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개인적 공간'의 형상화를 통한 내향적 심리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troverted Psychological Expressions through Figuration of 'Personal Spac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선

Advisor
윤동천
Major
미술대학 서양화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내향성개인적 공간불안역설은둔부적응소외감은유무대메조틴트오목판법요철여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양화과 판화전공, 2016. 2. 윤동천.
Abstract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고 각자에게 맞는 삶의 속도와 방식이 있다. 융의 심리유형론에 의하면 내향성과 외향성은 태도에 따른 선천적으로 다른 성격유형일 뿐이지만, 다각도로 분석해본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내향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 보다는 외향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우호적인 편이다. 나는 작업을 통해 나처럼 내향적인 사람이 외향적 사회 속에서 겪는 여러 심리를 '개인적 공간'을 통해서 표현함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과 자기 사회의 정체성을 고민해보고 다양한 가치를 인정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내향적인 사람의 심리상태를 시각화 하기 위하여 공간적 요소를 이용하였는데 그 공간을 '개인적 공간'이라 통칭하였다. 이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일종의 심리적 보호영역으로써, 사람들 사이에서 거리를 유지 하고자 하는 행위 또는 그곳에서 완전히 빠져 나와 도피해있는 공간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작업을 통해 사회로부터의 도피와 합류를 무한이 반복하는 내향인의 심리를 표현하였다. 사회에서의 부적응적 심리,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개인적공간' 으로의 은둔 심리, 그로 인해 도태되지 않을까 하는 불안심리가 그것이다. 여러 심리를 다루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기저에 깔리는 심리는 불안이다. 사회는 자아를 규정짓는 큰 부분으로써 그들과 나의 기준이 맞지 않음으로 인한 불안이다. 또한 내향인으로서 원하고 추구 하는 바와 외향적 사회에서 이상적으로 내세우는 기준 그 모두를 쟁취 하고픈 욕망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설은 작업의 기조를 이룬다.
이러한 심리를 시각화하기 위하여 소재로서 의자를 사용하였다. 작업에서는 이 의자를 변형함으로써 그 자체를 내향인을 대변하고 그가 가진 심리를 압축해 놓은 하나의 기호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특정 용도의 의자를 전시공간으로 옮겨와 재현함으로써 그 자리에서 느낄 상념 또는 갈등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소재 만큼 그것이 놓이는 공간을 규정짓는 것 또한 작업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었는데, 많은 작업에서 공간을 콘서트나 연극의 무대와 같이 표현하였다. 그곳은 극한 희열과 허무 그리고 고독함이 공존하는 곳, 즉 정 반대의 심리가 교차할 수 있는 순간을 지닌 공간이었고 이는 기저에 깔리는 역설을 표현하기에 용이하다고 여겨졌다. 또한 어두움과 조명을 활용하여 공허하면서도 불안한 심리를 고조시켰다.
작업은 주로 판화매체를 사용했다. 특유의 흔적으로 내향인의 심리를 드러내고 깊은 톤의 구현이 가능한 메조틴트 기법과 더불어 에칭•아쿼틴트 등 오목판법에서 발생하는 엠보싱효과를 통해 종이의 여백을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그 외에 디지털프린트나 펄프캐스팅 기법 등으로 매체의 범위를 확장시켜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작업의 배경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더불어 주관적인 나의 시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앞으로의 작업에서 객관성과 주관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토대가 되리라 기대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