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이 교칙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 The Effects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Model on School Rules Attitud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혁-
dc.contributor.author전진현-
dc.date.accessioned2017-07-19T02:37:56Z-
dc.date.available2017-07-19T02:37:56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382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69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13. 8. 박성혁.-
dc.description.abstract교칙은 학교 구성원들의 질서 있는 생활을 돕기 위한 규범이다. 학생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기 때문에 교칙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하지만 학생들은 교칙 중에서도 상·벌점과 관련된 교칙만을 알고 있으며, 교칙의 의미와 필요성,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교칙을 준수하도록 강제하는 것은 학생들을 수동적인 교칙 준수자로 만들 가능성이 높다. 학생들이 교칙을 맹목적으로 준수하게 하거나 마지못해 또는 억지로 준수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심지어 교칙에 대한 반감으로 교칙을 위반하는 행동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교칙의 내용을 알고, 이 교칙이 현재 상황에 적합한지를 스스로 평가함으로써, 자발적으로 교칙을 준수하는 자율적인 교칙태도를 갖추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 참여의 한 방법으로 학생들이 교칙 제·개정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이 학생들의 교칙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학교 내에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교칙태도 형성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적인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교칙 제·개정 과정에서 학생 참여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학생 참여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생활영역인 학교에서 공적인 의사결정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행동이다. 학생들은 참여 중에 경험하게 되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일상생활의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고, 공동선을 숙고하게 된다. 이렇게 학생 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칙 제·개정 모형을 구성하였다. 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은 사전 회의(학생, 교사), 학부모 의견 수렴→ 교칙 제·개정 위원회 회의→ 학교 운영 위원회 심의→ 교장의 교칙 공포→ 참여 경험 정리의 순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학생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모든 학생들이 교칙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토의를 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칙태도를 개념화하였다. 사회심리학의 태도 개념을 토대로 하여 교칙태도를 학생들이 학교 규칙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로 정의하였다. 교칙태도는 크게 세 영역(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영역)으로 구성하였는데, 인지적 영역에서는 교칙이해도, 교칙에 대한 지식을, 정서적 영역에서는 교칙신뢰감, 교칙 제정 절차 신뢰감을, 행동적 영역에서는 교칙효능감, 교칙 준수의지를 하위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주가설 : 교칙 제·개정 참여 모형은 학생들의 교칙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위가설 1. 참여 모형은 교칙태도의 인지적 영역(교칙이해도, 교칙에 대한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위가설 2. 참여 모형은 교칙태도의 정서적 영역(교칙신뢰감, 교칙 제정 절차 신뢰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위가설 3. 참여 모형은 교칙태도의 행동적 영역(교칙효능감, 교칙 준수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강북에 위치한 S중학교에서 약 두 달 간 교칙 제·개정 모형을 적용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3학년 학생들 362명을 대상으로 모형 적용 전의 사전 검사, 적용 후의 사후 검사로 교칙태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에 따른 통계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이 제출한 소감문과 제·개정된 교칙을 결과 해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칙태도의 모든 변인의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이 학생들의 교칙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들이 모두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먼저, 인지적 영역에서는 교칙이해도와 교칙에 대한 지식의 평균 점수 모두 향상되었다. 이것은 학생들이 생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교칙을 개정할 수 있음을 알게 된 것을 보여준다. 교칙에 대한 지식은 평균 점수의 향상 폭이 가장 컸는데 학생들이 교칙을 개정하면서 교칙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정서적 영역에서는 교칙신뢰감과 교칙 제정 절차 신뢰감의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교칙신뢰감의 평균 점수는 다른 변인에 비해 향상 정도가 낮았는데, 이는 학생들이 가장 관심을 보였던 치마길이와 실내화에 대한 의견이 교칙으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교칙 제정 절차 신뢰감의 평균 점수가 향상된 것은 모든 학생들이 교칙을 개정하는데 참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행동적 영역에서는 교칙효능감과 교칙 준수 의지의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학생들이 경험을 근거로 하여 교칙을 개정하는데 의견을 제시하였고, 그것이 설득력을 얻어 상당 부분이 교칙으로 반영되었기 때문에 교칙효능감의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학생들이 교칙 제·개정에 참여했기 때문에 교칙 준수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되어 교칙 준수 의지의 평균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이 학생들의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교칙태도를 함양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모형은 모든 학생들이 교칙 제·개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모형의 적용으로 다수 학생들이 참여로 인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논의를 확장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교칙태도 개선과 관련된 더 많은 연구와 논의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abstractSchool rules help students to keep an orderly school lives. Although the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and the school rules affect students lives, they dont know enough about the real meaning, the need or details of the school rules. Usually, the students realize only a small part of the school rules that is related to the reward and punishment point. In these circumstances, forcing students to obey the school rules can make the students to grow up as a passive observer. That is, students follow the school rules blindly or very reluctantly. Even antipathy to the school rules can cause students to violate them. To solve this problem, school has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self-regulated school rules attitudes by learning about the school rules and self-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the rules.
This study suggests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model as a way of student participation. The ke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raise students self-regulated school rules attitude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is model.
First, the importance of student participation is considered. Communication process through student participation make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daily problems and they begin consideration on the common good.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model is organized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student participation. This model is processed in this order: preparatory meetings for students and teachers, acceptance of parents opinions →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committee meeting → deliberation of school steering committee → proclamation of school rules by the principal → summary about the student participation experience. In particular, this model includes the process of students discus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student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school rules attitudes are conceptualized to verify the effects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model. Based on the concept of attitudes from social psychology, school rules attitudes are defined as the attitudes that students have toward the school rules. The school rules attitudes consist of three general parts: cognitive dimension, emotional dimension, and behavioral dimension. In cognitive dimension, understanding of the school rules and knowledge of the school rules are designated as the sub-variables. In emotional dimension, school rules trust and the enactment process trust are chosen as the sub-variables. School rules efficacy and observance will of the school rules are designated as the sub-variables in behavioral dimension.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in hypothesi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model affects students school rules attitudes positively. Hypothesis 1: This model has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dimension of school rules attitudes. Hypothesis 2: This model has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dimension of school rules attitudes. Hypothesis 3: This model has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dimension of school rules attitudes.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practice test for applying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model was performed for about two months at the S middle school located in northern part of Seoul. A researcher examined school rules attitudes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This was given to 362 the thir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A survey was performed by paired t-test using SPSS 20.0 program.
As a result, average scores of all factors in school rules attitudes are increased. All hypotheses are supported at the .001 alpha levels. This is because students realize that useful revision of school rules is possible through participation. Participation makes student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chool rules so that they have increased school rules trust, the enactment process trust, and school rules efficacy. Also, observance will of the school rules is improved, which means students take more responsibility for revised school rules through their own particip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model is an effective way of raising students self-regulated school rules attitudes. In addition, the majority of students are expected to get educational effect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by additional debates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chool rules attitud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문제 2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3
1) 연구의 의의 3
2) 연구의 한계 5

Ⅱ. 이론적 배경 7
1. 교육 경험으로서의 참여 7
1) 교육적 의미를 지닌 참여 7
2) 교내에서의 학생 참여 9
2. 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 14
1) 기존의 교칙 제·개정 과정 14
2) 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의 구성 17
3. 교칙태도의 의미와 구성요소 24
1) 의미 24
2) 구성요소 25
4. 선행연구 개관 30
1) 이론적 연구 30
2) 경험적 연구 32
5. 연구분석틀의 구성 34

Ⅲ. 연구 설계 36
1. 가설 설정 36
2. 연구방법 36
1) 연구대상 36
2) 연구절차 및 설계 39
3. 연구변인 40
1) 종속변인 40
2) 독립변인 41
3) 통제변인 46
4. 조사도구 49
5. 분석방법 52

Ⅳ. 결과 분석 53
1. 교칙태도의 변화 53
1) 인지적 영역의 변화 53
2) 정서적 영역의 변화 57
3) 행동적 영역의 변화 62
2. 통제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65

Ⅴ. 결론 67
1. 요약 및 논의 67
2. 제언 71

참고 문헌 73

부 록 1. 사전, 사후 검사용 설문지 79
부 록 2. 3학년 사전 토의①-② 및 참여 경험 정리 활동지 86
부 록 3. 학생 참여 경험 정리 내용 89

ABSTRACT 9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548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
dc.subject교칙태도-
dc.subject학생 참여-
dc.subject교칙-
dc.subject학교 규칙-
dc.subject.ddc370-
dc.title학생 참여 교칙 제·개정 모형이 교칙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Model on School Rules Attitud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eon, Jin-Hyu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ⅷ,72-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