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s of Online Extensive and Narrow Reading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Attitudes of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 온라인 기반 다독과 좁혀읽기가 한국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읽기 이해의 발달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소진

Advisor
이병민
Major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L2 readingextensive readingnarrow readingEFL sett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외국어교육과, 2015. 8. 이병민.
Abstract
현재 학교 영어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읽기 수업은 대부분 교과서의 짧은 영어지문을 이용한 정독의 형태로, 학생들은 한정적인 읽기자료의 단어 및 문법적 구조에 집중하여 읽게 된다. 하지만, 학습자 중심, 자기주도적 읽기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영어지문의 의미와 내용에 집중하여 읽으면서 언어의 정확도 보다는 능숙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어읽기 학습방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의 영어 읽기 경험의 한계를 깨닫고, 학습자 개개인의 영어학습 수준에 맞는 실제적인 읽기자료를 활용한 다독과 좁혀읽기를 수업시간 외에 자기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을 통하여 한국 학생들의 부족한 영어읽기 경험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다독 및 좁혀읽기의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실질적으로 EFL 환경에서 보다 쉽고 보편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입증된 효과성에 비해 활용도가 낮다. 뿐만 아니라,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다독과 좁혀읽기를 실행함에 있어 이 읽기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최대한 포함하지 못하였고, 기존 연구들은 언어 학습에서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인 학습자의 능숙도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다독이나 좁혀읽기 방법을 이용한 자기주도적 읽기가 한국 중학교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읽기이해능력과 읽기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읽기경험이 모든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인 서울특별시 소재의 한 여자중학교 학생 90명(상급 학습자 42명, 중·하급 학습자 48명)은 동일하게 다독집단, 좁혀읽기집단, 일상적인 영어 수업만 받는 통제집단으로 나뉘어졌고, 다독과 좁혀읽기집단 학생들은 수업시간 이외에 온라인 영어읽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으로 본인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다독 혹은 좁혀읽기를 14주 동안 실시하였다. 모든 학생들은 사전·사후 영어읽기이해능력 시험과 영어읽기태도에 관한 설문조사에 응했으며, 사후 영어읽기이해능력 시험 결과 및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다독과 좁혀읽기가 본 연구의 한국 중학교 영어학습자들의 영어읽기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독과 좁혀읽기를 실시한 집단이 일상적인 영어 수업만 받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영어읽기이해능력과 더 긍정적인 읽기태도를 보였으며, 다독집단과 좁혀읽기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다독과 좁혀읽기가 영어읽기이해능력 및 읽기태도 향상에 동등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며,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좁혀읽기 방법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영어 능숙도 집단 별 사후 영어읽기이해능력 시험 결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다독과 좁혀읽기를 한 상급학습자들의 영어읽기이해능력은 일상적인 영어 수업만 받은 상급학습자들의 영어읽기이해능력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독과 좁혀읽기는 중급·하급 학습자들의 영어읽기이해능력에 보다 더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급학습자들이 중급·하급 학습자들보다 더 적은 양을 읽었다는 점, 비교적 상급 학습자들의 사교육 횟수와 시간이 많은 점과 다독과 좁혀읽기를 한 상급 학습자들이 사용한 온라인 영어읽기 프로그램이 다르다는 점으로 설명 될 수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보다 명확히 알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실현 가능한 다독과 좁혀읽기 방법에 대한 시사점과 이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결론부에 제시하였다.
The act of reading cannot be underestimated in its role as an immediate source of authentic input, nor can its influence on language learning be left understated, particularly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environment. Hence, the importance of high frequency reading practice has long been emphasized for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reading can be learned by reading. Yet, in most Korean secondary schools, teaching reading in English involves limited reading practice in or outside of clas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therefore, adopts online-based extensive reading (ER) and narrow reading (NR) approaches in an effort to engage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with meaningful reading practice outside of school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ER and NR on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in terms of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nd attitudes toward second language reading with an additional attempt to determine if this impact of ER and NR is dependent on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s.

A total of 90 8th grade female students were divided evenly into three groups, and each group included 14 students with high English proficiency and 16 student with lower English proficiency. Among them, two groups each engaged in ER and NR over 14 weeks out-of-class using online reading programs while the remaining group did not. A set of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a written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tudy to measure the students reading performance and attitudes.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was used to interpret the quantitative data obtained from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s and the questionnaires. The qualitative responses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a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ER and NR both contributed profoundly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attitudes. However, the further analysi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revealed that ER and NR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high English proficiency students in these groups. Several possible reasons were offered to explain such result.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and increased the pedagogical value of independent ER and NR for use as effective reading approach for young English learners in EFL contexts, particularly those with less advanced English proficiency.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50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