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륜차 통행을 통해서 본 창신동의 공간적 특성 연구 : A Study of the Effect of Motorcycle Transportation System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angsin-do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수경

Advisor
김세훈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창신동봉제산업이륜차물류 네트워크도시재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5. 2. 김세훈.
Abstract
서울 도심부에 위치한 창신동은 1960·70년대 의류산업 발달로 진행된 동대문 지역의 산업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 의류제조업 밀집지역이다. 동대문 시장과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창신동은 동대문의 배후생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대문 시장(판매) 그리고 동대문 종합시장(부자재)과 자기완결적인 산업시스템을 이루어 의류 생산 및 유통·판매 과정을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현재 창신동에는 약 3천여 개의 봉제 관련 업체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이들 간의 촘촘한 관계망을 바탕으로 순차적인 절차를 반복하며 옷을 생산한다. 이른 오전에 시장으로부터 작업이 의뢰되면 재단-봉제-마도매-시아게의 공정과정을 거쳐 하나의 옷이 완성되며, 이렇게 완성된 옷은 시장이 개장하는 시간에 맞춰 신속하게 납품된다. 이때 전 과정의 운반을 담당하는 운송 매개는 신속성을 담보한 이륜차가 사용된다. 창신동은 자연 발생적 도시구조로 골목길이 많으며, 당일 소량 생산이 잦은 이유로 기동력과 문전 접근성이 높은 이륜차는 주 이동·운송 매개로 가장 적합하다. 이에 창신동 일대에는 부자재를 싣고 빠르게 움직이는 이륜차를 항시 볼 수 있다. 또한, 지역 내 의류생산 관련 업체 대부분이 이륜차를 소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이륜차 운송 업체가 인근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이들은 부자재 창고, 생산 공장, 동대문 시장을 오고 가면서 지역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까지 유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지속해서 물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 속에서 이륜차의 빠른 움직임은 창신동만의 고유한 형상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륜차에 의해 생겨난 공간적 특징을 차치하고는 창신동을 이야기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창신동 의류생산의 작동 메커니즘인 이륜차에 주목하였으며, 이륜차로 형성되는 전체적인 물류 네트워크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반복적인 물류 운송 패턴과 작업 행태에 의해 생겨난 공간적 특성 및 변화를 파악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륜차 통행량 조사 결과 시간당 평균 250~300대 즉, 1분당 약 4대의 이륜차가 창신길을 통행하고 있으며, 시간대와 상관없이 전일 높은 통행량을 보였다. 지역 일대를 통행하는 이륜차 유형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는 스쿠터, 소형 이륜차, 삼발이가 부착된 도심운송용, 삼륜 이륜차이다. 대부분의 경우 지역 주민, 생산 공장의 공장주 또는 운송 업체 운전자가 소유하고 있다. 항시 높은 통행량으로 이륜차가 도시 공간을 점령해 무질서해 보이지만 이들만의 질서는 언제나 존재한다. 또한, 많은 수의 이륜차로 높은 유동 공간(운행)과 점유 공간(주차)이 요구되지만, 이는 단순히 많은 도시 면적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동대문 배후생산지로서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며, 동시에 도시 경관 형성에 기여 한다.
둘째, 창신동의 물류 네트워크는 생산 공장의 공장주와 이륜차 운송 업체 운전자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은 각각 다른 이동 패턴, 특성, 반경을 갖고 있다. 공장주의 경우 지역 내 공장과 가내수공업자와 연계되어 작업하기 때문에 창신동 내 즉, 창신 약국을 기점으로 반경 500m 이내에서의 단거리 운송이 많고, 제조 과정 중에 있는 의류 부자재를 연계되어 함께 생산하는 하청업체로의 운반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반면 운송 업체 운전자의 경우는 반경 750m 이상으로의 장거리운송이 많다. 이들은 외부에서부터 그리고 외부로의 물류 운송을 중심으로 담당하며, 이는 시장으로 완성품을 납품하거나 종합공장에서 부자재를 창신동 공장으로 운반하는 경우다. 따라서 두 그룹의 운전자는 각각 다른 이동 패턴, 특성과 반경을 갖고 지역 내·외부를 연결하고 있다. 현재 창신동에는 영세 작업장을 포함해 3,000여 개의 의류제조 관련 업체들이 자리 잡고 있는 만큼 많은 수의 물류 이동 동선이 지역 내 형성된다. 이륜차로 창신동과 본 일대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며 가로 활성화에 있어 궁극적인 역할을 한다.
셋째, 반복적인 이륜차 통행과 작업패턴에 의해 건축적 변화가 형성된다. 창신동 지역 건축물의 경우는 지하 1층, 1층 그리고 2층 부에 의류 생산 작업장으로 용도가 변형되어 사용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이다. 공장으로 사용되면서 외부로부터 유입이 잦아지며, 하적, 적재, 운반 등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패턴에 따라 건축물 입면의 확장, 작업장 진입부 노단 및 로딩 데크 설치, 캐노피 설치 등 계획적 이기보단 자생적인 건축적 변화 양상을 지역 전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륜차 통행으로 생겨난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추후 물리적 환경개선 대안에 반영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도시구조 및 지리적 조건은 이동·운송 수단 선택에 있어 영향을 미치며, 또한 반복적인 이동으로 형성된 물류 네트워크는 특정한 도시공간구조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즉, 이 때문에 도시구조와 이동수단이 서로 상호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창신동의 경우 지역 내 이륜차로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작업 패턴은 건축적 변화 형성에 기여하였고, 이러한 변화 요소들이 종합되어 창신동만의 고유한 공간적 특징을 형성하였다. 대게 건축물 외벽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시선을 적절히 차단해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보는 시선만이 가능하지만, 창신동에 위치한 건축물은 공장으로 용도가 전환되면서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쉽게 개조하여 내·외부의 경계를 완화시켰다. 이 같은 변화는 길을 걷는 보행자나 외방인이 공간 내부로의 시선을 가능하게 하여 이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이렇게 골목 자체가 지역 이미지를 드러내면서 창신동만의 고유한 도시경관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공간적 특징은 봉제거리관광 지역 활성화 방안으로 봉제 거리 조성에 대한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륜차로 이루어지는 공간적 연계를 실증분석하고 반복적인 이륜차 운행과 작업 행태에 의해 생겨난 공간적 특성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실질적인 환경개선방안 마련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기를 바라며, 더불어 향후 동대문 일대 물리적 개선방안 마련 또는 봉제산업단지 계획 시 이륜차 관련 계획 마련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Located in the heart of Seoul, Changsin-dong is a working-class neighborhood that is well known as the core of the fashion manufacture industry. Between the 1960s to the 1970s, the fashion market in the Dongdaemun area had experienced rapid growth and began developments as the center of the fashion industry in South Korea. Being situated less than one kilometer from Dongdaemun, Changsin-dong is densely concentrated with over 3,000 garment manufacturing factories and continues to build strong connections within the industry as suppliers until today.
The overal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processes are routine and centered on the local Dongdaemuns supply chain that is located in surrounding area. When a garment is requested for production, the cut-saw-detailing-finishing process is usually completed within a single day. Once the garment is ready complete, it is quickly delivered to the Dongdaemun market by motorcycle courier. The primary mode of transportation connecting garm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Changsin is via motorcycle for its advantages in mobility and speed. The motorcycle is best suited for Changsin-dong since the area has many narrow alleyways due to the irregular urban structure, and there are frequent small production orders throughout any given day.
Thus, the motorcycle has helped form effective and organic distribution networks by facilitating access to the ins and outs of warehouses, manufacturing plants and the Dongdaemun market. With this as a backdrop, fast moving motorcycles that are loaded with garment subsidiary materials has become part of the unique scenery of Changsin-dong, and it is almost hard to talk about the Changsin area without mention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has been created by the motorcycle.
This research paper attempts to discover the existing logistics of the distribution network created by the motorcycle and to analyze such spatial characteristics. Another goal is to document the current situation, and more particularly, the means by which people have adopted to this particular spatial change in the industry, using site observational research metho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7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