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하이데거 환경론과 기술철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연구 : A Study on the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in M.Heidegger's Philosophies of Environment and Technolog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영선

Advisor
박찬구
Major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하이데거환경론기술철학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과, 2016. 2. 박찬구.
Abstract
본 논문은 하이데거 사상이 가지는 환경과 기술에 대한 입장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론과 기술철학이 가지고 있는 도덕교육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 밝히고자 하는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윤리적인 측면에서 하이데거의 철학사상이 가지는 의미를 고찰한다. 하이데거가 해명하는 세계-내-존재 는 현존재가 친숙한 세계 안에서 만나게 되는 존재자와 소통하여 거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계, 곧 환경은 인간이 그 안에서 체류하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거주의 장소로서 삶의 근본 바탕이 되는 자연과 환경은 도구적 존재자로서 인식되고, 이는 지배와 종속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초래하였으며 자연의 근본적인 경이의 세계는 은폐됨으로써 환경문제의 근본 원인이 되고 있다. 이분법적 세계관은 존재자와 세계의 연관성을 의식하지 않고 나와 세계를 분리된 것으로 파악하는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이데거는 인간의 삶이 다시 무게와 가치를 회복하고 진정한 의미에서 자유로운 삶이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지배욕망에서 벗어나 존재자들을 그 자체로서 존재하게 할 때, 즉 다시 존재를 그 본질에로 불러들여 깃들게 할 때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삶은 자연의 자연다움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본질적인 것에 스스로 마음을 기울이게끔 하는 시적 거주함의 삶이다. 이를 통해 환경은 환경으로서의 신비하고 경이로운 자체적 의미를 되찾게 되고, 다시금 아끼고 존중하여야 할 대지와 고향이 되는 것이다.
둘째, 하이데거의 저서 『기술에 대한 물음』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기술철학의 구체적 내용들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데거의 기술철학을 분석함에 있어서 주로 인간과 교육의 도구화와 부품화에 대한 문제의식의 틀을 가지고 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하이데거는 후기철학에서 현대기술문명이 가진 본질적인 문제인 기술지배 문제, 즉 정체성을 잃고 예속화되어가고 있는 삶과 교육의 문제를 몰아세움과 탈은폐, 도발적 요청, 부품화 개념을 통해 규정하고 있다. 기술문명의 위기와 문제의 극복을 위한 마음가짐을 하이데거는 시적거주의 삶, 초연한 내맡김의 성찰과 존재의 진리에 대해 열려있는 개방성의 태도를 통해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유의 자세는 인간이 망각된 존재자 전체의 소박하면서도 충만한 존재를 경험하는 것을 통해 잃어버린 고향을 느끼고 근원적인 마음을 되찾도록 안내한다. 또한 이것은 인간 스스로가 자율성을 가진 도덕적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하이데거의 환경론과 기술철학이 내포하는 도덕교육적 함의를 모색한다. 그의 환경론과 기술철학의 논의를 바탕으로 환경윤리적 태도 확립 과 도덕적 성찰의 자세, 자율성과 정체성의 회복의 도덕교육적 가치를 설정하고, 설정한 가치에 기초한 도덕교육의 방향성을 토대로 도덕과의 목표와 영역의 구성에 구체적으로 적용한다. 나아가 연구자는 도덕과 교육의 방법적 측면에서 하이데거 환경론과 기술철학의 함의를 고찰하려 하는 바, 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교육은 도덕적 성찰과 사유의 자세를 가지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인간과 환경의 관계의 재설정과 내면적 성숙을 통한 실천적인 환경윤리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도덕과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의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을 지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덕교육은 학습자의 역할을 강조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현하여야 한다.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진정한 교육은 깊은 성찰적 자세를 가지고,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는 도덕교육에 있어서 학습자가 스스로 사유할 수 있는 교훈적 과정과 경험 속에서 몰입을 통해 도덕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도덕교사는 학습자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도덕적인 공감과 독려자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어야 하며, 학습자에 초점을 맞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방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나아가 민주적이고 자율적인 도덕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학교 공동체의 풍토와 분위기 조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하이데거의 철학은 나의 삶의 세계에서 만나는 인간과 자연, 사물들을 비롯한 존재자를 그 자체로 새롭게 바라보고 느낄 수 있도록 인도하며, 존재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주는 진리와 숙고적 성찰의 자세를 깨우쳐 주고 있다. 이러한 사유와 성찰의 자세는 존재의 효용가치와 결과만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의 타산적 사고를 벗어나 도덕과 교육의 본질에 접근하며, 도덕성 함양에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적으로 큰 의의를 갖는다.

주요어 : 환경론, 기술철학, 탈은폐, 몰아세움, 부품화, 내맡김, 자율성, 환경윤리, 도덕적 성찰,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48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