회에서 소수로 여겨지는 집단에 대한 편견과 차별, 그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이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들은 학교교육에 새로운 과제를 부여하고 있다. 학교는 다문화 사회의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개방적인 태도와 관용의 자질을 함양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제대로 된 다문화교육이 시행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없이 다른 문화에 대한 지식의 전수 혹은 타문화이해교육이 마치 다문화교육인 것처럼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도덕과에서도 다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부족한 수준이다. 도덕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어느 정도로 반영해야 하는지,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목적이 무엇인지, 그 내용은 어떠해야 하며 어떤 원리와 근거에 따라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해 공식적으로 합의된 내용이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다문화교육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물론 다문화교육을 시행하고자 하는 교사들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도덕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무엇이며, 어떤 내용, 어떤 방법이어야 하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학교 및 학급 차원에서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적용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도덕과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접근법으로써 콜버그의 정의공동체 접근을 제안한다. 정의공동체 접근은 참여 민주주의 원리를 구현하여 도덕교육에 대한 정의의 관점과 공동체적 관점 즉, 개인주의적인 도덕교육과 뒤르켐의 집단주의적 도덕교육과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또한 가상적 딜레마가 아닌 학교 안에서 실제로 직면하는 도덕적 문제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개인 및 집단의 도덕 발달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학교에서 겪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학업성적 부진뿐만이 아니라 편견과 따돌림일 것이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이러한 어려움과 문제점에 주목했을 때 가장 필요한 교육적 조치는 바로 학교나 교실의 분위기를 배려적이고 정의로운 공동체로 만드는 것이다. 민주적인 분위기, 도덕적인 공동체 속에서 학생들은 도덕적 판단을 행위로 옮기기가 용이할 것이며, 다문화교육 또한 효과적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 밝히는 다문화 도덕교육의 정의공동체적 접근의 필요성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공동체적 다문화 도덕교육은 학생들이 살고 있는 환경, 실제로 접하고 있는 문제들을 다룸으로써 도덕적 행위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둘째, 글로벌화 다문화된 사회에 적합한 시민적 자질인 다문화 시민성을 기르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학생들에게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과 책임감을 부여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갖게 한다. 넷째, 그동안 다문화교육에서 다소 경시되어 왔던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일깨운다. 다섯째,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개인차원의 도덕성 뿐 아니라 집단의 도덕성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에서 그동안 주로 논의되었던 배려윤리나 타자윤리뿐만 아니라 인지적 측면에서의 정의와 공정함의 시각도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다문화교육에서 정의에 대한 교육 없이 다양성 그 자체가 지향되어야 할 이상이 되었을 때, 정작 정의의 원리를 간과하기 쉬우며 그것은 다문화교육의 원래의 목적에서 멀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의 정의공동체적 접근은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의 궁극적 목적에 보다 잘 도달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rapid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makes us recognize the necess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The biggest problems in the time of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re school maladjustment and discrimination agains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se left social conflicts in school education. In this situation, school education should provide a proper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o achieve the open attitude and the generosity.
However, the current korea school education is not offering a appropriate education to them. Passing on other culture knowledge or just understanding other culture are not enough to help multicultural children to adapt to the korean school. Also, in moral education, there is no agreement of what purpos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which directions it has to take, and what principle it is based on. So, researchers have much difficulty in conducting a research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eachers in educating th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what objectives multicultural education has to set and which contents and methods it should take. And based on this research, this paper proposed a concrete and practical application method. L. Kohlberg's Just community approach is the approach this paper chose. This approach pursue the harmony of the perspectives of justice with the perspectives of community.
This paper clarifi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Just community approach. I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based on just community lead multicultural children to behave the moral behavior by solving the real problems which the children may have faced in their real environment. Second,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s an effectiveness on cultivating civic attitudes. Third,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let multicultural children have a positive sense of self-identity by developing a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Forth,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awaken to latent curriculum which had been more or less ignor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Fifth,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mplies that not only the individual's morality but also group's morality is important. Finally,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underscores that justice and fairness from cognitive aspects as well as ethics of the other should be included.
Without educating the justice, it is easy to overlook the principle of justice when we put too much importance on the diversity. This lead rather to an unexpected resul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makes children move further away from the original purpose.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moral education, just community approa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expected to be the effective way for attain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s ultimate objectiv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4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