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eaching Korean Lexis for Korean-Chinese Leaners: Focusing on the Lexical difference between Korean Language and Korean-Chinese Langua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춘설

Advisor
구본관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 어휘중국조선어 어휘중국 조선족 고등학생어휘 차이어휘 목록어휘 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2. 8. 구본관.
Abstract
오늘날 한국인과 중국조선족들은 의사소통은 가능하지만, 전반적으로 매끄럽지 못하거나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것은 한국어와 중국조선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발전하는 과정에서 언어의 이질 현상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비교를 통하여 두 언어 간에 어휘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차이가 나는 어휘들을 등급화하여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선어문-과외 활동 수업 시간에 활용할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와 중국조선어가 보다 원활하게 교류되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하고,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 한국어 중국조선어 북한 문화어 어휘의 차이에 대해서도 검토 했다. 이는 중국조선어와 북한 문화어가 비슷하기 때문에 남·북한의 어휘의 이질화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의 이질화를 보다 선명히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습자를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으로 선정한 이유와 연구 방법을 제시 하였다.
2장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구성의 전제에서는 먼저 언어 적용 이론, 의사소통 전략, 코드-변환 어휘 접근 방법으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고,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어휘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조선어의 어휘 차이에서는 언어 규범의 차이와 어휘 차이가 생기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사전 조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3장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어휘 선정에서는 앞서 2장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된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어휘를 의미와 형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어휘 의미의 차이에서는 의미의 확대, 축소, 이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형태는 표기법 규정과 발음법 규정에 의해 생기는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를 위한 어휘 선정에 있어서 유용성의 원리, 효율성의 원리, 위계성의 원리에 의해 어휘 선정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원리를 제시하였다.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은 한국어와 중국조선어 자료에서 서로 다르게 쓰이는 어휘들을 추출하여 검토를 통하여 선정했다. 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목록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등급을 매겼다. 그리고 각각 제시한 어휘들을 등급에 의해 중국조선어 어휘-한국어 어휘, 가나다라 순으로 한국어 어휘-중국조선어 어휘로 나누어 분류하고 목록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중국조선어 어휘-한국어 어휘는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들에게 학습용 어휘 목록이 된다면 한국어 어휘-중국조선어 어휘는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들에게 참고용 어휘목록이 된다.
4장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설계에서는 앞서 제시한 어휘 목록을 활용하여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목표, 방법, 모형, 실제를 제시하였다.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방법에서는 정의 활용 어휘 학습법, 문맥 활용 어휘 학습법, 정의 활용 학습법을 사용하였다.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수·학습 모형은 인식→학습→연습→확인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교육의 실제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 능력이 향상 되었는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끝으로 5장에서는 결론적으로 앞의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향후의 과제 등을 논하였다.
his paper clarified the standard by the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Korean-Chinese language because Korean and Korean-Chinese language vocabulary are not aligned perfectly. It also proposed a vocabulary education method that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in two languages for Korean-Chinese high school students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Koreans.
Chapter 1 argued the purpose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or Korean-Chinese and previous studies that is concerned with this subject.
Chapter 2 firstly argued the concepts of Korean and Korean-Chinese language. Secondly, it also explore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Korean-Chinese vocabulary. Finally, it portrayed the current education of Korean-Chinese language, and describes vocabulary norms process of Korean and Korean-Chinese language.
Chapter 3 explored the difference of vocabularies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language in orthography, from, meaning. Secondly, it also selected Korean vocabularies for Korean-Chinese by analyzing various novels, essays, papers that is written by Korean-Chinese writers. Finally, it classified the Korean vocabularies through『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Choson- en Dictionary』.
Chapter 4 suggested vocabulary education method that is divided the method into 5stages : introduction, suggestion, exercise, practice and conclusion to teach differences in vocabulary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language for Korea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Korean-Chinese students need to be able to use the correct and appropriate Korean language because they have many chance work in Korean companies or got a job that is needed the excellent ability of Korean language. This applies not only to Korean-Chinese, but to Korean immigrants in other regions as well. I hope that studies for them will be continue to flourish in the future and wish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n enabling to help decrease the phenomenon which makes the two regions culture become more and more foreign to each other.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7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