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Road of Korean Ginseng: Revisiting the Transition of Sino-Korean Trade, 1868~1904 : 한-중 무역의 근대적 전환에 대한 재고찰: 개항기(1868–1904) 중국의 한국 인삼 수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An, Sooyoung

Advisor
정영록
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Keywords
Sino-Korean TradeKorean Red GinsengDualistic Trade SystemEast Asia’s Transition of the 19th centuryModern Maritime TradeEast Asian Merchant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중국지역학전공), 2015. 8. 정영록.
Abstract
19세기의 동아시아는 근대 이전시기의 전통적인 조공무역 체제로부터 조약관계에 근거한 근대 이후의 개항장 무역체제로 이행하는 단계에서, 그에 수반하는 일련의 구조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던 것으로 논의된다. 조약관계와 개항장, 자유무역 정책의 확산 등에 바탕한 새로운 근대적인 무역체계는, 해로무역을 그 중심에 놓고 있었으며, 해상에서의 상업활동이 동북아시아 에서도 개항기에 이르러 활발히 전개되었다.
최근 그와 같은 100년 전의 근대적 전환과 특히 무역의 변환 과정에 관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됨에 따라, 한중 무역관계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측면들 또한 부각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황해권을 중심으로 한 한국과 중국의 개항 이후, 전근대의 무역체계와 근대 무역체계가 상당기간 공존하였으며, 이에 따라 독특한 이중구조의 무역형식이 19세기 후반에 걸쳐 존속했음에 대한 논의에 주목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의 이러한 주장은 대부분 조약의 내용과 서술 기록 등에 근거하거나, 정치적 의의 등을 질적으로 논의하는 데에 그치고 있어, 실제의 무역 수치와 수출입 기록 등을 활용한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즉, 구체적 무역의 수치에 근거한 당시의 무역 상황에 대한 검토와 분석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본 논문은 중국구해관사료[(中國舊海關史料(1859-1948)]에 드러난 한국 인삼(홍삼)의 무역 상황에 대한 수치들을 수집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입에 이르기까지 한중 무역관계의 변화 과정에 대한 논의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다. 대상 기간은 1868년부터 1904까지의 37년으로 한정했다.
중국구해관사료로 발간된 바, 매해 중국의 모든 개항 항구에서 기록, 보고된 무역 통계에서는 한국인삼의 수출과 수입이 상당한 수량과 액수로 기록되고 있었다. 그러나, 특히 영구(잉커우)와 연대(옌타이) 항구 해관자료에서는 매해 눈에 띄게 큰 규모의 한국인삼을 국산품의 (native goods) 순수출로 보고했다. 이 중 영구항 해관에 의해 보고된 한국 인삼은 포삼제 하에서 정부가 매해 허용한 홍삼 수출 수량 안에서 이루어진, 공식적인 인삼 무역을 대표하는 수치들이라고 보아야 하며, 이는 의주를 경유하여 공식 사행로를 따라 육로로 이동한 후에, 영구항에서 기선으로 반출되었기에, 한편 전근대적 조공 무역의 체계하에서 이루어진 인삼 수출로 이해할 수 있다. 영구항의 홍삼 수출이 1894년의 급작스러운 중단에 이르기까지 온전히 유지되었고,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는 사실은 개항장의 설립과 일련의 근대적 조약의 체결이 진행되던 1870년대 후반 이후 20년 넘는 기간 동안에, 한중 무역의 상당한 부분은 여전히, 조공무역의 틀과 방식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덧붙여, 근대적 해관 체계에 포섭되지 않고, 따라서 해관 무역통계에 포함되지 못했던 한중 간의 육로무역의 비중이 실로 상당했음을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한편, 연대 항구에서 수출되던 인삼은 황해상에서 무역활동을 펼치던, 대부분 중국 상인에 의한 민선(Junk
당선) 무역에 의해서 중국 산동반도로 반입되어 들어온 뒤, 연대에서 기선으로 운반됨에 따라 기록된 수치로 볼 수 있다. 당시의 해금 정책, 또 조선 정부가 홍삼의 해로 무역, 수출 허가량을 벗어난 홍삼 제조 및 수출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었음을 고려해 볼 때, 이는 조선 정부의 입장에서는 온전히 불법적인 무역 행위였을 것이다. 이 같은 사무역, 비공식무역에 의한 인삼 수출이, 연대 항구에서는 영구항의 것과 달리, 1894년 조공무역의 폐지 이후에도 꾸준히 감소하지 않고 나타났다. 한편, 1880년대에는그 수출, 즉 한국으로부터의 반입이 현저한 증가 추세를 보였는데, 이는 1882년 체결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이 당시 한중간 다변화된 주체들에 의한 무역활동과 상인 세력의 확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맥락과 연관 지어 살펴볼 수 있다. 즉, 해관 자료를 통해 검토한 바, 30년에 걸쳐 지속 혹은 증대된 홍삼 사무역의 상황은 국가에 의한 통제와 규제의 기존 무역 체제에 대항하여 발달하던 자유로운 사적인 상업활동, 해상무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적 시장통합 발달, 또 상인 세력의 성장 등 19세기 후반의 전반적 추세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홍삼 무역에 주목함으로써, 한중간 무역이 19세기 후반에 걸쳐서 근대적 무역체계의 도입에 따라 직면해야 했던 근대적 전환의 구체적인 양상과 특징을 검토할 수 있었다. 요컨대, 약 반세기에 걸친 과도기의 특징적 성격은, 무역 루트/양식의 이중적 구조, 조공무역 시스템의 존속, 1882년과 1894년 등 중요 제도의 재조정에 따른 단계적인 변화의 진행 등으로 설명된다. 특히 본 논문은 그 특징들 가운데서도 국가 세력과 상인 세력 간의 역학관계에 주목했다. 근대로의 전환기와 해상 무역의 발전에 따라, 국가 공권력과 사적인 무역 주체들 사이의 대결, 충돌, 경쟁, 혹은 균열의 양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이는 19세기 한중 지역, 나아가 동아시아에서 형성되던 갈등관계가 국가 대 국가, 근대적 제도와 전근대적 양식, 상인 대 국가 등에 걸쳐 다층적인 구조로 발전하고 있었음을 설명한다.
The 19th centurys modern transition of East Asia was a structural change of rearranging and reformulating the traditional order of pre-modern tributary trade system to the modern order of treaties that was newly adopted. In the system of treaties and treaty port, a basic principle of free trade was to be endorsed, and the sea became the major site of commercial exchanges. The maritime routes rose as the central mode of international trade.
While recent discussions suggested that the pre-modern and modern systems of trade coexisted along the trade relationship of Korea and China during the 19th century, such arguments have yet been mostly founded on descriptive analysis, or focused on relating trade with political factors. In this backdrop, the central question the thesis raised was to see how such alleged features as duality, coexistence, and other peculiarities as the transitional period would prove itself from quantitative evidences based on statistical data of trade.
With such overarching question, Korean red ginseng and its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was selected as an object of investigation which could be used as a frame through which to investigate the peculiar features of the modern transition that the Sino-Korean trade had been going through. Using the China Imperial Maritime Customs as the main source material, this study traced the bilateral ginseng trade during the period from 1868 until 1904. Since the Korean ginseng had dominated a significant portion in the bilateral trade throughout the 19th century, an intensive investigation on the import/export accounts of Korean ginseng recorded by the Customs services effectively provided a good reference to the 19th centurys modern transition developed within the Sino-Korean trade.
In the tributary system, Sino-Korean trade had been constructed upon the pattern in which only the overland routes were allowed and only trades by the officials and envoys sent to Peking, or otherwise by the exclusive merchants, were allowed. Under such construct, Korea's institution Posamje was set up specially to govern its ginseng exportation. The institution had been responsible for the red ginseng to be permitted only on the overland route attached to the tributary envoys and restricted only to the certain amount set by the government as annual quota.
Careful investigation of the Maritime Customs records reveals that some Chinese ports stand out as the net exporters for the Korean ginseng ? among which Yingkou and Yantai had been exporting biggest amounts of Korean ginseng. The Korean ginseng recorded as Yingkous export stands for those that were attached to the tributary missions and thus were within the official limit of annual quota, though it would possibly include some portions of illegal trade. On the other hand, exported from Yantai (Chefoo) shall be entirely identified as of private trade ? hence smuggled ginseng. Therefore, the overall picture is that the rampant practice of ginseng smuggling existed at the margins, circumventing the state control while the institutional restriction continued.

An observation particularly to the significant amount as well as value of Korean ginseng ? which had been crossing the border, travelling overland, and then transferring to the transportation on the sea at the port of Yingkou ? highlights several important points that merit ones interest. What is vividly depicted is the fact that the pre-modern, or tributary, system of trade persisted throughout, for more than two decades after Korea ostensibly stepped into the new, modern trade order in 1876. With respect to the trade of ginseng ? which dominated a significant portion out of the entire bilateral trade ?, the overland route and traditional pattern were left intact, unaffected by such changes as the opening of the ports or conclusion of modern treaties. With the single most important item of sale ? which had been also extremely profitable ? resisting against change and persisting on the preceding pattern of trade. Meanwhile, such significant portion of trade, which had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e-modern format and on the overland routes, had not been included in the statistical records by the Maritime Customs services ? preventing the records from thoroughly and correctly reflecting the actua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especially for the period until 1894.
As the tributary practice came to the complete end in 1894, the tributary institution of ginseng trade were also abolished, which led to the transition that is evident on the statistical data. From 1895, the red ginseng exportation was finally allowed on the maritime route. Such delay can be mostly attributed to the public institution and management of ginseng that deferred its institutional change. The continuation and persistence of ginseng institution on the old tributary routes have thus been the remarkable feature that led to the unique dual system of trade.
However, the ginseng export of Yantai, by showing the persistent flow of ginseng crossing the Yellow Sea ? which had been the prohibited route by the Haegeum policy ? implies the situation where the state power of Korea was facing the historical challenges posed by the rising merchant activities. The exportation of huge amount of Korean ginseng from Yantai shall be taken as a representative symptom of the threat which grew evident after the conclusion of Sino-Korean treaty in 1882. This treaty of 1882 Sino-Korean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y encouraging commercial activities by the Chinese merchants further and having the Chinese officials to actively support the interests of their own merchants, added momentum to the illegal trade of ginseng. The change during the 1880s ? the price and amount of Korean ginseng traded on the Chinese coast moving further to meet the market demand, responding to the market signal ? implies that the states power to preserve the existing regulative institution was weakening and its old institution to control the trade on the sea as well as in the land was quickly dismantling.
B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red ginseng trade, the current study analyzed and examined the unique features that arose while Sino-Korean trade was going through the turbulent process of modern transition. The dual system of trading routes, persistence of the preceding system of tributary trade,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such years as 1882, or 1894 on the bilateral trade, the conflicts and ruptures between the state and the private merchants, and the growing intensity of such fissures within each country are the observations suggested by the current study. Namely, multiple layers of conflicts ? nation against nation, the private against the state, and the old against the new - have been the prominent feature that characterized the late 19th century Northeast Asia.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3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