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T 영상을 이용한 증상이 없는 편도결석의 발생 양상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미진

Advisor
최순철
Major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T유병률편도결석편도 석회화연조직 석회화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과, 2015. 2. 최순철.
Abstract
연구목적: 일반적으로 편도결석은 임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연조직석회화이지만 대부분이 증상이 없어 환자가 인지하지 못하다가 우연히 발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mputed tomography (CT)를 이용하여 편도결석의 유병률과 영상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촬영한 3886명(남성 1654명, 여성 2232명, 성비 1:1.3, 평균연령 35.8세)의 CT 영상을 대상으로 편도결석의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편도결석이 발견된 환자에 한해 편측성 및 양측성, 좌우를 분류하고 편도결석의 개수가 1개 이상일 경우에는 군집형, 분산형으로 분포형태를 세분화하였다. 또한 각 결석에 대해서 크기, 모양(구형, 달걀형, 다수의 소엽형, 막대형, 무정형) 및 편도 내에서 상대적 위치(전후, 내외, 상하 방향으로 각각 3등분하여 27개의 구역으로 구분)를 분석하였다. 결과: CT 분석 결과, 편도결석의 유병률은 30.3%이었으며, 남성(33.3%)이 여성(28.2%)보다 더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p<0.05). 대체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편도결석의 유병률과 크기도 함께 증가하였다(p<0.001). 편도결석의 평균 개수는 2.7개로 1-2개인 환자가 64.7%로 가장 많았다.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개수가 많았으며, 평균 크기도 더 크게 나타났다(p<0.001). 편도결석의 분포 형태는 편측성 (66.8%)이 양측성 (33.2%)보다 많았으며, 편측성에 대해 좌우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p>0.05). 각 편도결석의 모양은 달걀형이 약 80%로 가장 흔하게 관찰되었다. 편도 내부를 27개 구역으로 나누었을 때, 편도결석은 중앙부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각 결석의 최대 반경 값을 결석의 크기로 하였을 때, 1-2mm 크기의 결석이 50.3%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결론: 기존 연구에 비해 많은 표본의 CT 영상을 분석하여 얻어진 이번 연구의 결과는 CT를 이용한 편도결석의 진단의 지침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Generally, tonsilloliths are relatively encountered commonly in daily clinical practice. Because patients rarely have complaints of symptoms, tonsilloliths are accidently detected by clinicians.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tudying prevalence of tonsilloliths and analyzing its feature. Materials and method: The CT images of 3886 patients(1654 male, 2232 female, M:F=1:1.3
mean age 35.8years, standard deviation 18.5year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2 were reviewed to investigate prevalence of tonsilloliths. For the patients presenting tonsilloliths, we classified the distribution of tonsilloliths according to unilateral or bilateral, right or left and clustered or dispersed. For each tonsillolith, dimension was determined by long diameter, short diameter(on axial view) and height(on coronal view), and its morphology was sorted into sphere type, ovoid type, plurilobular type, rod type, amorphous type. Moreover, relative location in tonsil of each tonsillolith was analyzed(total 27 areas, 3 even parts in 3 way
anterior to posterior, medial to lateral, superior to inferior). Lastly, we ve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of patients(age, sex)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nsilloliths(prevalence, number, size).
Results: As a result of CT analysis, prevalence of tonsilloliths was 30.3% and male(33.3%) presented higher prevalence rate than female (28.2%)(p<0.05). On average, male had more and larger tonsilloliths than female with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prevalence of tonsilloliths increased as the age of patients increased with significance(p<0.001). Mean number of tonsilloliths was 2.7 and 64.7% of patients had 1-2 tonsilloliths. Unilateral tonsilloliths(66.8%)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bilateral tonsilloliths(33.2%), and differences between left and right for unilateral tonsilloliths were not significant. Ovoid shaped tonsilloliths were most frequently detected(ca. 80%). When tonsillar crypts divided into 27 areas, majority of tonsilloliths were found in the center of the tonsillar crypts and the 50.3% of calculus had size of 1-2 mm.
Conclusion: The results based on large specimen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can be applied helpfully as the guidelines for diagnosis of tonsilloliths on CT imag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8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