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도 표현 교육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종예(金宗藝, JIN ZONGYI)

Advisor
민현식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의사소통 능력한국어 문법 교육행위 양태한국어 의도 표현중국어 의원 조동사중국인 중·고급 학습자형태 초점 과제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5. 6. 민현식.
Abstract
한국어 의도 표현은 화자가 앞으로 무엇을 하겠다는 의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서 한국인 모어 화자와 의사소통하는 데에 기초적이면서도 매우 중요한 표현이다. 한국어 의도 표현의 특징은 그 수가 많고 의미가 유사하며 상황 맥락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 의도 표현에 대응하는 중국어 의원(意願) 조동사는 그 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상황 맥락에 대한 의존성도 낮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의도 표현을 공부할 때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또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의도 표현은 주로 초급 단계에서 교육되는데, 그러나 이들 표현을 이미 공부한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들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의도 표현들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황에 적절하게 의도 표현을 사용하지도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형태, 통사, 의미, 화용의 네 가지 측면에서 의도 표현 간의 차이를 구별하고 상황 맥락에 따라 의도 표현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한국인 모어 화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의도의 행위 양태적 속성을 밝히고 의도 표현의 개념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논저 및 교재에서 출현 빈도가 높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많이 혼용하고 있는 -겠다, -(으)ㄹ 것이다, -(으)ㄹ게, -(으)ㄹ래, -(으)려고 하다, -(으)ㄹ까 하다 등 표현을 본 연구의 교육 목록으로 선정하였다. 이어서 선행 연구를 통해 선정된 의도 표현의 형태 및 통사적 특징을 검토하였고, 구어 말뭉치 분석을 통해 이들 표현의 의미 및 화용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후 한국어 의도 표현의 사용에 있어 중국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고찰하기 위해 의도 표현에 관한 한·중 대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의도 표현을 이미 학습한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 및 대조 집단인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의도 표현의 사용에 대한 양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고, 중국인 학습자 집단의 사용 오류를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에 양 집단에서 응답자를 선택하여 각 설문 문항에 대한 사후 검정 인터뷰를 실시하여, 의도 표현의 사용에 대한 양 집단의 인식 양상 및 학습자 오류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인 고급 학습자는 대체적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슷한 사용 양상을 보이고, 중급 학습자는 모어 화자와 다른 양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 통사, 의미, 화용적인 사용에 있어 중급 학습자 집단이 고급 학습자 집단보다 더 많은 오류를 범하였고, 의도 표현을 변별적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양 집단이 모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용 양상이 나타난 원인은 모국어의 간섭, 목표어의 복잡성, 교육 과정의 영향 등 측면에서 찾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의도 표현에 대한 학습자 사용 양상 및 오류 원인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의도 표현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우선, 의도 표현의 교수·학습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고, 이에 따라 형태, 통사, 의미, 화용의 측면에서 의도 표현의 교수·학습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의도 표현을 교수하기 위해 다양한 의사소통 과제를 활용하여 의도 표현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형태 초점 과제를 통해 형태·통사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고, 판단 과제를 통해 의도 강약을 이해시키고, 상황 제시 및 역할극을 통해 의도 표현의 화용적인 특징을 이해시키는 교육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 및 부족한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형태, 통사, 의미, 화용의 측면에서 의도 표현 간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의도 표현에 대한 한·중 대조 분석을 실시하여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의도 표현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의도 표현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상황 맥락에 따라 의도 표현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문장 종결형의 형태로 실현된 의도 표현만 다루었고 접속문 및 내포문에서 실현된 의도 표현의 형태들은 다루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for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a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se learners in using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in the communicative discourses.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belong to the category of dynamic modality, demonstrating what the speaker will do on certain in the futur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can be semantic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fferent contexts which include the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s and listeners. Different from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the Chinese intentional expressions are not so subjective to the speech contexts as the Korean.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wo languages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Chinese learners to learn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So it becomes a priority to find effective methods to improve the Chinese learners' capacity of using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properly in dialogues.
This paper is structured in as follows. In Chapter-Ⅰ, I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es in regard with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and then suggested two research methods used to collect the learners' data.
In Chapter-Ⅱ, I firstly explored the basic theories for the concept of dynamic modality and then identified the implication of intentional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the Korean text books used in Chinese Universities I selected -겠다, -(으)ㄹ 것이다, -(으)ㄹ게, -(으)려고 하다, -(으)ㄹ래, -(으)ㄹ까 하다, which are frequently used by the Korean native speakers and are easily misused by the Chinese learners, as the research subject for this paper. Then I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intentional expressions on the morphologic,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aspects.
In Chapter-Ⅲ, I designed a survey composed of MDCT and Open-ended DCT in order to collect learners' data. The former is planned to analyze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errors made by learners and the latter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Chinese learners in understanding the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 of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After the survey I made follow-up interview with both the native speakers and the Chinese learners in order to explore how they perceive the intentional expressions.
In Chapter-Ⅳ, based on the error analysis conducted in Chapter-Ⅲ, I set the goal and objectives for the instruction of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and then organized the instructional contents. In order to give students more opportunities to use the intentional expressions in the authentic environment I planned various task-based activities for students. It includes focus-on-form task, judgement task, and role-play so on and so forth.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this paper systematically reconsidered the futures of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in the morphologic,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level and analyzed the Chinese learners' performance in use of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It also suggested different pedagogical methods to teach the Korean intentional expressions effectively for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7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