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재정사업 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Budgetary Program Performance in the Korean Public Secto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민하

Advisor
전영한
Major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재정사업 성과사업의 특성장관의 특성수행기관의 특성장관의 전문성재정사업자율평가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 2015. 2. 전영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재정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는 것이다. 오늘날 공공부문의 효율성, 성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납세자에 대한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한 여러 제도적 개혁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특히 정부의 예산을 수반하는 재정사업에 대한 성과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재정 분야의 대표적인 성과관리제도로서,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가 05년부터 도입‧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재정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밝히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국내외 선행연구의 주된 연구대상인 재정사업의 유형, 규모 등 사업 자체의 특성이 재정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2010년도-2012년도 3년간 재정사업자율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연구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장관의 특성 및 수행기관의 특성을 관련 이론적 배경의 검토를 통해 잠재적 결정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세 가지 차원의 결정요인들이 재정사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연구의 분석틀을 도출하고 각각의 변수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는 재정사업의 성과로서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상 평가 총점으로 정의하였으며, 독립변수인 결정요인은 사업유형, 사업규모, 장관의 정책 전문성, 장관의 지식 전문성, 장관의 관리 전문성, 소관부처, 정책유형별 기관으로 세분화하여 정의 내렸다. 또한 재정사업 평가점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서 측정연도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이를 통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독립변수가 2개 이상인 경우 독립변수들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일반적인 방법인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는 사업유형, 사업규모, 장관의 관리 전문성, 일부 소관부처, 재분배기관과 규제기관 등 정책유형별 기관, 그리고 통제변수로써 측정연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변수들의 추정된 회귀계수의 실질적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재정사업 성과의 결정요인에 대한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는데, 전체 8개의 가설 중에서 6개의 가설(일부지지 가설 포함)이 지지되고 있다. 먼저, 재정사업의 유형에 따라 재정사업의 성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직접수행사업의 성과가 간접수행사업보다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정사업의 규모가 재정사업의 성과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수이며, 특히 규모가 클수록 더 높은 성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장관의 전문성과 관련해서는 예상과 달리 정책 전문성과 지식 전문성은 유의미하지 않은 변수로 나타났으며, 장관의 관리 전문성만이 재정사업의 성과를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장관의 관리 전문성은 재정사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본 연구의 가설을 일부 지지하고 있다. 수행기관에 따라 재정사업의 성과가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 역시 회귀분석 결과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정책유형별 특성에 따른 기관의 경우 재정사업의 성과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수라는 것은 밝혔으나, 재분배기관이나 규제기관에서 수행하는 재정사업의 성과가 고객기관에서 수행하는 재정사업의 성과보다 더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와 관련된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정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무엇인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힘으로써 기존의 국내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최신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직 시도되지 않았던 장관의 전문성, 수행기관의 특성 등 새로운 차원의 결정요인을 모색하고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사업의 유형, 특히 직접수행사업이 재정사업의 성과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간접수행사업의 추진시 예상될 수 있는 공동행동의 복잡성, 책무성 확보 문제, 성과관리에 대한 관심과 이행수준 저조 등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업의 규모와 관련해서는 대규모 사업의 성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정치적 이해관계의 차원인지, 실제 사업에 투입되는 풍부한 인력과 자원에 의한 체계적 관리에 기인한 것인지를 밝히고, 제한된 제약조건하에서의 비용효과적인 사업관리 방식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장관의 전문성, 특히 관리 전문성이 재정사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향후 장관의 인선 기준으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행기관(소관부처)에 따라 재정사업의 성과가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이것이 부처의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지를 밝힐 수 있다면, 중앙부처의 재정사업 성과관리 역량을 제고시키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dgetary program performance in the Korean public sector. Recently, a series of reforms has been made to enhance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in the Korean public sector. In particular, the need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budgetary program has been increased. As a part of such efforts, Self-Assessment of Budgetary Program(SABP) was introduced and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05.
This research examines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budgetary program and their effects on program performance.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itself on program performance such as program type and size, following existent previous studies. Moreover, this research adds the characteristics of ministers and agencies as potential factors that has been scarce or nonexistent in previous studie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se three pillars- program itself, ministers, and agencies on program performance, the data from "Self-Assessment of Budgetary Program(SABP)" for 3 years between FY 2010-2012 are used. Specific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budgetary program performance which is defined by Self-Assessment of Budgetary Program(SABP) total scor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such as program type and size, the characteristics of ministers such as policy expertise, knowledge expertise and managerial expertise, the characteristics of agencies such as ministries and four types of agencies by the theory of Lowi & Ginsberg(1998). Fiscal year that may affect the SABP scores is controlle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budgetary program performance is affected by program type, program size, managerial expertise of minister, ministries, agencies by policy type and fiscal year. These five independent variables and one control variable support six of the eight proposed hypothesis. First, different types of programs have different levels of program performance, and especially direct programs have higher performance than programs which are performed indirectly. Regarding the program size, program siz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program performance. These results support the previous empirical studies. In relation to the expertise of minister, unlike the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at only managerial expertise of minister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program performance. Influences of policy expertise and knowledge expertise of minister on program performance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ministries running their budgetary programs affect the program performance. In terms of types of agencies by the theory of Lowi & Ginsberg(1998), the results show that program performance by re-distributional agencies and regulatory agencies is higher than one by client agencies, against the hypothesis.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budgetary program performance using the updated data from SABP, that could confirm the results in previous researches as well as explore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new factors such as the expertise of ministers and characteristics of agencies.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could help us to fin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oncerning the program type,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program performance, especially in case of carrying out indirect programs, dealing with the expected problems of complexity of joint actions, accountability vacuum, lack of interest in performance management. In relation to the program siz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cause of higher performance scores on larger programs compared to smaller ones. It could be caused by the input of sufficient resources which are helpful in systematic management of programs, or by the influence of political interests. We have to find a cost-effective management system under budgetary constraints. Regarding the expertise of minister, the finding that the managerial expertise of minister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program performance may be a reference to the appointment of ministers. Finally, the fact that characteristics of agencies affect the program performance could give us important implications. If we find the factors or features of agencies that affect the program performance through following studies, it will be a useful guide to develop the capability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Korean public sector.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1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