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동 삼각맨션부지 특별계획구역 및 주변지역의 보존을 위한 개발계획 : A Development Planning for Conservation of Samgak Mansion area and Periphery area in Yongsan-gu, Seou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호

Advisor
조경진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용산삼각지교차로역사문화환경도시설계도시조직다양성공공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2. 8. 조경진.
Abstract
서울은 오랜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변화·발전해왔으며 오늘날 미래국제도시로서 주목받고 있다. 오랫동안 축적된 도시발전과정의 흔적들은 아직도 도심의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도시환경의 다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미래국제도시로서 건강한 도시의 모습을 고민하면서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다양성과 공공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우리의 도시환경 속 자산들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그 보존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용산 일대는 개항기와 일제강점기동안 한강변의 개항장과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시조직이 형성되었고 해방 후 오늘날까지 도시의 발전과 변화과정을 함께 하고 있다. 남북으로 한강과 남산에 접해있는 용산은 지리적으로 서울의 중심에 있으며 한강과 용산역에 의한 근대화공간에서 용산공원과 용산국제업무지구 등 미래국제도시의 상징적 중심공간으로서 그 역할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용산 일대에서 진행 중인 전면철거식 재건축재개발방식은 용산의 역사문화적 흔적들인 기존의 도시 구조와 기억들을 소멸시키고 있다. 또한, 고층고밀의 주상복합식 단지들은 용산 일대의 획일적인 경관을 조성하고 있으며 폐쇄적인 성격과 함께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떨어뜨려 도시환경의 공공성과 다양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우선적으로 용산 일대에서 진행 중인 대규모 개발의 흐름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용산구 한강로동 삼각지 교차로 일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찾아 장소성 구현의 요소로서 가치와 보전의 필요성을 확인한다. 첫 번째는 가로와 필지형태, 건축물들과 같은 물리적 요소들에 대한 것이며, 두 번째는 대상지를 중심으로 생성되었던 대중문화와 도시발전과정에서 대상지의 의미와 역할 등 문화적 요소다. 세 번째는 현재 활동 중인 단체들과 기억을 공유하고 있는 공동체, 대상지에서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들인 인적 요소다. 이들 세 가지 요소는 대상지의 시공간적 연속성을 보여주는 요소들이며 역사문화적 가치와 보전가능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현황조사를 통해 대상지의 물리적인 특성과 실질적인 문제들을 확인한다. 대상지 내의 가로들은 근대화과정에서 형성되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대표적인 특성이며 주변지역과 연계성을 가지는 중요한 요소다. 한강대로변의 액자가게들은 60-70년대 형성된 화랑거리의 흔적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과거의 전차고지로 사용되었던 대규모 오픈스페이스는 창고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대상지의 중심지역에 있는 창고부지는 사유화된 성격으로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이 떨어뜨리고 있으며 건물들의 노후화에 따른 주거환경의 불량과 보차혼용에 따른 보행의 안전성 등 대상지의 문제들을 확인할 수 있다.
대상지의 물리적, 문화적, 인적요소들과 현황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방향과 목표를 명확히 한다. 첫 번째는 삼각지 교차로 일대의 장소성을 구현하고 있는 요소들을 통해 역사문화환경의 보전방법을 찾는 것이며, 두 번째는 오픈스페이스와 건물의 배치, 기존의 도시조직에 대응하는 설계를 구현함으로써 도시환경을 보존하고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높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두 가지 목표를 바탕으로 적정규모의 배치와 적합한 용도계획을 통해 수익성과 공공성의 균형을 유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계획방향과 설계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상지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망을 수용하여 기존 도시의 맥락을 보전한다. 두 번째, 도시발전과정의 기억을 간직한 존치 시설과 공간을 활용하여 공공시설로 활용한다. 세 번째, 간선부와 이면부의 특성에 맞는 배치와 용도를 계획한다. 네 번째, 기존 지역공동체 및 경제활동의 요소들을 가로변에 배치하여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확보한다. 다섯 번째, 환경조성과 프로그램구성 등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들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여섯 번째, 개발을 통해 공공성과 수익성의 균형과 건강한 도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적정규모와 용도를 계획한다.
본 연구는 용산 일대에서 진행 중인 개발들의 문제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대상지인 한강로동 삼각지 교차로 일대의 역사문화요소들을 발굴하여 보존의 가치와 필요성을 확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제안은 국제업무도시의 기능과 역할을 하게 될 용산 일대에서 역사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하고 공공성이 구현된 도시공간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Seoul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based on long history and culture and receives attention as a future cosmopolitan city today. Traces of urban development process accrued for long time can still be seen everywhere in downtown and are taking role of enhancing diversity of urban environment. As concerning healthy city images as future cosmopolitan city, the importance of diversity and publicity of elements composing urban environment is recognized, and the asset value in our urban environment is newly highlighted and the necessity for its preservation is recognized.
Yongsan area formed urban structure centered on open port and railway station during open port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shared urban development and changing process up to now since liberation. Yongsan bordered to Han River and Namsan north and sout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Seoul geometrically and its role and importance as a symbolic central space of future cosmopolitan city such as Yongsan Park, Yongsan international business quarter, etc becomes higher in modernized area by Han River and Yongsan Station. However, the reconstruction method by total demolition being processed in Yongsan area plows under existing urban structure and memory which are historical and cultural traces of Yongsan. Also, high rise high density multipurpose building complex creates uniform scenery in this area and reduces publicity and diversity of urban environment as decreasing connectivity with surrounding area by closed environment.
Preferentially, it needs to find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elements around Yongsan-gu Hangangro-dong Samgakji intersection area where is excluded from the large scale development currently underway in Yongsan and confirm the its value as sense of place and preservation necessity. The first is about physical elements such as street, lot shape and buildings and the second is popular culture created on the center of object site and cultural elements such as meaning, role, etc of the object site in urban development process. The third is human elements such as community sharing memory with presently acting society and local residents in object site. These three elements show spatio-temporal continuity of object site and have historical cultural value and maintainability.
As next step, it needs to check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ctual problems of object site by status report. Streets in the object site ar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formed in modernization process and maintained until now, and they are important factors in connectivity with surroundings. Picture frame stores on Hangang main streets show intactly traces of gallery street formed in 60~70th, and the large open space used as streetcar garage is used for warehouse purpose. But the warehouse site at the center of object site decreases connectivity with surroundings by privatization, and can be confirmed problems of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according to building deterioration and walking safety by mixed traffic flow.
Based on reports of physical, cultural, human elements and status, it is to clear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first is to find preservation method of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elements realizing sense of place around Samgakji intersection area, and the second is to preserve urban environment, induce activation of local communities and enhance connectivity with surroundings as realizing design suitable for open space, building arrangement and existing urban structure. The last is to induce balance between profitability and publicity through optimum size arrangement and proper use plan based on above two purposes.
The specific plan and desig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as accepting road network already formed around object site, it is to preserve the context of existing city. At second, it is to utilize existing facilities and spaces cherishing memory of urban development process as public facilities. At third, it is to plan arrangement and usage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of main lines and side lines. At fourth, it is to secure connectivity with surroundings as arranging existing local communities and economic activity elements in main street. At fifth, it is to plan for emphasizing regional identity and activating local communities through specific planes on open space such as environment creation, program construction, etc. At sixth, it is to plan optimum size and usage for the balance between publicity and profitability and healthy urban environment creation through development.

This study is to clearly recognize problems of development in progress around Yongsan area and confirm preservation value and necessity after discovering historical cultural elements in the object site, Hangangro-dong Samgakji intersection area. Also, the suggestion b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ecuring historical cultural diversity in Yongsan area which takes function and role as an international business city and confirming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urban space realizing publicit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6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