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텍스트 맥락 기반의 문장 확대 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the Contents in Sentence-Extension Education Based on Contex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진수

Advisor
구본관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국어교육문법교육텍스트 맥락문장의 확대접속내포Korean Language EducationGrammar EducationContextSentence-ExtensionConjunctionEmbedd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3. 2. 구본관.
Abstract
본 연구는 텍스트 맥락을 바탕으로 하여 문장 확대에 어떠한 요인이 관여하는지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문장 확대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명제 의미가 동일한 문장이라도 확대 여부 및 확대 방식에 따라 화용적 차원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텍스트 맥락을 고려하여 이러한 의미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분석하여 교육 내용을 마련하면, 표현 의도와 맥락에 맞게 문장을 확대하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텍스트 맥락의 개념을 정립하고 기존 연구에서의 문장 확대 개념과 현 교육 실태를 확인한 후, 생성적 관점에서 문장의 확대를 재개념화하였다. 문장의 확대에 대한 교육 내용이 구조주의적 차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맥락 차원과 관련된다는 점을 밝혀 논의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가 문장 구조와 맥락 간의 관계 인식 및 문장 확대 지식을 통한 쓰기 능력 향상이라는 교육적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문장 확대의 문법적 기제인 접속과 내포가 텍스트 맥락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국어 교사 및 학습자의 인식 양상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교육 내용의 체계화를 위해, 문장 확대와 관련된 텍스트 맥락 요인을 필자 요인, 독자 요인, 명제 관계 요인으로 구체화하였다. 필자 요인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으로 화제에 따라 문장 확대 여부 결정하기와 초점 대상에 따라 접속과 내포 선택하기를, 독자 요인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으로 독자의 의미 구성 단위에 따라 확대 여부 결정하기와 독자의 수용가능성에 따라 접속과 내포 선택하기를 제시하였다. 또, 명제 관계 요인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으로 명제 간 연결 관계에 따라 확대 여부 결정하기와 명제 관계의 긴밀성에 따라 접속 내포 선택하기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텍스트 맥락 기반의 문장 확대 교육의 목표를 문장 확대 방식이 텍스트 차원의 요인과 관련이 있음을 인식한다.와 문장의 확대 방식을 탐구하여 문장 확대 방식에 관여한 텍스트 맥락 요소를 분석한다., 텍스트 맥락을 고려하여 문장 구성 시 적절한 확대 방식을 사용한다.로 정립하였다. 문장 확대 교육의 내용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기존의 문장 확대 교육 내용이 규범적 차원의 정확성 중심의 앎 또는 국어학적 쟁점에 대한 탐구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문장 확대 교육이 지향하는 앎의 층위와 방향이 정확성 중심의 앎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문장 확대 교육의 내용이 언어 사용 차원, 문장 확대 방식이 유발하는 표현 효과에 대한 탐구 차원으로 구성되는 적절성 중심의 앎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교육 목표에 근거하여, 교수․학습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문장 확대 요인 중심의 구성과 문장 확대 방식 중심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문장 확대 요인 중심의 구성은 문장 확대 시 고려해야 하는 세 요인인 필자 요인, 독자 요인, 명제 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고, 문장 확대 방식 중심의 구성은 내포와 접속이라는 문장 확대 방식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다. 문장 확대 요인 중심의 구성에서는 필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텍스트 맥락에 따라 적절한 확대 구조로 표현하는 생성적 활동이 이루어지고, 문장 확대 방식 중심의 구성에서는 실제로 표현된 문장의 확대 구조를 자료로 하여 필자가 텍스트 맥락을 어떻게 고려하였는지 탐색하는 탐구 활동이 이루어진다.
본고는 문장 확대에 관한 교육 내용을 학습자의 문장 구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마련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또, 국어 교사와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을 바탕으로 한 실증적인 논의를 통해 교육 내용을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문장의 확대 방식의 선택은 문장 내부의 구조에 대한 관찰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텍스트 맥락에 대한 고려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현장의 교수․학습 내용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concerning sentence-extension process based on context and organize it as educational contents. Sentences which have the same propositional meaning can have different pragmatic meaning according to the way sentence extended. By analyzing the factors causing the difference, we can make educational content to raise the ability to extend sentence in proper way for context.
To begin with, this study reconceptualizes the sentence-extension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tion and usage. And it clearify the fact that the education of sentence-extension is not limited to the dimension of structural grammar.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discussed concerning grammar and writing combination and text-centric grammar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empir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learners. And I classify context to factor of writer, reader and propositional relation. Educational contents at each factor are as follows. The first could involve deciding whether to extend or not according to topic and selecting between conjunction and embedding according to focus. The second could involve deciding whether to extend or not according to the reader's meaning unit and selecting between conjunction and embedding according to acceptability. The third could involve deciding whether to extend or not according to propositional relation and selecting between conjunction and embedd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gration.
Based on these analysis, this study establishes goals of sentence-extension education and makes a system of educational content. In teaching-learning level, these contents could embodied through activities of sentence-extension factor centered or sentence-extension way centered. The former is to give a chance to write complex sentences considering context and the latter is to give learners experience of exploring gramma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uggested a detailed curriculum of sentence-extension based on context which can improve the learner's sentence-construction ability. Also the empirical analysis will be practical contribution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of sentence-extens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8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