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UN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결의와 한국의 실행 :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its Implementation in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인섭-
dc.contributor.author백상미-
dc.date.accessioned2017-07-19T03:33:06Z-
dc.date.available2017-07-19T03:33:06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838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62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4. 2. 정인섭.-
dc.description.abstract국제사회는 국내법 체계와 같이 입법, 사법, 행정부의 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테러, 반인도적 행위 등 국제평화와 안전유지에 위협이 되는 행위를 규제·처벌할 수 있는 방안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알카에다와 같은 테러조직의 활동은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고, 북한, 이란 등 국가들의 핵무기 및 대량살상무기 개발은 국제사회를 위협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공조를 통해 국제평화를 위협하는 행위를 통제해야 할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UN 헌장 제7장에 근거하여 취하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조치는 국제평화와 안전 유지에 위협이 되는 행위를 자행한 국가나 비국가행위자를 처벌하고 제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EU나 아랍연맹, 미국 등 지역기구나 개별 국가도 개별적으로 제재를 부과하지만 헌장에 근거하여 193개의 회원국에 대하여 구속력을 가지는 제재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가 유일하다. 이러한 점에서 헌장 제7장상의 안전보장이사회 제재결의는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하여 가장 실효성 있는 조치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재체제가 실효적으로 이행되고 있는가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결의가 가지는 의의와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다. 헌장 제7장상 취해진 제재 조치는 그 결의문에서 각 회원국들의 국내법적 조치를 통해 이를 이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체제는 안보리의 결의 채택과 회원국들의 이행이 함께 확보되어야 하는 이원적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UN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결의체제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제재결의의 이행 및 이행에 있어 문제가 되는 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향후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체제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어떤 점이 보완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결의문의 구성과 결의의 유형 및 UN 내부의 결의 운영체제에 대해 살펴보고 체제상의 문제점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먼저 결의의 유형이 포괄적 제재에서 스마트제재로 변화한 연혁에 대해 살펴보았고, 결의 운영체제와 관련해서는 특히 제재대상자를 정하는 명단작성 및 해제작업에 대한 인권침해 논란이 문제가 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한편 제3장에서는 회원국들의 다양한 제재 이행 유형을 살펴보면서 안보리결의가 국내조치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에 대해 예측해보고, 각 유형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분석 하였다. 또한 안보리결의 이행을 위한 국내조치가 문제가 된 경우 회원국 법원은 이 문제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실제 판례를 바탕으로 검토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우리나라가 UN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국내적으로 어떻게 이행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항목별로 자세히 살펴보고, 국내이행조치의 법적 성격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기존법령에 근거하여서만 결의 이행조치를 취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선 방안으로 수권법률의 제정을 제안 하였다. 제5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한 안보리결의체제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UN 내부의 결의 체제와 회원국들의 이행이라는 양 측면에서 모두 내용상, 절차상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 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UN기관 및 회원국 모두가 UN 안전보장이사회 제재결의가 가지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현 제재결의 체제상의 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5

제2장 UN 안전보장이사회 제재결의의 운영체제 7
제1절 제재결의 7
I. 제재결의문의 구성과 이행체제. 7
II. 제재결의의 유형 9
1. 포괄적 제재 11
2. 스마트 제재 12
제2절 UN의 제재 운영체제 16
I. 안전보장이사회 16
II. 기타 UN 기구 20
III. 제기되는 문제점 22
1. 결의문에서의 모호한 용어사용 22
2. 제재명단 작성 작업과 인권문제 24
3. 제재의 강도조절 29

제3장 회원국들의 결의이행과 이에 대한 사법심사 32
제1절 회원국들의 결의실행 32
I. 결의이행 유형 32
1. 기존의 법 활용 33
2. 특별법 제정 35
3. 수권법률 제정 36
II. 각 회원국들의 실행 비교 39
1. 미국 39
2. European Union 43
3. 네덜란드 45
4. 일본 47
5. 종합적 검토 50
제 2절 결의이행에 대한 회원국 법원의 사법심사 53
I. 회원국 법원의 태도 54
1. 사법심사 자제 54
2. 결의 해석 57
3. 국내조치에 대한 무효판결 60
II. 유럽사법재판소의 태도 62
III. 소결 69

제4장 한국의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이행 72
제1절 결의이행을 위한 국내적 조치 73
I. 국내적 결의 이행체제 73
II.국내적 이행조치 75
1. 무기 및 관련 물자 금수조치 78
2. 검색 및 차단조치 82
3. 금융 및 경제제재 85
4. 여행금지 88
5. 처벌규정 90
III. 국내조치의 법적 성격 93
제2절 이행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99
I. 현 이행체제의 문제점 99
1. 결의와 국내법령 사이의 내용차이 100
2. 정보전달 체계 106
II. 법령 개정과 수권법률 제정 109

제 5장 결론 113

참고문헌 118
Abstract 129

표목차
표1 76
표2 9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263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제평화-
dc.subject명단작성-
dc.subject수권법률-
dc.subject스마트제재-
dc.subjectUN 안전보장이사회-
dc.subjectUN 헌장 제7장-
dc.subject이행조치-
dc.subject제재결의-
dc.subject제재위원회-
dc.subject포괄적제재-
dc.subject.ddc340-
dc.titleUN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결의와 한국의 실행-
dc.title.alternative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its Implementation in Kore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ek Sangme-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 131-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