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유공간을 통한 지역공동체의 전개과정과 의미: 수원시 장안구 '서호천의 친구들'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through Common Space and its meanings: Focused on the case of 'Friends of Seo-Ho Stream', Jangan-gu, Suw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희정

Advisor
조경진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Keywords
공유공간지역공동체민-관 파트너십수원 마을르네상스프렌즈그룹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6. 8. 조경진.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현상과 공동체 지원사업을 활발히 하고 있는 수원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지역공동체가 추진주체가 되어 진행하는 수원마을르네상스 공모사업을 통해 지역공동체가 공유공간에 관심이 높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공유공간은 지역주민 누구나 이용 가능한 물리적 공간으로 정서적인 공유가 가능한 곳이다. 이러한 지역 내 공유공간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동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넘어 실제 대표사례가 되는 지역공동체를 선정 후, 선정된 공동체의 이해를 통해 공동체 활동에 있어 중요한 요소를 도출하고 요소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상호작용을 했는지 활동의 전개과정 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수원시 내 지역공동체로 오랫동안 공유공간 중심의 공동체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는서호천의 친구들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서호천의 친구들의 이해를 통해 주민, 공유공간, 공공이 공동체 활동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됨을 도출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구체적인 관계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공유공간을 통한 공동체 활동의 전개과정을 주민조직 형성, 공유공간 조성, 공유공간 운영·관리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 내 공유공간은 지역공동체 형성과 성장은 물론 지역사회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또한, 공유공간을 조성하는 과정에서는 지역 내 자투리땅의 활용과 민-관 파트너십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즉, 공유공간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동의 전개과정 분석을 통해 공유공간의 조성 및 관리에 있어 지역공동체 형성과 성장 가능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내 공유공간에 대한 관심과 공통된 문제의식을 통해 지역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었다. 즉, 지역주민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지역 내 공유공간은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작용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둘째, 도심지 버려진 자투리땅을 지역공동체가 공유하고 주민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커뮤니티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유휴공간을 지역주민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유공간으로 적극 활용함으로서 지역 환경도 개선하고 주민들 간의 교류도 많아졌다.
셋째, 공유공간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것에 있어 민-관 파트너십이 형성될 수 있었다. 지역 내 버려진 공간을 쓸모 있는 공유공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주민과 공공의 협동 작업이 이루어졌고, 이는 민-관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넷째, 공유공간을 통해 지역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고, 공동체를 확장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지역 내 공유공간의 활용을 통해 지역공동체가 형성되고 성장하면서 버려진 자투리땅의 활용과 민-관 파트너십 구축이 가능해 짐으로써, 공유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공동체 활동들도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참여와 결속력이 증가되었고 공동체가 지속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본 연구의 대표사례인 서호천의 친구들의 활동에 한계점도 발견되었다. 첫째, 공유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부지와 재정확보가 중요한데 공공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서호천의 친구들은 민-관 파트너십이라는 좋은 정책 덕분에 수원시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고 여전히 많은 부분 의존하고 있다. 둘째, 새로운 활동콘텐츠를 과도하게 늘리고 있다. 주민참여를 높이기 위해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은 좋지만 자원적인 한계가 있는 상태에서 개수만 늘리게 되면 공공에 의존은 높아지고 프로그램의 지속력은 떨어지게 된다. 셋째,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한 주민조직이지만 지역사회의 특색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이 없다.
게다가 본 연구는 하나의 지역공동체를 사례분석 한 것으로 다른 지역이나 공동체에도 모두 적용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이며, 연구의 대상을 보다 구체적이고 다층적인 관점에서 서술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공유공간의 조성 및 관리 과정에서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고 민-관 파트너십을 구축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대도시에서 잃어버린 공동체를 회복함에 있어 공유공간의 활용 방법과 공유공간의 조성 및 관리에 있어 지역주민의 참여 방식을 설정하는데 좋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initiated from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city of Suwon and their active community support projet. In particular, through the public business of the Suwon community renaissance conducted by the commuity acting as the principal agent, communities are found to be highly interested in common space. Common space is a physical space available to all residents for sharing emotions and sentimen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common space in local.
In order to do this, communities that represent real life cases will be selected beyond theoretical studies. Subsequentl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elected communities important elements of these communities and their interactions will be examined.
The representative case of research was set toFriends of Seo-Ho Streamwhich is a local community that has been active in the center of common space for a long time in the city of Suwon. Furthermor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Friends of Seo-Ho Streamimportant elements among the activities of residents, shared space and the public were derived and how they are interconnected. In order to examine the specific relationship, the formation of residential organizati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hared space were analyzed. The result was that shared space in a region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growth and activation of communities. Moreove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shared space, the use of residual land area and the possibility of private-public partnership possibility were evident.

In other words,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shared space via communal activities,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hared space leads to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formation and growth.
First, community can be formed via the common recognition of problems and interest in the regional common space. Thus, the common space used by local residents served as a medium that forms a community.
Second, wasted residual land area were able to be shared by communities and turned into communal space that all residents can enjoy. Idle space can be actively used by residents for communication purpose, which improved the environment and strengthened interactions between residents.
Third, a partnership was able to be formed i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common space. Administrative and residential work was conducted collaboratively in order to convert local empty space into usable space, which brought a great deal of both public and private benefits.
Fourth, various programs in which local residents could participate through common space were initiated and community could be activated and expanded.
In conclusion, community was formed and grew through using common space, and as the utilizing of idle space and the establishment of public and private partnership became possible, community activities using common space also became possible. Participation and cohesion of local residents increased and the persistence of community resulted.

There were also limitation in th use of common space for Friends of Seo-Ho Stream. First, in order to create common space, land and financial securement is important and this was possible thanks to the support of the city of Suwon. Friends of Seo-Ho Streamwere able to receive support from the city of Suwon due to the policy of public and private partnership, and still depend on administrative work. Second, Friends of Seo-Ho Streamcontinue to excessively increase the range and amount of activities. Development of content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may be helpful but with limited resources, the dependence rate of the public will be high whil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will decrease. Third, because Friends of Seo-Ho Streamis a resident-formed organization based on region so that it seems likely to observ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ut this turns out not to be true.
The research analyzed one case of regional community therefore it may be challenging to apply other regions or communities. On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ay be that the research target is not specific enough. However, despite such limitations, the research provides sufficient evidence that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rocess of shared space can recover and form private-public partnerships. In addition, the research provides directions in which how lost communities can be recovered through the use of shared space as well as establishing residentsparticipation i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hared spac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7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