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희망 표현 교육 내용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애녕

Advisor
구본관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 교육희망 표현한국어 문법 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2. 8. 구본관.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희망 표현이 필요성을 고찰하고, 효과적인 희망 표현의 교육 내용 및 교육 내용의 위계화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희망 표현은 화자가 바람이나 소망을 표현하는 언어 행위이며 실제 언어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희망 표현은 상대방에게 부탁이나 요구할 때 간접적 지시 화행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때 직접적인 부탁이나 요구 화행 보다 더 완곡하고 공손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희망 표현은 희망의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언어 사용에 있어서 여러 화행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고는 희망 표현의 특성 및 실제 사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희망 표현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고의 흐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에서 희망 표현의 개념을 명료화하였으며 한국어 교재와 모어 화자의 구어 말뭉치를 분석함으로써 희망 표현의 교육 목록을 -고 싶다, -(으)면 좋겠다, -았/었/였으면 좋겠다, -았/었/였으면 하다, -았/었/였으면 싶다, -기 바라다으로 선정하였다. 교육 목록으로 선정된 희망 표현을 대상으로 형태·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측면을 나누어 희망 표현의 특성 및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희망 표현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세종 구어 말뭉치와 한국어 드라마 대본과 영화 대본에서 희망 표현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부분적으로 예문으로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희망 표현의 사용 양상과 이해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한국어 교육 자료로써 한국 국내에서 출판한 15종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희망 표현 교육의 교육 실태를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어 학습 자료로써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한국어 학습자(초급 88명, 중급 92명)의 작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희망 표현의 화행 기능에 대한 이해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한국어 모어 화자 80명과 외국인 학습자 8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점수화하였으며 화행 기능에 따라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 살펴본 희망 표현의 특성 및 Ⅲ장에서 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희망 표현의 교육 내용을 구축하고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희망 표현의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목표에 따른 희망 표현의 교육 내용은 개별 희망 표현 및 희망 표현들 간의 차이로 나누어, 형태·통사적, 의미적, 화용적으로 그 내용을 다루었다. 그런 다음에 학습 단계에 따라서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누어 희망 표현의 교육 내용을 위계화 시도하였다. 또한 희망 표현의 교육 내용에 대한 교수 방법으로 연역적 접근법와 귀납적 접근법을 살펴보았으며 귀납적 접근법으로써 문법 의식 상승 과제를 사용하여 희망 표현의 화행 기능 교육하는 것을 제안하였고 수업 예시 및 활동 예시를 다루어보았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이 연구가 갖는 의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희망 표현의 교육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문어의 사용 양상을 배제하였으며 희망 표현의 문어적 특성과 구어적 특성의 차이점을 밝히지 못하였다는 등의 한계를 인정하였고 앞으로 이를 보완하는 연구를 추후 과제로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concret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of wish expressions based on analyzing Korean learners' comprehension and usage patters of wish expressions.
Wish expression is a grammatical element which express speaker's subjective wish. There are some Korean wish expressions which are similar on the meaning and they have various functions in communication. Korean learners find it too har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Korean wish expressions. Also, it is difficult to learn them because of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of teaching Korean wish expressions, and the dissertation is as below.
The first chapter mention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relating to this subject matter. The scope of the subject and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were also presented.
Based on prior studies, the second chapter described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is study from 'grammar pattern expression' to the 'wish expression' about the concept, and selected the objects among the variety of wish expression. This chapter also discussed the features in form, meaning, use of wish expression that had been selected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wish expressions teaching in Korean education.
In the third chapter, to investigate the Korean learners use of wish expressions, 180 Korean learners writing composition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lso, to investigate the Korean learners understanding of wish express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t awareness between native Koreans and Korean learners on the pragmatic functions of wish expressions.
The fourth chapter, presente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wish expressions. To this, the research described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education goals and suggested to make better use of teaching methods. Spiral pedagogy was suggested to be used in teaching wish expressions through the whole course, and the inquiry learning was also made as a proposition when guiding learners find the features of wish expressions by themselves.
In the last chapter, a conclusion was drawn based on the result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stat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77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