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미술 수상제도 연구 : A Study on Korean Art Priz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수

Advisor
정영목
Major
미술대학 협동과정미술경영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술 수상제도미술상한국 미술미술 제도미술 후원아트마케팅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경영전공), 2015. 6. 정영목.
Abstract
본 논문은 1980년대부터 급격히 증가해온 한국의 미술 수상제도에 관한 연구로서, 이 분야의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국내의 현황을 분석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현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공공 역할을 수행하는 수상제도는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미술 분야에도 나타나 미술이라는 특정한 문화적 형식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미술상은 동시대 미술 지형도에 직·간접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국내의 미술상은 해방 이전의 조선미술전람회, 그리고 해방 이후의 국전과 같은 공모전 형식의 전시에 기원을 둔다. 특히 국전은 최고상인 대통령상과 국무총리상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한국 미술계에서 지대한 권위와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 1982년 국전 폐지 이후 미술계에는 상, 프라이즈, 어워드 등의 명칭으로 많은 미술상들이 설립되었다. 상의 설립 주체 또한 점차 다양해져 기업과 주요 국공립·사립 미술관까지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현대의 미술상들은 작가들의 미적 성과를 평가하고 미술에 대한 담론과 관심을 형성하면서 대중과의 거리를 좁히는 주요한 통로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상을 미술 제도, 후원 그리고 마케팅의 측면에서 파악한다. 최근의 미술상들은 수상 사실 자체에 집중했던 과거와 달리, 상이라는 형식 속에서 세계 미술계와 각 지역 미술계, 창작자와 향유자 등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현대의 미술상은 수상 작가에 대한 지원 방식을 상의 취지에 맞게 다양화하고 다수의 참여 작가들에게 혜택을 확대하는 등 후원의 성격을 강화한다. 이로써 미술상은 승자독식 논리에 따른 거부감을 상쇄시키고 미술 제도로 안착하였다.
기업들은 미술상을 타겟 고객이나 브랜드 이미지에 맞게 기획, 개발할 수 있다. 즉, 미술상은 아트마케팅으로서 기업의 장기적인 이익을 위해 활용되며 기업과 미술이 상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기업이 제정하거나 후원하는 미술상은 기본적으로 메세나의 성격을 지니며 아트플랫폼으로 운영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열려 있다.
현재 국내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미술상으로는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올해의 작가상, 기업들이 문화재단을 통해 운영하는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두산연강예술상, 양현미술상, 송은미술대상, 그리고 광주비엔날레의 눈(Noon) 예술상, 조선일보의 이중섭 미술상 등이 있다. 공식적으로 상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는 않더라도 상과 흡사한 체제로 운영되는 제도 또한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미술상뿐만 아니라 해외 사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점을 찾고자 했다.
본 논문은 국내 미술 수상제도의 기원과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설립 주체별로 분석하면서 미술상에 대한 사회적, 정치적 시각을 다루고자 하였다. 국내 미술상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면서 일부 미술상은 국가 기관, 기업, 언론사와 같은 다양한 조직들 간의 상호의존적 관계 속에서 설립되기도 했다. 본고는 한국 미술상의 체제를 설립취지, 상금과 작가 지원, 심사제도, 미디어 보도의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해방 이후 한국 미술계에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해온 미술 수상제도 연구의 초석을 다지고 변화된 미술계의 시각을 반영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학문적, 실무적 차원에서 의의를 지닌다. 먼저 학문적으로는 미술상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고 광범위한 미술상 사례들을 조사하여 체계화하려 했다는 점이다. 또한 논의를 미술상이 아닌 상으로부터 출발하여 미술상을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틀을 제공하고 있다. 실무적 차원에서는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미술상의 기획자가 상황과 실정에 맞게 미술상을 보다 탄력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미술상을 설립하는 기관들은 미술상에 대한 다면적 이해를 바탕으로 동시대에 유용한 상을 제정하여 사회적, 사업적 편익을 발생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paper researches Korean art prizes, events which have sharply increased in presence since the 1980s. This research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art prizes. It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re is no precedent research on the subject. In modern society, awards programs are increasingly established worldwide for their function of public service through various fields. This phenomenon is observed in the art world as well, reinforcing the specific form of culture called art. Art priz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 the geography of contemporary art in a major way.
Art prizes in Korea have originated from the Joseon Art Exhibition in the pre-liberation era and the National Art Exhibition in the post-liberation era. The National Art Exhibition includes some of the highest awards, such as the Presidential Prize and the Prime Minister's Awards, representing a significant degree of authority and prestige in the Korean art world. Since the National Art Exhibition was abolished in 1982, many art prizes with names such as sang(prize), prize, and award have been established. Those institutions that establish such art prizes also have diversified, from corporations to major national/public/private museums. Todays art prizes evaluate the artistic achievements of an artist and form an art-related discourse, function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ap between art and the public can be narrowed.
This research examines art prizes in term of art systems, support, and marketing. Recent art prizes intend to build a strong platform through which artists and audiences communicate, or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tional art scene rather than just focusing on awarding a prize. Contemporary art prizes seek to enhance the supportive aspects of awarding a prize by diversifying the supporting channels for the recipi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ize, expanding the benefits of the prize to reach out to a broader range of artists. By doing so, art prizes established themselves as an art system while corporations devise and develop art prizes based on the brand concept of the companies or their target customers. In other words, art prizes can be used as art marketing in pursuit of a corporations long term benefits,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corporations and art. Art prizes sponsored or operated by corporations are essentially sponsorship-oriented and can be employed as an art platform.
Examples of corporate sponsored prizes include Hermès Foundation Missulsang, Doosan YonkangArt Awards, Yanghyun Prize, SongEun Art Award, and Korea Artist Prize which is co-opera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along with the SBS Cultural Foundation. Other large scale art events with prizes in Korea exist, such as the Gwangju Biennales Noon Art Prize as well as others which do not officially use the name sang. In my research, I attempted to deduct an implication and find improvements through constantly comparing domestic art prizes with international ones and analyzing them.
This research paper intends to apprehend the origin of art prizes in Korea and the current situation,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on art prizes supported by the analysis of the prizes by the category of foundations. As the body of an art prize in Korea gradually increased, some prizes were established within a mutually dependent relationship with national institutions, corporations, and media organizations. I like to subdivide art prizes into different categories: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s, cash prize and artist support programs, review process, and press release. Through this work, I seek to lay the cornerstone of researching art prizes that have greatly influenced the Korean art scene, hoping to reflect on the changing perspective of the art worl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academic as well as its practical attributes. Academically it attempt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ckground of an art prize, systemizing the broad cases of art prizes in Korea. The research provides a macroscopic viewpoint on the subject by approaching the context of general prizes rather than exclusively focusing on art prizes. In addition, the research forms the basis on which the organizer of art prizes can adjust and manage the programs relevant to their specific situations or conditions. The institutions that found art prizes should generate social benefits as well as business values by organizing art prizes that are useful today on the basis of multi-faceted understanding.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