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벌금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A Study on the Problems of Monetary Penalty System and Their Reform Measur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요석

Advisor
조국
Major
법과대학 법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벌금형제도벌금형제도의 개선방안총액벌금형제도일수벌금형제도노역장 유치제도의 합리화 방안벌금형의 집행유예분납연납벌금형의 집행률 제고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4. 8. 조국.
Abstract
벌금형은 19세기 이후에 근대산업사회의 도래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와 함께 행정목적을 위한 단속법규의 급증, 자동차 등 각종 기계의 발달에 따른 과실범의 급격한 증가, 법인 제재의 필요성 증가 등으로 자유형이 그 한계를 드러내고, 이에 대한 대체방안으로서 주목을 받게 되어 주요한 형벌의 하나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현대 자본주의 체제에서 경제문제가 가장 중요한 가치로 대두되어 재산의 박탈이 자유의 박탈에 못지 않은 불편을 준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벌금형은 각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벌이 되었다. 현대 형벌제도의 중점은 자유형으로부터 벌금형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는 18세기 계몽기에 생명형과 신체형으로부터 자유형으로의 전환과 비견할 만하다.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범죄의 다양화 및 증가추세, 수용시설의 과밀화 현상 등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벌금형의 활용은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벌금형의 중요성과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벌금형의 집행률은 절반에도 이르지 못할 만큼 자유형에 비하여 그 집행률이 상당히 저조하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된다면 형벌로서 벌금형의 규범력 저하를 가져와 결국엔 벌금형의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오늘날의 벌금형은 범죄인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형벌효과가 불평등하게 나타날 수 있어 경제적 약자에게는 벌금형이 자유형보다 더 가혹한 형벌이 될 수 있는 반면에, 경제적 강자에게는 벌금형이 형벌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벌금형제도의 운용상 효과를 제고하는 방안들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벌금형이 형벌로서 본연의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형평화와 개별화의 필요성이 강하게 요청된다. 배분적 정의를 바탕으로 하는 재산형의 상대적인 균등화는 현행 형사사법체계에서 벌금형제도가 나아갈 방향이기도 하다.
경제적 불평등이 형벌의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벌금형의 탄력성을 위해 일수벌금형제도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일수벌금형제도는 범죄자의 경제력에 따른 벌금액의 차등화를 통하여 형벌의 상대적인 균등화를 도모하는데 효과적이어서 경제적 약자에게 불리하고 경제적 강자에게 유리한 총액벌금형제도의 문제점을 시정하고 배분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합리적인 제도가 될 수 있다. 개개인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벌금을 즉시 내기 어려운 경우 분납 및 연납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벌금형의 유연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벌금 납부의사는 있지만, 경제적 능력이 없는 범죄자를 바로 노역장에 유치하여 구금을 하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벌금형에 집행유예를 허용하거나 사회봉사명령을 부과하여 생업에 종사하면서도 동시에 벌금 납부효과를 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벌금 미납자에 대한 노역장 유치를 사회봉사로 대신하여 집행할 수 있는 특례와 절차를 규정한 벌금 미납자의 사회봉사 집행에 관한 특례법이 현재 시행중이지만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노역장 유치기간과 벌금형 간의 구체적인 환산기준이 없다는 것도 큰 문제였다. 미납된 벌금액수를 어떠한 기준으로 노역장 유치기간에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고액벌금 미납자의 노역장 유치에 불합리한 점이 많았다. 이에 따라 2014년 5월 14일부터 벌금액에 따라 노역장 유치기간의 하한을 제한한 개정형법이 시행되고 있다.
연간 100만명에 육박하는 인원이 벌금형을 선고받고 있지만 벌금집행업무량을 감당하기엔 집행담당인원이 아직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집행률이 절반에도 이르지 못할 만큼 상당히 저조하다. 집행담당직원의 인원 확충과 집행업무의 질적 개선이 필요하다. 벌금미납에 대한 압박수단으로 연체료를 활용하면 벌금형의 집행률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산형의 집행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전문집행기관으로서 법무부 내에 재산형 집행국을 설치한다면 벌금형 집행업무가 보다 확실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범죄의 다양화 및 증가추세 속에서 아직은 준비가 부족하여 시기상조라거나 현실적인 어려움을 너무 모른다는 말보다는 규정상의 미비와 제도상 미흡한 부분들에 대한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이를 과감하게 시도해 나가는 노력이 지속된다면 벌금형이 형벌로서 본연의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받는 공정하고 공평한 형사제재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Since the 19th century, the advent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with rapid social changes has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regulations of control for administrative purposes. At the same time, the rapid growth in negligence crim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uch as cars has created the need for criminal sanctions to address corporate crime growth. As a result, imprisonment was not enough to cope with these crimes and as an alternative to them, the monetary penalty system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punishment. Because economic problems we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the modern capitalist system and awareness that the deprivation of property was not as good as the deprivation of liberty spread, the monetary penalty has become the most widely used punishment all over the world. The emphasis of the modern penalty system is moving from imprisonment to monetary penalty, and this is comparable to the transition from capital punishment and corporal punishment to imprisonment in the 18‐century period of enlightenment. Considering the tendency for crime to increase and diversify alongside rapid social change and as a result lead to overcrowding of prison facilities, the utilization of monetary penalties is expected to increase in coming years.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the monetary penalty is increasing rapidly, the execution rate of the monetary penalty system is considerably low compared to that of imprisonment. The execution rate of monetary penalties is less than half that of imprisonment. As this situation continues, applying a monetary penalty as punishment causes the degradation of the force of law and eventually can result in the failure of the monetary penalty.. Further, in modern consumption communities, the economic capacity of offenders can make the punishment effect of a fine unfair. So, while for the poor a monetary penalty can be more severe punishment than imprisonment, for the rich the function of a monetary penalty as punishment is considerably weak. To overcome these problems, ways to enhance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the monetary penalty system need to be actively sought.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its proper function as punishment, the monetary penalty requires practical equilibrium and individualization. In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the monetary penalty system needs to be based on the relative equalization of a pecuniary punishment based on distributive justice.
To prevent economic inequality from the inequality of punishment and provide fine elasticity, the active introduction of a day fine system is needed. A day fine system, which differentiates fines according to the economic power of the criminal,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relative equalization of punishment. A day fine system that practices distributive justice can correct the problems of the total-sum fine system, which is unfavorable to the economic weak but favorable to the economic strong. If it is difficult to pay fines immediate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financial circumstances, a monetary penalty needs to have flexibility by making good use of the system of divided payments and postponement of payment. Also, the criminal who has the intention to pay a fine, but does not have the economic ability, should not be taken into a workhouse right away, but should be allowed a probationary period to pay the monetary penalty or impose community service, which enables the criminal to be engaged in an occupation and gives him the ability to pay fines at the same time.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enforcement of community service of fine defaulter, which can enforce community service instead of custody in a workhouse, is currently in effect, but the result has not been as expected.
A huge problem is that there is no specific criteria of exchange between period of custody in a workhouse and monetary penalty. Because there is no clear criteria of exchange, the procedure that enforces custody in a workhouse on high fine defaulters tends to be unreasonable. As a result, from May 14, 2014, a revision of criminal law, which restricts the lowest limit for period of custody in a workhous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fine, is currently in effect.
Approximately one million people are sentenced to a monetary penalty during a year, but the personnel in charge of monetary penalty enforcement are not yet enough to cover the workload. Consequently, the execution rate of monetary penalties does not reach even half. It is necessary to increase executive staff and improve the quality of enforcement work. As a means of pressure on unpaid fines, a delay charge system will be an effective measure. If enforcement agencies of pecuniary punishment are installed, monetary penalty enforcement work could be achieved reliably and rapidly.
When we make a rational endeavor to actively seek an alternative to insufficient parts of the monetary penalty system and keep up efforts to try it out resolutely, the monetary penalty will be able to perform its proper function effectively as punishment and be a fair and equitable criminal sanction that people can trust.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6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