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과정 이해: 상황 정의와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ing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Focusing on situation definition and intersubjectiv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민석

Advisor
김찬종
Major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지구과학전공)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과학교육과(지구과학전공), 2013. 2. 김찬종.
Abstract
최근의 과학 학습의 동향을 살펴보면 실질적인 과학 탐구가 강조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학적 모형을 활용한 수업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모형을 활용한 수업에서 소집단 내 학생들의 과학적 모형을 사회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별까지의 거리와 시차와 관련된 주제로 과학적 모형을 구성하는 수업 모듈을 개발하였고, 이를 중학교에 적용하였다. 전체 수업 과정과 학생들의 소집단 활동은 촬영 후 모두 전사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고 학생들의 활동지와 사후 인터뷰 자료도 참고자료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학생들의 소집단 안에서 과학적 모형을 사회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은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과학적 모형과 관련하여 Clement와 Rea-Ramirez등의 모형 발달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사회적 구성의 측면은 Wertsch의 ZPD 구성개념 중에 상황정의와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내린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다양한 상황정의를 가지고 과제에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의 상황정의는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다양한 상황정의는 과학적 모형 구성 과정에 여러 가지 형태로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며 상호주관성을 형성해나갔다. 동의 반응뿐만 아니라 거절 반응도 상호주관성을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었다.
셋째, 교사는 학생들의 과학적 모형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맡았지만, 교사의 발언은 학생들의 활동에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소집단 안에서 과학적 모형을 사회적으로 구성해나가는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과학적 모형과 사회적 구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맥락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과학 탐구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13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사범대학)Dept. of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과)Earth Science (지구과학전공)Theses (Master's Degree_지구과학전공)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