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과제흥미와 성취목표 유형이 학업적 만족지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ask Interest and Achievement Goal on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유경

Advisor
신종호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업적 만족지연과제흥미성취목표 유형과제 성취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2. 8. 신종호.
Abstract
사람들은 오래 걸리지만 좀 더 가치 있는 무언가를 획득하기 위해서 참고 기다릴 것인지, 아니면 기다림을 멈추고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할 것인지와 같은 선택권을 놓고 고민하는 상황에 부딪히곤 한다. 학업상황에서도 마찬가지다. 학생들은 좀 더 학업적으로 가치 있는 미래의 보상을 얻기 위해서 TV 시청의 욕구를 참고 공부할 것인지, 아니면 학업적 보상을 포기하고 TV를 시청하면서 현재의 즐거움을 누릴 것인지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종종 처하곤 한다. 만족지연(delay of gratification)이란 이러한 상황에서 순간적인 욕구나 충족을 자제하려고 하는 미래지향적인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만족지연을 더 잘하는 학생들은 학업적으로 뿐만 아니라, 이후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더욱 유능함을 보인다고 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학생으로 하여금 좀 더 만족지연을 잘할 수 있도록 이끄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상황에서의 과제흥미 수준과 학생들에게 제시되는 성취목표 유형이 만족지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연구1), 만족지연이 실제로 과제 성취도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연구2).
연구결과, 과제흥미와 성취목표 유형이 학업적 만족지연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과제흥미가 높을 때에는 성취목표 유형에 따른 학업적 만족지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흥미로운 과제를 하는 경우에는 자기 발전에 초점을 두는지(숙달목표) 혹은 타인과의 비교에 초점을 두는지(수행목표)에 따라 학업적 만족지연에 차별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흥미롭지 않은 과제를 하는 경우에는 성취목표 유형에 따라 학업적 만족지연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행목표 조건에서보다 숙달목표 조건에서 학업적 만족지연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인이 흥미롭게 느끼지 않는 과제를 할 때 성취목표 유형에 따라 학업적 만족지연이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한편, 학업적 만족지연과 과제 성취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실험설계 특성으로부터 기인한 제한점으로 이에 대해서는 논의에서 다루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학업상황에서 학생들에게 과제 목표를 제시할 때에는 학습자가 해당 과제에 대해서 느끼고 있는 흥미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는 학생들이 지루한 과제를 수행하거나 싫어하는 과목을 공부해야 할 때에는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남들보다 더 잘하기 위한 목표를 제시하기보다는 주어진 과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과 같은 과제 자체가 지닌 가치를 강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People sometimes have to choose whether they pursue important rewards that are temporally remote but more valuable or immediately available opportunities that would satisfy impulses of the moment. It is the same in learning settings. Students often face a difficult situation in which they have to choose between getting immediate but less valuable rewards and waiting for academically valuable but temporally distant rewards. Delay of gratification refers to future-oriented attitude willing to control immediate desire or impulse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students who delay gratification would be more likely to be adaptive to social aspects as well as academic aspects than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sk interest and achievement goal on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study 1) and 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and task achievement (study 2).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task interest and achievement goal on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When participants were given interesting task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delay of grat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achievement goals was not observed. In other words, for the participants in the high task-interest condition, the types of achievement goals focusing on self-growth (mastery goal) or comparisons with others (performance goal) did not influence delay of gratification differentially.
On the other hand, in the low task-interest con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of delay of gratifica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achievement goals was present.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in the mastery goal condition were more likely to delay gratification than those in the performance goal condition. This result showed that the ones delay of gratific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chievement goal when one is faced with tasks that are not interesting.
Howe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and task achievement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This limitation will be discussed in discussion par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give relevant types of goal to students taking the level of their task interest in consideration. For students with low task-interest, it is better to emphasize on the task values themselves such as obtaining new knowledge and skills rather than the comparing with others based on the evaluations of their abiliti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8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