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상과 관념 사이의 현실 인식 : The Perception of Reality Between the Object and the Id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성

Advisor
오귀원
Major
미술대학 조소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상현실실제재현인식관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조소과(조소전공), 2015. 8. 오귀원.
Abstract
본인은 오랫동안 관념 속 이미지로 봐왔던 대상에서 우연한 순간, 생경함을 발견한 경험이 계기가 되어 본다는 것에 의문을 갖고 본 작업에 착수하였다. 작업을 통해 대상의 일부만이라도 분명하게 파악한다면 이전에 안다고 생각했던 대상에 대하여 한 뼘 더 정확히 본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대상을 파악하는 다양한 방법 가운데 본인은 가까이 다가가 그것을 관찰하고 크기, 온도 등의 수치적 정보를 획득하였다. 대상에 대한 여러 감각적 정보는 개인에 따라 주관적인데 반해 수치적 정보는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인은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을 재현하여 마치 실제의 일부분을 옮겨 놓은 듯 연출하였으나 결과물은 실물을 보는 것과 다른 감흥을 전달한다. 재현한 대상에는 실제 대상의 모습과 대상에 대한 본인의 관념 속 심상이 혼재된 까닭이다. 그 간극은 실물을 측정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관념 속 대상과 실물 간에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확인하면서 발생하게 된다. 이러
한 괴리는 스티로폼이나 점토, 옷가지, 수조 등 본인 일상에 가까운 재료를 사용하면서 표면화되었고 결국은 전시장에 놓인 풍경을 통해 관람자가 생경함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되었다.
대상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출발한 본 연구에서 그것을 전부 아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본인이 본다고 생각하던 대상에 본인 의식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음을 확인하였고, 본 작품이 있는 그대로의 대상과 관념 사이에 있음을 인식하면서 그 사이에서 유희하는 본인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is researchers own experience when I happened to see an object, the image of which I am familiar with, and found it to be unfamiliar. By questioning on what seeing is in this study, I aimed to have a clearer understanding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bject, so that I would be able to see the object I thought I had known more clearly than before.
Among the many ways of understanding an object, I chose to get a closer look on it and gather numerical information, such as its size and temperature, since sensual information on the object can be subjective while numerical information is objective.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I recreated the object as if it was moved directly from the actual object. The output, however, delivered feelings quite different from the actual object. This was because the features of the actual object and the researchers own image of the object have been mixed in the recreated object. The gap became more prominent when measuring the actual object and collecting information on it, during which one can find that the imagery of the object and its actuality can differ significantly. Such gap came to the surface as common materials such as Styrofoam, clay, clothing and water tanks were used for the recreating the object. In the end, the exhibition was designed so that viewers can feel the unfamiliarity through the display.
Although this study did not succeed in fully 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of an object, it succeeded in confirming the presupposition that when a person sees an object, ones consciousness casts a shadow on ones perception. I found myself reveling in the awareness that my work is in between the object as it is and my own idea of the object itself.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