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철학상담의 도덕교육적 함의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나나

Advisor
정창우
Major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철학상담도덕교육세계관 해석세계관 개선자기배려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과, 2015. 2. 정창우.
Abstract
최근 학교교육은 학생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상담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겪는 정신적 위기는 삶의 의미 에 관한 자각과 반성의 부재에 기인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학교상담은 표면적으로 드러난 학생들의 정신적 위기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파악하고 현실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우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철학상담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철학상담은 학생들이 건전한 세계관을 구축하고 당면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자율성을 배양하도록 격려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학교상담을 보완할 수 있는 적절한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철학상담은 내담자의 세계관을 개선하기 위해 내담자의 세계관을 해석하는 과정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철학상담은 내담자가 직면한 문제 상황 해결에 그치지 않고 세계관 해석 을 거쳐 궁극적으로 세계관 개선 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 그렇기 때문에 철학상담은 학생들에게 자기배려의 경험, 즉 자기인식과 자기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자기연마로 나아가도록 하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철학상담의 자기배려 과정은 도덕교육이 학생들로 하여금 사색과 통찰을 거쳐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것을 책무로 삼는다는 측면과 접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 밝힌 철학상담의 도덕교육적 적용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자기배려적 관점에서 철학상담은 심리적 치유를 통한 인격 형성의 토대 마련 과 세계관 개선을 통한 자율적 인간 형성 이라는 도덕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즉, 철학상담 과정에서 학생들은 반성적 성찰과 비판적 탐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심리적 안정을 회복할 수 있다. 나아가 학생들은 지속적으로 세계관을 재구축함으로써 자율적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 도덕과 교육의 목표 달성과 철학상담의 지향에 도달하기 위해 도덕과 교육과 철학상담에서 공통적으로 도덕적 탐구 및 성찰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양자 사이의 상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덕과 교육의 내용 구성 원리인 가치관계 확장법과 철학상담 과정에서도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도덕적 성찰 및 탐구를 내용으로 하는 철학상담 방법이 활용될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철학상담의 도덕교육적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철학상담에서 다룰 수 있는 주제를 활용하여 도덕과 내용을 보완할 경우 학생들로 하여금 도덕적 성찰 및 탐구를 통해 자신의 세계관을 개선하고 자신만의 철학을 정립하도록 도움으로써 도덕과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철학상담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도덕과에서 중시하는 세 가지 물음 즉, 나는 누구인가? , 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가? ,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의 물음과 맞닿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철학상담 방법을 수정․보완하여 새롭게 제시한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4단계 방법 은 특히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 상황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자신을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덕교사가 철학상담사적 역할, 즉 공감과 경청을 자세를 갖출 경우 학생들의 자기표현을 증진시키고 자기 이해를 통해 자아존중이 가능한 교육적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도덕교사가 학생들을 능동적인 주체로 존중하게 되면 학생들이 자기화 를 바탕으로 도덕성을 함양하도록 조력할 수 있다. 이처럼 철학상담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혀내기 위한 본 연구 과정이 도덕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도덕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하도록 하는 자극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school education is moving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its counseling ability to solve several types of mental health problems that students could encounter. Yet, the mental crises the students face usually arise from the awareness of the meaning of life and the absence of self-reflection. Hence, school counseling should not just determine and treat the problems superficially, but help the students to realize their own problems and to develop self-recovery to eliminate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lif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oral education implication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s that are stated above.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proper alternative that supplements the existing school counseling for encouraging the cultivation of autonomy to build a healthy view of the world and solve problems encountered.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be defined a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world view of the client in order to improve the clients world view. Philosophical counseling does not stop after solving the problem the client faces, but ultimately aims to improve world view by interpreting the world view. Therefore, philosophical counseling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of experiencing self-caring by starting from self-recognition and self-understanding head to self-practice. This typ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relates to moral education in that it obligates the independent and autonomous life of the students through meditation and insight.
The possibility of adapta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o moral education mention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erms of self-care, philosophical counseling has moral education significances of building the foundation for character formation through psychological treatment and formation of the autonomous personal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world view. Thus, during the proces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students can solve problems and recover their physiological stability through reflective self-examination and critical inquiry. Furthermore, by constantly rebuilding their world view, students can grow as autonomous persons. The correlation between moral education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could be found from the fact that both of those emphasize on moral explore and self-examination to reach the goal of moral education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Moreover, there is also a correlation between a expanded method of value rel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content composition of moral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applying philosophical counseling as a mor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involves moral reflection and inquiry.
This study proposes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be applied to moral education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using topics that may be dealt with in philosophical counseling to supplement morality and content, it can contribute to the effective achievement of moral target by help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world view through moral reflection and inquiry as well as organizing ones own philosophy. This is because the topics dealt with in philosophical counseling relate to the three questions that morality emphasis: Who am I? , What do I live for? and How should I behave? In addition,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method, the newly proposed mor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4 stage method specifically makes students to concentrate on the problematic situation. This helps them to recognize themselves and to self-examine, critically. Finally, if the ethics teacher plays the role of a philosophical counselor by sympathizing and listening carefully to the students, the students will develop their self-expression, and through self-understanding, an educational atmosphere where self-respect is possible can be formed. Moreover, if ethics teachers respect the students as conative independents, they can help students to cultivate morality through self-construction. As such, this study, which aims to reveal the moral education implication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establishes the identity of morality. Also, it can be expected to be a stimulant for sustainable study of an effective method to achieve the aim of moral educ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4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