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s Acculturation Always Adverse to Korean Immigrant Health in the U.S.? : 분화된 문화적응과 이민자의 건강수준 변화: 미국 내 한국 이민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라채린

Advisor
조영태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학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cculturationSegmented AssimilationImmigrant HealthKorean Immigrant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보건학전공), 2012. 8. 조영태.
Abstract
연구배경: 이민자 건강을 연구하는 데 있어 대부분 기존의 동화이론 (uni-dimensional acculturation theory)이 사용되어져 왔다. 이는 이민자들은 이주 당시 현지인들에 비해 건강수준이 높은 편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미국의 문화에 적응하면서 건강수준이 점차 낮아져 결국에는 현지인과 비슷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 이론이 다양화된 최근 이민자들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따라서 새롭게 분화된 동화이론(segmented assimilation theory)이 등장하였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이민자들은 인종, 문화, 사회경제적 수준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이민자들은 각기 다른 문화에 동화된다. 하지만, 이 이론을 경험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문화적응 정도에 따른 건강수준의 변화를 관찰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화된 동화이론이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건강수준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이민 당시의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고졸 이하),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건강수준이 악화될 것이다. 2) 이민 당시의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대학 재학 이상),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건강수준이 오히려 좋아지거나 최소한 처음의 건강 수준을 계속 유지할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미국 UCLA대학에서 주관하여 2년에한 번씩 캘리포니아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대표적인 건강데이터 중의 하나인 California Health Interview Survey (CHIS)를 사용하였다. 샘플 수 확보를 위해, CHIS Public Use Files 2005 and 2007 데이터를 합하여 총 대상자는 1133명 이었다. 이를 교육수준에 따라 다시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고졸이하=360명, 대학이상=773명) 이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인 문화적응 정도는 전체 생존 기간 중 미국에서의 거주기간을 %로 계산한 변수를 사용하여 각각 0~20, 20~40, 40~60, 60% 이상으로 나누었다. 종속변수는 총 다섯 개를 사용하여 건강수준(주관적 건강,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건강행동 (운동여부 및 흡연여부) 의 변화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연령, 성별, 혼인여부, 가구소득 및 주관적 영어능력을 통제 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집단은 거주 기간이 길수록 불건강행동과 불건강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교육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 위의 결과를 통해 연구 가설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의 이민자는 문화적응이 될수록 건강수준이 낮아지나,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 경우 문화에 적응할수록 건강이 더 좋아질 수도 있다는 분화된 문화적응 이론의 증거가 될 수 있다. 앞으로도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이민자뿐만 아니라, 다른 라틴계나 아시안계 국가 이민자를 대상으로 같은 분석을 실시해 이러한 현상이 한국인 이민자들의 고유한 특성인지, 다른 이민자들에게서도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인지를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 health trajectories of Korean immigrant population in the U.S., utilising the concept of segmented assimilation theory.
Methods: California Health Interview Survey (CHIS) Public Use Files 2005 and 2007 were combined and used. Health outcomes and behaviours of two subgroups categorised by educational attainments (high school graduation or less, and college or more) were evaluated adjusting for sex,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and self-reported English proficienc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roportion of life time spent in the U.S, and both health behaviours (current smoking status and regular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outcomes (general health status, psychological distress and disability)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highly educated immigrants had lower probabilities of being unhealthy and unhealthy behaviours as immigrants stay longer in the U.S. whereas the probabilities in less educated groups tended to increase as the proportion of life spent in the U.S. increases.
Conclusions: The results may be a strong evidence of segmented assimilation that low SES immigrants experience a deteriorating health trajectory while high SES immigrants experience a progressive health trajectory as they are more acculturated to the U.S. society.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4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