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재현을 통한 피상성 인식에 관한 작업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귀원-
dc.contributor.author박민주-
dc.date.accessioned2017-07-19T03:47:01Z-
dc.date.available2017-07-19T03:47:01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321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83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조소과, 2013. 8. 오귀원.-
dc.description.abstract본인은 살아가며 느끼는 불안감이 근본적으로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 있어 불완전한 체계를 가진데서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결국 죽음으로 귀결되는 존재라는 점에서 그러한 인식과 표현은 허무를 지니는 동시에 개별자에게 각별한 것이 된다. 삶의 발현이 내포한 이러한 양가적 속성에 대한 고찰은 본 작업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존재의 숙명적 한계성에 대한 인식은 본인이 대상을 대할 때 항상 그 이면의 것을 포착하고자 하는 태도를 낳게 하였고 작업에 그러한 생각들이 반영되어 나타났다. 본인은 작업을 할 때 본인의 인식과 표현이 세계를 드러냄에 있어 그것이 본래적으로 갖는 피상성 때문에 다분히 상반된다고 느끼기도 했으며 그럼에도 때로는 세계를 보충한다고 느끼기도 했다. 즉, 예술가로서 본인은 세계에 속해 있으면서 세계에 대한 존재라는 생각이 바탕이 되었다.
기본적인 작업의 방향은 본인이 처해 있던 상황과 경험을 토대로 모티브가 된 특정 사물이나 관념에 대하여 재현적 방식을 통하여 작품을 제작한 것이다. 그러한 본인의 표현물과 등가한 것으로써 혹은 동경의 의미가 내포된 것으로서 모티브가 되었던 실제 대상을 같이 병치하고자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그것에 반하는 의미로서의 개인적 취향의 부가적 사물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초기에 작업에 함께 놓인 사물의 속성은 특정 관념을 대표하여 제작된 상징물과 텍스트로 확대되어 전개되었다. 대상을 면밀하게 재현한 표현물의 방식에는 존재의 유한성이 몸의 조건으로 설명된다는 점에서 주로 수공예적 노력이 들어간 방식을 취했다. 또한 표현의 피상성과 함께 본인의 취향이 함께 반영된 장식성을 띠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외부 대상에 관련한 본인의 제작의 결과물이 함께 놓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작품이 총괄적 세계의 상에 좀 더 가까워지길 원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제 1 장 들어가며 1

제 2 장 사물의 의미에 관하여 4

재현에 대하여 6

장식성에 대하여 7

제 3 장 관념과 가치에 관하여 7

제 4 장 확장되는 개념들‐몸, 이미지, 텍스트 11

병치의 방식에 대하여 14

제 5 장 나가며 19


참고문헌 21

작품도판 22

Abstract 3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060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세계 존재 재현 몸 병치-
dc.subject.ddc730-
dc.title재현을 통한 피상성 인식에 관한 작업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ⅰ,31-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조소과-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